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송 황후)] [include(틀:송사)] ||<-2> '''{{{#ece5b6 북송의 추존 황후[br]{{{+1 欽成皇后 | 흠성황후}}}}}}''' || || '''[[시호|{{{#ece5b6 시호}}}]]''' ||<(> 흠성황후(欽成皇后) || || '''[[성씨|{{{#ece5b6 성}}}]]''' ||<(> 주(朱) || || '''{{{#ece5b6 출생}}}''' ||<(> 1052년 || || '''{{{#ece5b6 사망}}}''' ||<(> 1102년 || || '''{{{#ece5b6 배우자}}}''' ||<(> [[신종(송)|신종]] || || '''{{{#ece5b6 아버지}}}''' ||<(> 생부 최걸(崔傑), 계부 주사안(朱士安)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송]]시대의 황후로 [[신종(송)|신종]]의 황후이자 [[철종(송)|철종]]의 모후이다. 흠성황후, 주황후로 불린다. == 황후 책봉과 황태비 생활 == 1052년에 개봉에서 최걸의 딸로 태어났으나, 최걸이 죽고 가세가 기울어 모친인 이씨가 주사안에게 시집을 가면서 주사안의 성을 따라 주씨가 되었다. 신종 희령 연간[* 1068년~1077년]에 시녀로 입궁하여, 훗날 재인, 첩여를 거쳐 [[철종(송)|철종]]과 채왕 조사, 서국공주 등 2남 1녀를 낳고 덕비로 작위가 올라갔다. 신종 사후, 주덕비 소생인 철종이 즉위하면서 황태비가 되었고, 원우 3년(1088년)에 성서궁에 거처하였다. == 철종 사후 == 1099년에 철종과 [[소회황후]] 사이에서 낳은 유일한 아들인 [[헌민태자]]가 죽고, 이듬해에 철종이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나면서, 후계자 논의는 자연스레 철종이 사망한 1100년 기준으로 생존한 신종의 아들들[* 신왕 조필, 단왕 조길, 연왕 조오, 간왕 조사, 정왕 조시] 중에서 선정해야 했다. 당시 재상이었던 [[장돈]]은 심한 눈병을 앓고 있던 신왕 조필을 건너뛰고, 철종과 같은 주덕비의 소생인 간왕 조사를 후사로 삼을 것을 주장했으나, 철종의 생모인 덕비 주씨와 사이가 안 좋았던 [[흠성헌숙황후]]는 단왕 조길을 철종의 후사로 세울 것을 주장했다.[* 흠성헌숙황후는 덕비 주씨의 소생이 철종뿐만 아니라 그 동복동생인 간왕 조사까지 황제가 되면 덕비 주씨가 사실상 정실과 다름없어진다고 생각하여 단왕 조길을 세우는 것을 더욱 주장했다.] 장돈은 단왕 조길을 즉위시키자는 태후의 주장에 "그분은 행동거지가 경박하여 황제가 되는 건 불가합니다"라고 반대했지만, 흠성헌숙황후의 의견이 관철되고 이 과정에서 여러 이해관계가 얽혀 결국 단왕 조길이 황제로 즉위하게 되니, 이가 바로 제8대 황제인 [[휘종(송)|휘종]]이었다. 주 태비는 휘종이 즉위하고 2년 후인 숭녕 2년(1102년)에 사망하여, 황후로 추존되고 시호를 흠성(欽成)이라고 하였으며, 신종의 무덤인 영유릉에 합장되었다. [[분류:송나라의 황후]][[분류:1052년 출생]][[분류:1102년 사망]][[분류:카이펑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