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진(희성) 군주)] |||||| '''{{{#ece5b6 진(晉)나라 20대 국군[br]{{{+1 해제}}}[br]奚齊}}}''' || |||| '''[[성씨|{{{#ece5b6 성}}}]]''' ||희(姬) || |||| '''[[본관|{{{#ece5b6 씨}}}]]''' ||진(晉) || |||| '''[[휘|{{{#ece5b6 휘}}}]]''' ||해제(奚齊) || |||| '''{{{#ece5b6 아버지}}}''' ||[[진헌공]](晉獻公) 궤제(詭諸) || |||| '''{{{#ece5b6 어머니}}}''' ||[[여희]](驪姬)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651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65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진(희성)|진나라]]의 20대 [[군주]]. [[진헌공]]의 [[아들]]. [[진문공]], [[진혜공]]의 이복동생. [[희탁자|탁자]]의 이복형. 진헌공과 [[여희]] 사이에서 태어났다. == 생애 == 위에 언급한 대로 여희의 소생으로 [[태자 신생]], [[진문공]], [[진혜공]]의 이복동생이다. 헌공은 여희에게서 해제를 얻었고, 여희의 동생에게서 탁자를 얻었다. 그리하여 헌공은 여희를 더욱 총애하게 되었다. 여희가 낳은 자식은 적자가 아니었으므로 헌공의 다른 아들을 죽이거나 몰아내는 흉계를 꾸민다. 신생은 여희의 계략에 걸려 자결하고, 중이[* 진문공의 이름]와 이오[* 진혜공의 이름]는 각기 적나라와 양나라로 달아났다. 그 후 진헌공이 병사하자 헌공의 총신인 순식과 여희는 진헌공의 뜻대로 해제를 진나라 군주로 삼았다. 그러나 해제는 대부 이극에 의해 [[살해]]되었다. 해제의 뒤는 이복동생인 탁자가 이었다. [각주] [[분류:진(晉)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65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