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훈민정음 언해본.jpg|width=100%]]}}}|| || 15세기에 쓰인 월인석보 권두본 첫 장.[* 18세기경에 쓰인 박승빈본(육당문고본)은 번역의 시기가 다르므로(그동안 한국어가 달라졌으므로) 번역문이 다르다. 예를 들면 월인석보 권두본의 첫 글은 '''나랏〮말〯ᄊᆞ미〮'''지만, 육당문고본의 첫 글은 '''나랏〮말〯소리〮'''다.] || [목차] == 개요 == {{{+2 [[訓]][[民]][[正]][[音]] [[諺]][[解]][[本]] }}} [[세종대왕]]의 [[훈민정음]]을 우리말로 번역한 책. 현재 1459년 만들어진 원본이 [[서강대학교]] 도서관에, 그 필사본들이 [[서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세종 대왕 기념 사업회, [[일본]] 궁내성 등에 소장되어 있다. 또 다른 명칭으로는 훈민정음주해본(訓民正音註解本)이라고도 부른다. == 내용 == [[조선]]의 4대 왕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최초로 창제하고 [[훈민정음 해례본]]을 반포한다. 그러나 이 해례본은 [[한문]]으로 작성되어 있어 한문에 조예가 있는 사람만이 읽을 수 있었다.[* 이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 처음 한글을 소개하는데 한글로 설명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영어를 모르는 어린이에게 영어를 처음 가르치려면 영어는 큰 글씨로 한 마디만 써놓고 한국어로 뜻이나 발음을 자세하게 써놓는 것과 같다.] 이후 7대 왕 세조가 즉위한 후 세종 때 만들어진 훈민정음을 백성들에게 좀 더 널리 알리기 위한 목적에서 해례본의 서문과 예의(例義) 부분을 한문에 무지한 사람들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완전히 우리말로 언해, 윤문, 번역하고, 훈민정음으로 기록하여 전국에 배포한 책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훈민정음이라 하면 떠올리는 "나랏말싸미 듕귁에달아" 로 시작되는 문장도 여기서 나온 것이다. 따라서 이 말이 번역된 문장이라면 세종이 직접 한 말이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훈민정음 반포(1446년)부터 훈민정음 언해본 간행(1459년)까지의 간격이 겨우 13년에 불과하기에[* 그 사이 [[문종(조선)|문종]]의 죽음, [[계유정난]] 등 굵직한 사건들이 있기는 했지만 언해본 간행 당시까지도 세종 치세에 등용된 신하들이 많이 남아있었다.] 신하들 사이에서 [[구전]]으로 이어졌거나 세종으로부터 직접 듣고 기억하는 신하가 있었다면 세종의 말을 번역 없이 훈민정음 언해본에 그대로 기록했을 가능성도 있다. [[서강대학교]]에 소장된 1459년 초간본 [[월인석보]] 권1에 수록되어 있는 훈민정음 언해본이 가장 오래된 것이며, 훈민정음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자료로 간주되고 있다. == 기타 == * [[남한강]] 여주보에는 훈민정음 언해본 문구가 수록되어 있는데 2011년에 이 부분이 잘못되었다는 지적이 나와 난리가 난 적이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5321739|연합뉴스: 남한강 여주보 '훈민정음 언해본' 오기 논란]] 여주보에 만들어놓은 훈민정음 언해본 구조물은 1459년(세조 5년) 간행한 훈민정음 언해본에서 한자와 주석 부분을 빼고 글자체를 [[월인천강지곡]](1449년)과 비슷한 체로 바꾸어 새겨넣은 것인데, 확인 결과 목구멍 소리 동그라미(o) 등이 오기되어 있다고 한다. * 2010년 5월에는 훈민정음 언해본을 소재로 한 소설이 나온 적이 있다. 책의 작가는 세종 대왕의 훈민정음 한자 전문이 왜 세조 대에 들어온 이후에야 우리말로 번역될 수 있었던 것인가 그리고 또한 어째서 불경인 [[월인석보]] 1권 첫머리에 수록되어야 했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착안해, 세종의 훈민정음이 언해되고 불교 경전에 들어간 것은 세조가 단종에 대한 왕권 쟁탈과 정당성을 위해 사용한 포석이었을 것이라는 허구의 프레임을 우수한 상상력을 통해 풀어나갔다고 소개하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82&aid=0000253845|부산일보: 모반의 연애 편지 / 김다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408824|국민일보: 세조의 왕위 찬탈에 얽힌 비밀 파헤쳐… 김다은 장편 ‘모반의 연애편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5&aid=0002235325|한국경제: 궁궐 편지 84통에 담긴 정치 음모와 사랑]] == 관련 영상 == [youtube(9a34V5g8qM8)] == 외부 링크 == * [[http://blog.daum.net/kbh99/962|세종의 뜻을 받들어 훈민정음을 널리 알린 세조. 석보상절, 월인석보, 훈민정음 언해본, 잠서, 동국정운, 홍무정운역훈]] * [[https://ko.wikipedia.org/wiki/%ED%9B%88%EB%AF%BC%EC%A0%95%EC%9D%8C_%EC%96%B8%ED%95%B4|한국어 위키 백과: 훈민정음 언해]]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85418&cid=41828&categoryId=41828|한글 글꼴 용어 사전: 훈민정음언해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69085&cid=41708&categoryId=41727|한국 고전 문학사: 훈민정음]] *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7477|법보신문: 조선 세조가 혜각존자 신미에게]] [[분류:훈민정음]][[분류:100대 한글 문화 유산]][[분류: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품]][[분류: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해외 소재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