[include(틀:전일본 정규군)]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후치마사노부프로필.png|width=360]]}}} || ||<-2> [[전일본 프로레슬링|{{{#f2f2f2 '''AJPW'''}}}]] || || '''본명''' || 후치 마사노부 [br] [ruby(渕 正信, ruby=ふち まさのぶ)] || || '''생년월일''' || 1954. 1. 14 ([age(1954-01-14)]세) || || '''신장''' || 183cm || || '''체중''' || 105kg || || '''출생지'''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키타큐슈시]] [[토바타구]] || || '''학력''' || 야하타대학[* 현 큐슈국제대학] 중퇴 || || '''경기 스타일'''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올드 스쿨|올드 스쿨]]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 [[피니시 무브|{{{#f2f2f2 '''피니쉬 무브'''}}}]] || 엔즈이기리 [br] 피스트 드롭 [br] '''스몰 패키지 홀드''' [br] '''백 드롭''' || || '''별명''' || 주니어의 마표(ジュニアの[ruby(魔豹, ruby=ま ひょう)]) [br] 론리 원 (ロンリーワン) [br] '''왕도의 전도사 ([ruby(王道, ruby=おうどう)]の[ruby(伝道師, ruby=でんどう し)])''' [br] '''적귀 ([ruby(赤鬼, ruby=あかおに)])'''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siwpn14IE7E|Danger Zone]]''' - [[케니 로긴스|Kenny Loggins]][* 영화 [[탑건(영화)|탑건]]의 OST이자, 후치의 상징곡. 후치는 이 곡을 테마곡으로 한 뒤 단 한번도 테마곡을 바꾼 적이 없다.] [br] '''(1986 - )''' || || '''데뷔''' || 1974년 4월 22일 (20세) [br] [[도쿠시마현|토쿠시마현]] [[미요시시(도쿠시마현)|이케다정]] [[https://www.google.com/maps/place/%E3%82%88%E3%82%93%E3%81%A7%E3%82%93%E3%81%8A%E3%81%A9%E3%82%8A%E5%BA%83%E5%A0%B4%EF%BC%88%E9%98%BF%E6%B3%A2%E3%81%8A%E3%81%A9%E3%82%8A+%E3%81%8A%E3%81%A9%E3%82%8A%E5%BA%83%E5%A0%B4%EF%BC%89/@34.0726066,134.5521477,17.67z/data=!4m14!1m7!3m6!1s0x35536dd02d2dfe37:0xd2099f56a9a80a1a!2z44KI44KT44Gn44KT44GK44Gp44KK5bqD5aC077yI6Zi_5rOi44GK44Gp44KKIOOBiuOBqeOCiuW6g-WgtO-8iQ!8m2!3d34.0731111!4d134.5533878!16s%2Fg%2F11t_jptprx!3m5!1s0x35536dd02d2dfe37:0xd2099f56a9a80a1a!8m2!3d34.0731111!4d134.5533878!16s%2Fg%2F11t_jptprx?entry=ttu|시코쿠전력 옆 광장]] [br] '''[[전일본 프로레슬링|전일본]]''' 제 2회 [[챔피언 카니발]] 8일차 [br] vs [[오니타 아츠시]] || || '''SNS''' || [[http://www.fuchi-masanobu.com/|개인 블로그]] || || '''주요 커리어''' ||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5회 [br]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쉽|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 2회 [br] AWA 서던 태그팀 챔피언 3회 [br] NWA 월드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 [목차] == 개요 == [[전일본 프로레슬링]] 소속의 [[프로레슬러]]. 