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후쿠시마현 제5구}}}}}}'''[br]{{{-1 {{{#ffffff 福島県第5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Fukushima5.svg|width=100%]][br]}}}|| ||<-2><:>'''선거인 수'''||<-2><:>320,273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후쿠시마현]]|| ||<-2><:>'''하위 행정구역'''||<-2><:>[[이와키시]], [[후타바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요시노 마사요시]]||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까지 [[후쿠시마현]]의 남부 해안 지역인 [[이와키시]], '''[[후타바군]]'''을 관할했던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2022년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 [[후쿠시마현 제4구]]에 통합되어 폐지될 예정이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요시노 마사요시]]. == 상세 == 관할 지역을 보면 알겠지만, 이 선거구는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가 위치한 [[후타바마치]], [[오쿠마마치]]가 속한 선거구다.''' 다시 말해 '''선거구 면적의 절반 이상이 후쿠시마 원전 반경 30km 이내에 들어가는 방사능 위험 지역이라는 소리다.''' 때문에 이 선거구의 유권자들은 대부분 [[이와키시]] 주민들이며,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후타바군 주민들은 살고 있던 지역 바깥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투표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 문제 때문인지 지역 내 탈핵 여론이 크다. 그래서인지 자민당 현직 [[요시노 마사요시]] 의원은 당 주류와는 반대로 원전 재가동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강력히 냈다. 반대로 이 지역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후보였던 요시다 이즈미 전 의원은 원전 사고 이전부터 민주당 내 가장 보수적 의원 중 한 명이었고, 원전 재가동 반대운동에도 소극적이었다. 그래서 요시노 마사요시 후보에게 큰 표 차이로 패배했고, 이후 정계를 은퇴했다. 요시노 마사요시는 동일본 대지진의 큰 영향을 받은 지역구 의원답게 [[아베 신조]] 내각에서 부흥대신을 역임했다.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 [[후쿠시마현 제4구]]에 통합되어 폐지될 예정이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후쿠시마현 제5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사카모토 고지 || [include(틀:신진당)]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요시노 마사요시]] ||<|3>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사카모토 고지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요시노 마사요시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요시다 이즈미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사카모토 고지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3> 요시노 마사요시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5구}}}}}}'''[br]{{{#fff 이와키시, 후타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사카모토 고지''' || '''79,027표''' || '''1위''' || || [include(틀:신진당)] || '''38.24%'''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나카 나오키[*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의 사위(데릴사위)이자 외무대신, 문부대신을 역임한 [[다나카 마키코]]의 남편, 이 선거에서 낙선 후 지역구를 장인과 부인의 기반 지역인 [[니가타현]]으로 옮겼다.] || 78,690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8.08%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6년)|[[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width=50]]]] || 스즈키 히사시 || 34,082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1996년))] || 16.4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토 도시히코 || 14,862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1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6,661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5구}}}}}}'''[br]{{{#fff 이와키시, 후타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노 마사요시]]''' || '''109,27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2.59%'''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요시다 이즈미 || 73,90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5.57%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시다 에이사쿠 || 24,61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1.8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7,789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5구}}}}}}'''[br]{{{#fff 이와키시, 후타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카모토 고지''' || '''100,60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8.13%'''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요시다 이즈미 || 84,480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0.42%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시다 에이사쿠 || 16,520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90% || 낙선 || ||<|2><#808080> {{{+3 {{{#fff 無}}}}}} || 나가야마 시게오 || 7,418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5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9,018표 ||<|2> '''투표율'''[br]61.89%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5구}}}}}}'''[br]{{{#fff 이와키시, 후타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노 마사요시]]''' || '''112,80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7.6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요시다 이즈미 || 92,935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9.23% || 비례당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시다 에이사쿠 || 18,78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93% || 낙선 || ||<|2> [[국민신당(일본)|[[파일:일본 국민신당 로고.svg|width=50]]]] || 스즈키 다쿠미 || 12,345표 || 4위 || ||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 5.2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6,871표 ||<|2> '''투표율'''[br]70.06% || || 선거인 수 || 347,314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5구}}}}}}'''[br]{{{#fff 이와키시, 후타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요시다 이즈미''' || '''135,692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9.05%'''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카모토 고지 || 88,968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8.71%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이시와타 쓰요시 || 5,150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2.2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9,810표 ||<|2> '''투표율'''[br]68.36% || || 선거인 수 || 343,654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5구}}}}}}'''[br]{{{#fff 이와키시, 후타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카모토 