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흡충류)] [목차] == 개요 == 흡충들이 거치는 생애주기에 대해 설명한다. == 상세 == 알에서 나온 뒤 성숙한 흡충들은 다른 동물이랑은 다르게 유아기와 아동기 사이 2 차례에 걸친 [[무성생식]]기가 있으며, 이때 머릿수가 엄청 많이 늘어난다. 이후엔 다른 동물들처럼 성기가 성숙하여 [[유성생식]]을 통해 임신하고 알을 낳는 과정을 밟는다. [[https://en.m.wikipedia.org/wiki/Trematode_life_cycle_stages|Trematode_life_cycle_stages]] == 발달과정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이생류 생애주기.jpg|width=100%]]}}}|| '''이생류 생애주기''' (1) - 대두흡충상과 (2) - [[주혈흡충]]상과 (3) - 몇몇 사고흡충상과 (4) - 몇몇 후고흡충상과 (5) - [[간질]]과 (6) - 비접흡충상과 === 미라시듐기 === {{{+1 Miracidium}}} ==== [[알]](태아기) ==== 성인기 흡충이 깐 알은 최종숙주의 똥오줌 등을 통해 바깥 세상으로 나온다. 다른 동물이랑은 다르게 알 한쪽에는 뚜껑이 달려있다. 안에는 태아기 Miracidium이 들어있으며, 아동기에 진입하면 알을 깨고 나온다. ==== 자유생활(유아기) ==== 이 때의 Miracidium기 흡충은 온몸에 움직일 수 있는 작은 털들이 나있으며, 이걸 통해 움직일 수 있다. 여기까지는 다른 동물들이랑 비슷하지만 그다음 부터는 흡충 특유의 발달과정을 보인다. === 무성생식기 === 흡충들만 거치는 발달과정이며, Miracidium기 흡충이 첫번째 숙주에 자리잡고 나면 이 시기에 진입하며, 이들은 [[복족류]]를 숙주로 삼는다. 이 발달시기에 해당하는 흡충들은 그다음기 흡충 수십수백마리를 '''자동으로 [[임신]]'''하는데, 이 임신된 태아(?)들은 어미 흡충 안에서 성숙한 뒤 출산을 통해 나오게 된다. ==== 낭상충(스포로시스트)기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Sporocyst기.png|width=100%]]}}}|| {{{+1 Sporocyst / 囊狀蟲}}} Miracidium기 흡충이 첫번째 숙주에 자리잡고 나면 [[탈모|털들이 떨어져나간 뒤]] 이 단계에 진입한다. 체내에는 배세포군(胚細胞群)이라는 세포 뭉치가 있는데, 이것이 발육하면서 몇 마리에서 수십 마리의 레디아가 된다. 이때는 비록 발달시기에 포함되기는 하나, 사실 Sporocyst는 생물이라기 보단 태아 Redia기 흡충들을 기르기 위한 [[인큐베이터]]같은 것에 더욱 가깝다. ==== 레디아기 ==== {{{+1 Redia}}} 태아 시기에 무성생식을 한다. 그 후 Sporocyst가 Redia형 흡충을 출산하고 나면 이놈들은 아까랑 비슷하게 Cercaria를 임신한다. 얘네들은 Sporocyst랑 다르게 입이 달려있는 등 Sporocyst보다 더욱 생물에 가까운 모습이다. 보통은 이 시기를 한 번 거치지만 [[류코클로리디움]]은 이 시기를 안 거치며, [[간질]]류는 두 번 거친다. === 셀카리아(미충)기 === {{{+1 Cercaria / 尾蟲}}} [[아동]]기에 해당하며, 이 발달시기 상 주요 특징으로는 먼저 [[올챙이]]처럼 [[꼬리]]가 달린 것인데, 중구흡충목 흡충들은 꼬리 끝이 두갈래로 갈라진 모양이며, [[사고흡충목]] 대부분은 꼬리가 한가닥이다. 특이사항으로 사고목에 속한 대두흡충아목 계열은 엉덩이에서 두 갈래로 갈라진 꼬리를 가지며, Transversotrema류는 끝이 두갈래로 갈라진 꼬리+엉덩이에 난 한 쌍의 짧은 꼬리를 가진다. 그리고 검은색 [[눈(신체)|눈]]이 두 개 달려있다. 얘네들도 태아 시기 때에 무성생식을 하며, 이후 Redia가 이들을 출산한 뒤에는 자유생활을 하면서 다음 숙주를 향해 헤엄친다. 류코클로리디움 셀카리아는 밖으로 나오는 거 없이 스포로시스트 안에서 메타셀카리아로 성숙한다. === 메타셀카리아기 === {{{+1 Metacercaria}}} Cercaria기 흡충이 두번째 숙주 살을 파고들어가면 꼬리가 떨어지면서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이 시기로 접어든다. 이 발달시기에 이른 흡충은 살 속에서 낭포를 지은 뒤 다음 숙주로 들어갈 때까지 잠시동안 성장을 멈춘 채 대기하며, 이후 Metacercaria기 흡충이 최종숙주에 들어가면 피낭을 벗고 다시 발달을 시작하는데 특히 [[생식 기관|성기]]의 성숙이 두드러진다. [[주혈흡충]]들처럼 세르카리아기 흡충이 직접 종숙주로 진입할 경우에는 낭포 형성 없이 바로 메타세르카리아기로 진입하면서 성숙이 이루어진다. === [[성충]]기 === {{{+1 Adult}}} Metacercaria기 흡충의 생식기관이 충분히 성숙하고 나면 드디어 [[성충]]기에 접어들게 되며, 이때부터는 [[유성생식]]이 가능해진다. [[분류:흡충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