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99999>{{{#ffffff MPC 지정 번호 순 소행성(Minor Planet) }}}|| ||<:>9 [[메티스#s-4]]||←||<:>'''10 히기에이아'''||→||<:>11 [[파르테노페]]|| ||<:><-2>[[중국어]] : 健神星(건신성)[br][[일본어]] : ヒギエア[br][[영어]] : Hygiea[br][[에스페란토]] : Hygiea|| ||<:> '''기호'''||[[파일:히기에이아 기호.svg|width=30px]]|| ||<:> '''구분'''||[[소행성]]대 천체[br]('''히기에이아 소행성족''')|| ||<:> '''크기'''||450×430×424(±10×10×20) km[*출처1 출처 : [[https://www.eso.org/public/archives/releases/sciencepapers/eso1918/eso1918a.pdf|A basin-free spherical shape as outcome of a giant impact on asteroid Hygiea]]]|| ||<:> '''평균 지름'''||434(±14) km|| ||<:> '''궤도 장반경'''||3.14023358 천문단위(AU) || ||<:> '''원일점'''||3.49403753 천문단위(AU)|| ||<:> '''근일점'''||2.78642963 천문단위(AU)|| ||<:> '''궤도 경사각'''||3.831746408°|| ||<:> '''이심률'''||0.1126680356|| ||<:> '''공전 주기'''||2,032.550557일(5.56년)|| ||<:> '''자전 주기'''||13.8256 시간[*출처1]|| ||<:> '''온도'''||약 164K|| ||<:> '''겉보기 등급'''||+9.0~+11.97|| || [[파일:10 Hygiea.png|width=500]] || || VLT-SPHERE로 찍은 히기에이아의 이미지 || 1849년 4월 12일 발견한 탄소질 소행성으로 소행성대 내에서 4번째로 큰 동시에 4번째로 무거운 천체로 어원은 [[그리스 로마 신화]]의 건강의 여신이다. '''히기에이아 소행성족'''의 대표격 천체로 히기에이아 소행성족 질량의 90%를 차지한다. 또한 가장 큰 C형 소행성이며 소행성대 전체 질량의 2.9%를 차지하고 있다. 어두운 표면을 가졌으며 세레스나 [[베스타(소행성)|베스타]]보다 평균적으로 멀리 떨어진 편이기에 크기에 비해 상당히 어둡게 보이는 편이다. 또한 금속질의 베스타보다는 세레스와 비슷하게 얼음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에는 세레스보다 더 작은 [[왜소행성]] 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https://phys.org/news/2019-10-eso-telescope-reveals-smallest-dwarf.html|#]] 그러나 자체중력으로 구형이 만들어진건지 아니면 충돌로 인해 만들어진건지가 불분명해서 현재로서는 소행성으로 분류되고 있다. [[2056년]] [[세레스(왜행성)|세레스]]에 0.025 [[천문단위|AU]]까지 접근할 예정이며, 2063년 소행성 [[팔라스(소행성)|팔라스]]에 0.02 [[천문단위|AU]]까지 접근할 예정이다. == 관련 문서 == * [[소행성]] [[분류:소행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