50년에 가까운 시간동안 전일본 프로레슬링을 쭉 지켜온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리빙 레전드이다. == 커리어 == 야하타대학부속고등학교 시절 레슬링과 육상을 해왔고, 야하타대학(현 큐슈국제대학)에 입학했으나 중퇴하고 일본 프로레슬링 입문을 목표로 상경하다가 열차 안에서 읽은 큐슈 스포츠 신문에서 일본 프로레슬링의 붕괴를 알게 되면서 일단 큐슈로 돌아갔던 후치 마사노부는 1974년 4월 10일에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문한다. 그 해 경쟁단체인 [[신일본 프로레슬링]]도 이미 출범했지만 일본 프로레슬링 시절 [[자이언트 바바]]의 팬이기도 했던 후치가 [[자이언트 바바]]와 [[안토니오 이노키]]는 스타로서는 격이 전혀 다르다고 말할 정도로 바바를 동경해 전일본 프로레슬링을 택했다. 입문한지 불과 12일만에 데뷔했고, 당시에는 [[오니타 아츠시]], 소노다 카즈하루[* 이후 링네임을 하루 소노다로 변경. 1987년 11월 28일 신혼 여행을 위해 비행기를 탔다가 [[남아프리카 항공 295편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와 함께 후치 마사노부도 젊은 한 사람으로서 두각을 나타내 갔다. 일본 외에도 미국, 캐나다, 푸에르토리코 무대에서도 경기를 가지고, 80년대 후반부터는 세계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벨트를 5번 따내고 10대 챔피언 시대에는 역대 1위인 14번의 방어를 성공시키며 3년에 가까운 시간동안 전일본 주니어의 정점에 서는 등 전일본 주니어 역사의 산 증인이 되었다. 2000년 [[미사와 미츠하루]]를 중심으로 대다수의 소속 선수들이 바바 모토코의 횡포에 반발하며 전일본을 퇴단할때 [[카와다 토시아키]], 당시 연습생이었던 하와이 출신의 마우나케아 모스맨[* 이후 링네임을 타이요 케아로 변경했다.]와 같이 전일본에 잔류하였다. 전일본 프로레슬링 부흥을 위해 금단의 벽이라 불렸던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대회에 카와다와 같이 등장하여 링 세그먼트를 하며 신일본과 교류를 펼치기 시작했다. 바바 모토코 체제에서 [[무토 케이지]] 체제로 이어지면서도 선수들을 지도하고 띄워주는 중책을 맡고 전일본 재건에 노력을 하였다. 2000년대 후반에는 이미 50이 넘은 나이로 후진으로 물러나, 주로 젊은 선수들과 함께 첫 경기를 맡는 역할에 철저했다. 단체가 낳은 인물로서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간판을 지키는 중진이었지만, 우치다 마사유키에 의해 2009년부터 이사를 사임하고, 프리랜서 신분으로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참전한다.[* 소속 선수로 복귀하는 2013년 7월까지 전일본 이외의 다른 단체의 대회에는 단 한번도 출전한 적이 없었다.] 2013년 7월 무토 케이지를 중심으로 대다수의 소속 선수들이 시라이시 노부오의 정책에 반발하며 전일본을 퇴단하며 [[WRESTLE-1]]을 창립했고, 반면 소속 선수 인원이 줄어들자 [[프로레슬링 NOAH]]를 퇴단하고 프리 신분으로서 출전하던 BURNING 멤버 5명[* [[아키야마 쥰]], [[카네마루 요시노부]], [[스즈키 코타로]], [[시오자키 고]], [[아오키 아츠시]].]과 같이 전일본 소속 선수로 돌아오게 된다. 1974년 입단 당시의 자이언트 바바 체제부터 미사와 미츠하루 체제, 바바 모토코 체제, 무토 케이지 체제, 시라이시 노부오 체제, [[아키야마 쥰]] 체제, 2023년 현재 후쿠다 츠요키 체제에 이르며 전일본 프로레슬링의 산증인으로서 활동하고 있다. == 경기 스타일 == 후치 마사노부가 개발한 저공 드롭킥은 많은 프로레슬러, 특히 주니어 헤비급 파이팅 스타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저공 드롭킥과 무수한 관절기, 너클 파트와 안면킥, 아토믹 드롭의 자세로부터의 급소 공격 등 테크닉과 러프를 겸비해서 관중을 강하게 자극하는 파이팅 스타일을 확립해 주니어뿐 아니라 [[미사와 미츠하루]] 등 헤비급과도 당당히 맞섰고 이후 후치 마사노부는 '''적귀(赤鬼)'''라는 별명을 얻었다. == 여담 == * [[자이언트 바바]]를 포함해 더 디스트로이어 & 빌 로빈슨 & 칼 고치 & [[루 테즈]] & 마티 스즈키 등에게 트레이닝을 받았다. * 70의 연령에도 결혼을 단 한번도 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 [[시무라 켄]]과는 절친한 친구였다. * 한때 전일본 프로레슬링 중계 해설을 맡은 적이 있지만[* 1991-1992년경] 기본적으로 공개석상에서의 발언은 별로 볼 수 없고, 과묵하고 말주변이 없는 