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헤이세이 시대/지진]][[분류:2005년 지진]][[분류:대한민국의 재난]][[분류:후쿠오카현의 사건사고]][[분류:사가현의 사건사고]][[분류:통영시의 사건사고]][[분류:나무위키 지진 프로젝트]]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지진)] ||<-3><:>{{{#ffffff {{{+1 2005年福岡県西方沖地震[br]2005년 후쿠오카현 서부 해역 지진}}}}}}|| ||<-4><:>[[파일:Screenshot2005.png|width=100%]]|| ||<-4>[[파일:후쿠오카 지진 한국 진도분포.png|width=100%]]|| ||<:>{{{#ffffff 발생일시[br]^^(UTC+9)^^}}} ||<-2><(> 2005년 3월 20일 10시 53분 40초 || ||<:>{{{#ffffff 진앙}}}||||<(> 일본 후쿠오카현 북서 해역 || ||<:>{{{#ffffff 진원의 깊이}}}||<-2><(>'''9km''' || ||<:>[[지진#s-1.2|{{{#ffffff 규모}}}]]||<-2><(>'''M,,j,, 7.0''' / M,,w,, '''6.7''' || ||<|2><:>[[지진#s-1.2|{{{#ffffff 최대진도}}}]]||<-2><(><#ff2801>{{{#fff '''6약'''}}}[* 계측진도 5.7][br] {{{#fff [[후쿠오카현|{{{#fff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히가시구(후쿠오카)|히가시구]], [[주오구(후쿠오카)|주오구]], [[니시구(후쿠오카)|니시구]], [[이토시마시|마에바루시]]], [[사가현|{{{#fff 사가현}}}]][* 미야키군 [[미야키초|미야키정]]]}}}|| ||<-2><#ffff00><(>'''Ⅳ'''[br]한국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통영시]] || ||<:>{{{#ffffff 해일여부}}}||<-2><(> '''해일주의보''' : 후쿠오카현 서부 연안 - 50cm[* 해일주의보까지 내려졌지만 실제로 관측된 해일은 없었다.][br](국내 영향)[br]'''해일주의보''' : 대한민국 동해안 및 남해안 || ||<:>{{{#ffffff 여진 횟수[br]^^2005. 6. 30^^}}}||<-2><(> '''최대 여진: M 5.8, 진도 5강'''[br]진도 1 이상 '''375회''' || ||<-2><:>{{{#ffffff 피해상황}}}||'''1명 사망'''[br]'''1,262명 부상'''[br]'''피해총액 약 528억 엔''' || ||<-3>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 || ||<-2><#ff2801> {{{#fff '''6-'''}}} || 후쿠오카, 사가 || ||<-2><#fe9900> 5+ || 나가사키 || ||<-2><#fde600> 5- || 오이타 || ||<-2><#fae697> 4 || 시마네, 야마구치, 구마모토 || ||<-2><#0041ff> {{{#fff 3}}} || 기후, 시가, 교토, 효고, 돗토리, 오카야마, 히로시마, 카가와, 에히메, 고치, 미야자키, 가고시마 || ||<-2><#00aaff> {{{#fff 2}}} || 후쿠이, 야마나시, 나가노, 아이치, 미에, 나라, 와카야마, 도쿠시마 || ||<-2><#f2f2fe> 1 || 도쿄, 가나가와, 도야마, 이시카와, 시즈오카 || ||<-3> '''한국 기상청 발표 최대진도 목록''' || ||<-2> '''Ⅳ''' || 경상남도 남동부, 경상북도 동부 || ||<-2> Ⅲ || 경상도 서부, 전라도, 충청도, 제주도 || ||<-2> Ⅱ || 서울, 경기도, 강원도 남부 || || [youtube(eiJJHBcCG_M)] || || '''{{{#FFF 지진 당시 NHK 뉴스 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5년 3월 20일 10시 53분경에 발생한 '''M 7.0'''의 강진으로 [[후쿠오카현]]과 [[사가현]]에서 '''6약'''을, 무려 '''1,070km'''나 떨어진 '''도쿄'''에서도 진도 1의 지진동이 감지되었을 정도로 강력했다. 거기다가 일본 기준 '''해외'''인 '''대한민국 전역'''에 진동이 감지되었다. ==# 여진 #== * 해당 문단의 모든 진앙지는 후쿠오카현이다. * 최대진도 3 이상의 지진만 기재 || 순번 || 일시 || 규모 || 진도 || 비고 || ||<-5> '''2005년''' || || 1 || 03-20 10:53 || M 7.0 ||<#ff2801> {{{#fff '''6-'''}}} || '''1차 강진''' || || 2 || 03-20 10:55 || M 4.6 ||<#0041ff> {{{#fff 3}}} || || 3 || 03-20 11:00 || M 3.6 ||<#0041ff> {{{#fff 3}}} || || 4 || 03-20 11:40 || M 4.0 ||<#0041ff> {{{#fff 3}}} || || 5 || 03-20 20:08 || M 4.4 ||<#0041ff> {{{#fff 