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공동주택 프로젝트]][[분류:동대문구의 공동주택]][[분류:이문휘경뉴타운]][[분류:자이]][[분류:대단지 아파트]][[분류:한경주거문화대상 수상 단지]]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공동주택)] [include(틀:이문휘경)] ||<-2> [[파일:자이 흰색 심볼(2002-2020).svg|height=3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휘경동 172번지, 너비=100%)]}}} || || '''명칭''' || '''휘경자이 디센시아''' || || {{{#fff '''영문명칭'''}}} || Hwigyeong Xi Decencia || || '''종류''' || [[아파트]] || || '''브랜드''' || [[자이|[[파일:자이 BI(2002-2020).svg|width=70]]]] ||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 172번지 일원 || || '''입주''' || 2025년 6월 || || '''동수''' || 15개동 || || '''층수''' || 지하 3층, 지상 35층 || || '''세대수''' || 1,806세대 || || '''면적''' || -㎡ || || '''시공사''' || [[GS건설|[[파일:GS건설 로고.svg|width=70]]]] || || '''주차대수''' || n대 (세대당 n.n대) || || '''홈페이지''' || [[https://xi.co.kr/HGX|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휘경자이 디센시아.png]] 단지배치도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에 들어서는 공동주택. [[이문휘경뉴타운]]으로 지정된 구역들 중 휘경3구역을 재개발하여 들어서는 아파트로 2023년 3월 분양이 예정되었다. [[GS건설]]이 시공할 예정이며 15개동, 총 1,806세대의 대규모 단지로 지어질 예정이다. == 특징 및 시설 == === 주민시설 === === 상업시설 === == 주변 환경 == === [[버스]] 교통 === * [[서울 버스 105]] * [[서울 버스 201]] * [[서울 버스 202]] * [[서울 버스 241]] * [[서울 버스 260]] * [[서울 버스 270]] * [[서울 버스 271]] * [[서울 버스 272]] * [[서울 버스 273]] * [[서울 버스 1213]] * [[서울 버스 1224]] * [[서울 버스 1227]] * [[서울 버스 2115]] * [[서울 버스 2211]] * [[서울 버스 동대문03]] * [[서울 버스 N26]] * [[경기광주 버스 30]] * [[구리 버스 51]] * [[남양주 버스 65]] * [[남양주 버스 88]] * [[남양주 버스 165]] * [[남양주 버스 166]] * [[남양주 버스 166-1]] * [[남양주 버스 170]] * [[남양주 버스 202]] * [[남양주 버스 330번대|남양주 버스 330-1]] * [[남양주 버스 707]] * [[가평 버스 1330-2]] * [[가평 버스 1330-3]] * [[가평 버스 1330-4, -44]] * [[포천 버스 3200]] * [[가평 버스 8005]] === [[철도]] 교통 === *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외대앞역]] 해당 아파트 입주 공고문에 "※ 단지 남측에는 경의중앙선, 경춘선, KTX중앙선 등, 서측에는 1호선(경원선)이 접하여 '''소음이나 먼지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현장을 확인하신 후 계약을 체결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문구가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 (2023.11월 기준) 실제 현장에 방문하여 옆 해모로 아파트 등 주변 건물의 외부 창틀 먼지와 지상철 이동 소음을 측정한 결과 생활에 전혀 문제는 없어보였다. === 교육 === == 논란 및 사건 사고 == === 폭우 중 레미콘 타설 논란 === ||[youtube(NWPzEOZ8f8Y)]|| [[2023년]] [[7월 11일]],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는 1시간 만에 70㎜가 넘는 [[비]]가 쏟아지면서 일 [[강수량]]이 100㎜를 넘었고 시범운영 중인 [[긴급재난문자]]까지 처음 발송된 상황에서 [[GS건설]]은 콘크리트 타설을 감행해 논란이 되었다. 당시 [[대한민국 기상청|기상청]]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일대에 [[호우주의보]]를 발효한 상황이었다. [[https://www.k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06938|기사]] 건설업계에서는 호우 시에는 콘크리트 타설을 진행하지 않는 게 일반적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품질이 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도 소홀해질 수 있어서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어제(11일)같이 비가 많이 내릴 때는 가능하면 콘크리트 타설을 피한다”며 “기본적으로 작업자들의 관리 등이 소홀해질 수도 있고, [[레미콘]]을 감싸고 있는 시멘트 표면 코팅이 씻겨져 내려가 품질도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265370|기사]] 이 일로 인해서 순살자이, 자이아가라 폭포, 케리비안 자이에 이어서 '''물갈비 자이'''라는 오명까지 생기고 말았다. [[서울역센트럴자이]]의 필로티 기둥 파손 및 외벽 균열 사고,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현장 붕괴사고]], [[신반포자이]]의 외벽균열 사고 등 연일 들려오는 [[GS건설]]의 사고 소식에도 불구하고 폭우 중에 콘크리트 타설을 강행한 것은 여전히 팽배한 GS건설 내부의 [[안전불감증]]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여러 민원이 들어왔고, [[동대문구청]]에서 GS건설에 공사를 부분 중지시키라는 통보를 하였다. 이후 콘크리트 강도 등을 측정하고 안전점검을 마쳐야 공사가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 [[동대문구청]]에서 "콘크리트 안전 점검 결과 이상이 없다"고 통보하였고, 안전 점검 결과 콘크리트 강도가 오히려 기준 이상으로 측정되어 다시 공사가 진행중이다. == 관련 문서 == * [[아파트]] * [[이문휘경뉴타운]] * [[GS건설]] * [[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