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마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필살기 카드(유희왕 러시 듀얼))] [목차]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card100250981_1.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한글판명칭=흑염탄, 일어판명칭=黒炎弾(こくえんだん), 영어판명칭=Inferno Fire Blast (미발매), 조건=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의 "붉은 눈의 흑룡"이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에게 2400 데미지를 준다. 이 턴에\, 자신은 "붉은 눈의 흑룡"으로 공격할 수 없다.)] [[흑염탄]]의 [[유희왕 러시 듀얼]] 버전. 원래 공격력을 참조했던 OCG 버전과는 달리 효과 데미지 수치가 무조건 2400으로 고정되었다. 이로 인해 카드명을 복사하는 [[스플레임]]이나, 원래 공격력을 변경하는 [[오른손엔 방패 왼손엔 검(유희왕 러시 듀얼)|오른손엔 방패 왼손엔 검]] 등이 적용된 상태라도 상관없이 정해진 수치의 데미지가 가해진다. OCG와 마찬가지로 발동 한 방에 [[붉은 눈의 흑룡(유희왕 러시 듀얼)|붉은 눈의 흑룡]]의 직접 공격이나 다름없는 데미지를 줄 수 있다. 하나만으로도 상대의 초기 LP의 약 3분의 1을 깎아버릴 수 있으며, 여러 장 발동할 수만 있다면 7200 데미지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문제는 [[붉은 눈의 흑룡(유희왕 러시 듀얼)|붉은 눈의 흑룡]]을 필드로 꺼내야되는데다, 발동 턴에는 그 흑룡의 공격을 포기해야된다는 점. 상대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할 수 없게 되지만, 2400이나 되는 데미지의 대가라 생각하면 감수할 만한 디메리트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그 [[붉은 눈의 흑룡(유희왕 러시 듀얼)|붉은 눈의 흑룡]]이 덱에 1장밖에 넣지 못하는 [[레전드 카드]]라는 점인데, 그런 카드가 첫 패에 잡힌다는 보장도 없다 보니 저절로 이 카드가 그냥 패에서 썩어날 가능성도 높다. 원턴킬을 위해 무작정 풀투입을 시도하다간 [[패 말림]]만 자초할지도 모르는 일. 이렇듯 리턴은 제법 크지만 리스크 역시 만만찮은 카드이므로 덱 회전을 책임질 카드를 같이 써주는 편이 좋다. 이런저런 콤보로 흑룡을 묘지로 묻어준 뒤에 [[피닉스 드래곤]]으로 흑룡을 회수하거나 [[오리진 오브 레전드]], [[시크릿오더]] 등을 활용해서 발동 기회를 챙기면 될 것이다. [[유희왕 SEVENS]] 24화에서는 [[오티스(유희왕)|오티스]]가 사용. [[카미조 타츠히사|루크]], [[소게츠 가쿠토]], [[키리시마 로민]]과의 듀얼에서 모두 선공 첫 턴에 발동해 대량의 LP를 깎았다. 거기다 [[흑룡의 노호]]의 효과로 덱 맨 위로 회수되어 다음 턴 재활용을 노렸지만, 그 전에 가쿠토가 승리하는 바람에 다시 사용할 기회는 없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0-05-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VJMP-JP003 | '''[[유희왕 러시 듀얼/기타 카드#전설의 붉은 눈의 흑룡|ビクトリーパック - 伝説の真紅眼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1-1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GRP1-JP047 | [[골드 러시 팩|ゴールドラッシュ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01-3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PR01-KR003 | '''런칭 기념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2-05-2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GRP1-KR047 | [[골드 러시 팩|그랜드 러시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붉은 눈의 흑룡(유희왕 러시 듀얼)|붉은 눈의 흑룡]]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흑염탄, version=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