3}}} || || 6 || 03-20 20:38 || M 4.5 ||<#0041ff> {{{#fff 3}}} || || 7 || 03-21 06:17 || M 3.9 ||<#0041ff> {{{#fff 3}}} || || 8 || 03-21 23:59 || M 4.8 ||<#0041ff> {{{#fff 3}}} || || 9 || 03-22 15:55 || M 5.4 ||<#fae697> 4 || '''2차 강진''' || || 10 || 03-23 16:46 || M 3.4 ||<#0041ff> {{{#fff 3}}} || || 11 || 03-23 20:58 || M 3.3 ||<#0041ff> {{{#fff 3}}} || || 12 || 03-24 01:58 || M 3.7 ||<#0041ff> {{{#fff 3}}} || || 13 || 03-24 23:38 || M 4.3 ||<#0041ff> {{{#fff 3}}} || || 14 || 03-25 03:43 || M 4.0 ||<#0041ff> {{{#fff 3}}} || || 15 || 03-27 07:58 || M 3.3 ||<#0041ff> {{{#fff 3}}} || || 16 || 04-03 19:04 || M 2.9 ||<#0041ff> {{{#fff 3}}} || || 17 || 04-03 19:05 || M 2.7 ||<#0041ff> {{{#fff 3}}} || || 18 || 04-06 07:59 || M 4.1 ||<#0041ff> {{{#fff 3}}} || || 19 || 04-06 23:35 || M 3.2 ||<#0041ff> {{{#fff 3}}} || || 20 || 04-06 23:58 || M 2.8 ||<#0041ff> {{{#fff 3}}} || || 21 || 04-07 00:17 || M 4.0 ||<#fae697> 4 || || 22 || 04-08 07:31 || M 3.8 ||<#0041ff> {{{#fff 3}}} || || 23 || 04-10 20:34 || M 5.0 ||<#fae697> 4 || '''3차 강진''' || || 24 || 04-14 07:18 || M 3.8 ||<#0041ff> {{{#fff 3}}} || || 25 || 04-20 06:11 || M 5.8 ||<#ff9900> '''5+''' || '''4차 강진''' || || 26 || 04-20 06:22 || M 4.7 ||<#fae697> 4 || || 27 || 04-20 06:44 || M 4.5 ||<#0041ff> {{{#fff 3}}} || || 28 || 04-20 09:09 || M 5.1 ||<#fae697> 4 || '''5차 강진''' || || 29 || 04-20 12:23 || M 3.2 ||<#0041ff> {{{#fff 3}}} || || 30 || 07-05 05:10 || M 4.2 ||<#0041ff> {{{#fff 3}}} || || 31 || 08-03 12:45 || M 3.5 ||<#0041ff> {{{#fff 3}}} || ||<-5> '''2006년''' || || 32 || 01-31 00:19 || M 3.8 ||<#0041ff> {{{#fff 3}}} || ||<-5> '''2008년''' || || 33 || 03-31 03:45 || M 4.0 ||<#0041ff> {{{#fff 3}}} || ||<-5> '''2009년''' || || 34 || 08-17 02:23 || M 3.6 ||<#0041ff> {{{#fff 3}}} || || 35 || 08-17 20:40 || M 3.9 ||<#0041ff> {{{#fff 3}}} || == 피해 == 이 강진으로 1명이 사망했고, 일본을 넘어 부산과 서울에서도 진동이 감지되었다. 심지어 통영에서는 '''지진화재'''까지 발생한 바 있다.[[https://imnews.imbc.com/replay/2005/nwdesk/article/1930664_30781.html|통영 지진화재 기사]][* 화재가 발생한 상가 건물은 당시 기준 '''50년'''이 다 되어가는 심각하게 노후화된 건축물이어서 낡디낡은 전선이 누전을 일으킨 데다 가연성인 목재로 지어져 불이 크게 번진 것이라고 한다. 해당 화재로 인해 전소된 건축물은 화재진압 이후 완전히 철거되었다.][* 당시 부산과 울산, 통영에서는 일본 기상청 기준 진도 '''3''', 수정 메르칼리 진도로는 '''IV'''에 달하는 약간 강한 진동이 느껴졌다고 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동해안과 남해안에서는 해일주의보, 일본 후쿠오카 현, 사가 현 서부 연안에 해일주의보가 발령되었었다. 해당 해일주의보는 정오에 전부 해제되었다. == 논란 == 해일주의보 발령 당시, 일본 기상청은 [[후쿠오카현]] 서부 연안에 지진 4분만인 오전 10시 57분에 발령했는데, 한국 기상청은 그보다 훨씬 늦은 지진 1시간 후('''정오''')에 발령하는 늦장대응으로 구설수에 올랐었다. 실제 해일이 발생했다면, 남해안에 해일이 도착하고도 남았을 시간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지진/200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