고지''' || '''61,44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34.94%'''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요시다 이즈미 || 54,49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30.99% || 비례당선 || ||<|2><#fff> [[일본 유신회(2012년)|[[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width=50]]]] || 우사미 노보루 || 26,29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2년))] || 14.96%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시다 에이사쿠 || 16,479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37% || 낙선 || ||<|2> [[모두의 당|[[파일:다함께당 로고.png|width=50]]]] || 스가모토 가즈마사 || 10,177표 || 5위 || || [include(틀:모두의 당)] || 5.79% || 낙선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마쓰모토 기이치 || 6,937표 || 6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3.9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5,829표 ||<|2> '''투표율'''[br]54.70% || || 선거인 수 || 331,670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5구}}}}}}'''[br]{{{#fff 이와키시, 후타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노 마사요시]]''' || '''71,10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신당 개혁)] 추천] || '''46.57%'''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요시다 이즈미 || 60,04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9.3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요시다 에이사쿠 || 21,52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4.1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2,670표 ||<|2> '''투표율'''[br]47.75% || || 선거인 수 || 328,896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5구}}}}}}'''[br]{{{#fff 이와키시, 후타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노 마사요시]]''' || '''86,46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3.61%'''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요시다 이즈미 || 51,478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31.9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구마가이 도모 || 16,15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02%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엔도 요코 || 7,186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4.4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1,279표 ||<|2> '''투표율'''[br]49.73% || || 선거인 수 || 331,667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후쿠시마현 제5구}}}}}}'''[br]{{{#fff 이와키시, 후타바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요시노 마사요시]]''' || '''93,32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2.66%''' || '''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구마가이 도모 || 55,619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후쿠시마현 연합 추천] || 37.3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48,944표 ||<|2> '''투표율'''[br]48.00% || || 선거인 수 || 320,273인 || ||<-10> '''비례대표 결과'''[* [[https://www.soumu.go.jp/senkyo/senkyo_s/data/shugiin49/shikuchouson_32.html|비례대표 결과 이곳에서 확인 가능]]] || || '''정당'''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include(틀:레이와 신센구미)]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NHK당)] || || '''득표수[br](득표율)''' || '''7,033.916[br] (4.71%)''' || '''15,239[br] (10.20%)''' || {{{#ffffff '''52,793[br](35.33%)'''}}} || '''5,838[br] (3.91%)''' || '''9,023[br] (6.04%)''' || '''3,354[br] (2.24%)''' || '''33,304.676[br] (22.29%)''' || '''20,838[br] (13.95%)''' || '''2,003[br] (1.34%)''' || ||<-10> '''시 지역''' || || '''이와키시''' || 4.63% || 10.83% || {{{#D9009D 34.64%}}} || 3.88% || '''6.27%''' || 2.22% || 22.18% || 13.98% || '''1.36%''' || ||<-10> '''정 지역''' || || '''히로노마치''' || 5.69% || 6.94% || {{{#D7003A 38.66%}}} || 4.30% || 5.19% || 2.37% || 20.98% || 14.90% || 0.98% || || '''나라하마치''' || 5.15% || 6.45% || {{{#D7003A 37.56%}}} || 3.73% || 4.31% || '''2.92%''' || '''24.71%''' || 14.18% || 0.98% || || '''토미오카마치''' || 5.42% || 6.68% || {{{#D7003A 37.22%}}} || 3.75% || 5.74% || 2.31% || 23.96% || 13.25% || 1.66% || || '''오쿠마마치'''[* 폭발사고가 난 후쿠시마 원전 1호기가 위치해 있는 지역이다.] || 5.45% || 6.44% || {{{#D7003A 39.54%}}} || 4.03% || 5.12% || 2.20% || 20.41% || '''16.06%''' || 1.27% || || '''후타바마치''' || '''5.88%''' || 5.69% || {{{#D7003A 41.33%}}} || 3.96% || 4.23% || 2.73% || 23.47% || 11.88% || 0.82% || || '''나미에마치''' || 4.82% || 7.92% || {{{#D7003A 36.37%}}} || '''4.71%''' || 5.15% || 2.26% || 24.48% || 12.96% || 1.33% || ||<-10> '''촌 지역''' || || '''카와우치무라''' || 2.55% || 5.95% || {{{#D7003A '''49.07%'''}}} || 3.30% || 2.58% || 2.29% || 17.86% || 15.54% || 0.86% || || '''카츠오무라'''[* 사회민주당과 일본유신회는 똑같이 17표, 공산당과 공명당은 똑같이 82표를 받았다.] || 3.70% || '''11.04%''' || {{{#D7003A 45.90%}}} || 3.36% || 2.29% || 2.29% || 19.58% || 11.04% || 0.81% || 자민당 요시노 마사요시 의원이 출마한다. [[2021년]] 8월 8일에 만 73세를 넘겼기에, 자민당 내부방침 상 지역구와 비례대표 후보로 중복등록하지는 못한다. 즉 선거구에서 패배하면, 석패율 제도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될 수 없다. 지난 총선에서 낙선한 요시다 이즈미 전 의원은 정계를 은퇴했고,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은 도리 이사쿠야 전 후쿠시마현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일본공산당|공산당]]도 지난 총선에서 출마했고, 복지사를 지낸 구마가이 도모 후보를 공천했다. 반대로 지난 총선에서 후보를 낸 사민당은 이번에는 후보를 내정하지 않았다. 이후 입헌민주당과 공산당은 [[후쿠시마현 제2구]]에서 입헌민주당 후보로 단일화하는 대신, 본 지역구에서는 입헌민주당 도리 후보가 사퇴하고 [[일본 공산당]] 구마가이 도모 후보로 단일화한다는 합의를 이뤘다. [[https://www.minyu-net.com/news/election2021/FM20211006-659765.php|출처]] 최종적으로도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자민당 요시노 후보와 공산당 구마가이 후보만이 출마해 1대1 대결을 벌인다. 투표 결과 자민당 요시노 후보가 압승했다. 하지만 공산당 구마가이 도모 의원도 37.3%를 득표, 자민당과 1대1 대결을 벌인 공산당 후보치고는 꽤 선전했다. 투표율이 후쿠시마 현내 5개 선거구 중 가장 낮았는데, 비자민당 성향의 중도 및 중도보수 유권자가 투표를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요시노 마사요시 의원의 경우, 손쉬웠던 선거전보다도 원전 사고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이 지역에서 그가 소속 정당인 자민당과 계속 상반되는 의견을 내며 높은 인기를 유지할지 주목된다. [각주][[분류:폐지된 선거구/일본]][[분류:후쿠시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