인상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2000년 8월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G1 CLIMAX [[료고쿠 국기관]]에서의 마이크웤, 나아가 [[쵸노 마사히로]]에 대한 퍼포먼스는 그야말로 전일본 프로레슬링을 붕괴 위기에서 구해냈으며, 일본 프로레슬링 역사상 길이 남을 명장면으로 회자되고 있다. * 2007년 1월 4일에 열린 신일본 돔 대회에서 실황 중계로부터 「전일본 최후의 양심」(全日本最後の良心)이나 「색백 댄디즘」(色白ダンディズム)이라고 하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 2019년 5월 3일부로 [[사이타마현]] [[카조시]] 관광대사로 취임했다. == 둘러보기 ==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5성 경기'''}}}|| || 1989년 || 1월 28일 [br] [[전일본 프로레슬링]] || 6인 태그팀 매치 [br] 레볼루션 ([[텐류 겐이치로]] & [[삼손 후유키]] & [[카와다 토시아키]]) vs '''후치 마사노부 & 야츠 요시아키 & [[점보 츠루타]]''' || || 1990년 || 10월 19일 [br] [[전일본 프로레슬링]] || 6인 태그팀 매치 [br] [[타우에 아키라]] & [[점보 츠루타]] & 후치 마사노부 vs '''[[코바시 켄타]] & [[미사와 미츠하루]] & [[카와다 토시아키]]''' || || 1991년 || 4월 20일 [br] [[전일본 프로레슬링]] || 6인 태그팀 매치 [br] [[타우에 아키라]] & [[점보 츠루타]] & 후치 마사노부 vs '''[[코바시 켄타]] & [[미사와 미츠하루]] & [[카와다 토시아키]]''' || || 1992년 || 5월 22일 [br] [[전일본 프로레슬링]] || 6인 태그팀 매치 [br] [[타우에 아키라]] & [[점보 츠루타]] & 후치 마사노부 vs '''[[코바시 켄타]] & [[미사와 미츠하루]] & [[카와다 토시아키]]''' || || 1992년 || 7월 5일 [br] [[전일본 프로레슬링]] ||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 [br] 후치 마사노부 & [[오가와 요시나리]] vs '''키쿠치 츠요시 & [[코바시 켄타]]''' || || 1994년 || 1월 29일 [br] [[전일본 프로레슬링]] || 6인 태그팀 매치 [br] [[카와다 토시아키]] & [[타우에 아키라]] & 후치 마사노부 vs '''[[코바시 켄타]] & [[자이언트 바바]] & [[미사와 미츠하루]]''' || || 2000년 || 12월 14일 [br] [[신일본 프로레슬링]] [br] [[오사카부립 체육회관]] 대회 || [[신일본 프로레슬링|신일본]] vs [[전일본 프로레슬링|전일본]] 태그최강전[* 30분 시간초과 무승부.] [br] [[카와다 토시아키]] & '''후치 마사노부''' vs [[나가타 유지]] & [[이이즈카 타카시(프로레슬러)|이이즈카 타카시]] || ||<-5>
[[파일:프로레스대상 로고.svg|width=80]] {{{#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white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노력상}}}]]'''}}} || ||<:> 스네이크 아사미 [br] 타카치호 아키히사[* 훗날 독무의 창시자이자 슈퍼킥의 개발자인 '동양의 신비' 더 그레이트 카부키로 유명해진다.] [br] [[후지와라 요시아키]] [br] (1975) || → ||<#FFFFA1><:> {{{#000000 카이 쇼지 [br] 고 류마 }}} [br] '''{{{#000000 후치 마사노부 [br] (1976) }}}''' || → ||<:> 록키 하타 [br] [[초슈 리키]] [br] 츠루미 고로 [br] (1977) || ||<:> [[코시나카 시로]] [br] [[후지와라 요시아키]] [br] (1982) || → ||<#FFFFA1><:> {{{#000000 [[타카다 노부히코]] }}} [br] '''{{{#000000 후치 마사노부 [br] (1983) }}}''' || → ||<:> 폐지 ||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54년 출생]][[분류:1974년 데뷔]][[분류:토바타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