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히든싱어4)]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히든싱어)] [목차] == 개요 == 히든싱어 네 번째 왕중왕전에 대한 내용을 서술한 문서. == 패널 == ||||<|14> '''{{{#f7e67a 패널}}}''' || [[소찬휘]] || || [[신지]] || || [[민경훈]] || || [[김흥국]] || || [[앤씨아]] || || [[주영훈]] || || [[김정민(1968)|김정민]] || || [[솔비]] || || [[송은이]] || || 김경인 || || [[안나경]] || || [[송민교]] || || [[조수애]] || || [[Apink]][br]([[윤보미]], [[오하영]]) || == 모창능력자 명단 == ||[[파일:히든 싱어 4기 모창 능력자 명단.jpg|width=600]]|| 히든싱어 시즌 4 왕중왕전에 진출한 모창 능력자는 총 13명이다. 이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게 싶다면 [[히든싱어4|상위 문서]] 참조. * 제주도 소찬휘 주미성 - 공동으로 왕중왕전에 진출한 모창능력자. * 대학로 보아 서영서 - 3위와 1표 차이로 왕중왕전에 진출한 모창능력자. * 오케스트라 임재범 김진욱 - 오케스트라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2~3라운드 때 [[임재범]]보다 더 임재범 같았던 모창능력자. * '''내 사람 김진호 김정준''' - [[김진호]]를 꺾고 우승을 차지한 모창능력자 * 제약회사 김정민 김종문 - 방영 당시에는 3위를 차지한 모창능력자보다 모창 퀄리티가 떨어진다는 평을 받은 모창능력자. 왕중왕전에서는 본편보다 더 향상된 실력을 보여줄지가 관건. * 완도 소찬휘 황인숙 - 공동으로 왕중왕전에 진출한 모창능력자. * '''물리치료사 민경훈 박경원''' - [[민경훈]] 편의 모창능력자. * 희망사항 변진섭 이승철 - [[변진섭]] 편의 모창능력자. * 누구 신지 김수진 - [[신지]] 편의 모창능력자. * 가왕 신해철 정재훈 - [[신해철]]의 제자로 신해철과 목소리가 비슷한 모창능력자. * 듣기평가 거미 이은아 - 듣기 평가 때 거미 파트를 맡았으며, 1-2라운드 1위를 차지한 모창능력자. * 의정부 이은미 박연경 -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듣기 평가 때 이은미 파트를 맡았던 모창능력자. * 04학번 김연우 [[장우람(가수)|장우람]] - [[김연우]] 편의 모창능력자. 슈퍼스타K6 출신이며 이후 시즌부터 모창능력자들의 보컬 트레이너로 활약 중이다. == 조별 참가자 == * 시즌1 이후 여성 모창능력자가 파이널에 진출함과 동시에 여성 출연자 최다득표(265표) 기록을 경신했으며 B조의 결과 공개 때 스태프의 실수였는지 첫자리가 1로 시작하는 4위를 한 모창능력자의 득표에도 물음표를 넣어버려서 도전자를 두번 죽이는 일이 일어났다. * C조에서는 김연우 모창자를 제외하고 모두 250표대에서 갈렸는데 단 1표차로 신해철 모창자를 꺾고 거미 모창자가 259표로 우승하면서 최초로 여성 모창능력자 2명이 올라간 시즌이 되었다. 신해철 모창자의 TOP4 진출 좌절을 보고 시즌 1 바비킴 편 모창능력자가 연상된다는 사람도 있었다. * 13명의 모창자 중에서 8명이 250표 이상을 받았고 최저 득표자도 184표일 정도로 전반적인 득표 자체가 굉장히 높은 편이었고 그만큼 모창자들의 싱크로율도 높아서 죽음의 조가 아니라 그냥 시즌 자체가 죽음의 시즌으로 불리고 있으며 많은 찬사가 쏟아졌다. * 다만, 이와는 별개로 생방송이 방영되기도 전 소찬휘 모창자였던 완도 소찬휘 황인숙이 스포일러를 해서 논란이 됐었다. 왕중왕전 생방송 진출자들을 예상한 블로그의 댓글들에 '어떻게 아셨어요?'라고 댓글들을 다는 바람에 졸지에 스포일러를 한 셈. 만약에 스포일러를 시즌 1이나 시즌 5 이후에 했었더라면, 완도 소찬휘 황인숙은 '''법적 소송에 휘말렸을지도 모른다.[* 시즌1, 5 이후에는 생방송 파이널이 없었고 현장 녹화에서 왕중왕전 결과가 나오기 때문이다.]''' == 기존 룰 == 이 시즌에서도 각각 A,B,C조로 나뉘어지며 각 조에서 1위를 한 모창능력자들은 왕중왕전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는 방식이 기존과 똑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시즌 3에서부터 적용된 "와일드카드" 제도 또한 이 시즌에서도 적용되며 왕중왕전 파이널에 진출한 4명[* 기존의 각 조 1위+ 와일드 카드 1명]의 모창능력자들 중 4등[* 200만원]에게도 똑같이 상금이 주어진다. == A조 == === 주미성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A-1 || 제주도 소찬휘 || 주미성 || 현명한 선택 || [[소찬휘]] || 185 || ||
'''{{{#d6d1ff 영상}}}''' || || [youtube(kBpM80tIKRc)]|| 본편에서 소찬휘의 목소리 뿐 아니라 외모마저 닮았다는 평을 받은 주미성은 소찬휘의 현명한 선택을 불렀다. 비록 결선 진출은 실패했지만 이는 실력 문제라기보단 첫 순서라는 마이너스 요소와 Tears의 비해 인지도가 낮은 곡을 선택한 탓이 크다. === 서영서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A-2 || 대학로 보아 || 서영서 || Valenti || [[보아]] || 220 || ||
'''{{{#d6d1ff 영상}}}''' || || [youtube(0HKSSUcN9Js)]|| 실력 자체는 나쁘지 않다는 평을 받았으나, 여러모로 불리한 점이 많았기 때문에 표 수 자체는 그다지 많이 받지 못 했다. 춤과 모창 실력, 가창력까지 모두 갖춘 상당한 능력자였음을 생각하면 굉장히 아쉬운 점. 여담으로 댄서로는 보아 편의 모창능력자 2명이 출현했다. === 김진욱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A-3 || 오케스트라 임재범 || 김진욱 || 너를 위해 || [[임재범]] || 223 || ||
'''{{{#d6d1ff 영상}}}''' || || [youtube(HSk8N-Kdzew)]|| 김정준 vs 김종문 양강구도에 밀려 제대로된 주목조차 받지 못 한 비운의 모창능력자다. 음색 자체는 비슷하지만 임재범에 비해 목소리가 가늘다는 평가가 많으며, 모창 실력을 떠나서 노래를 대단히 잘한다는 평을 받았다. === 김정준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A-4 || 내사람 김진호 || 김정준 || 살다가 || [[SG워너비]] || '''{{{#00ff00 274}}}''' || ||
'''{{{#d6d1ff 영상}}}''' || || [youtube(WMy6gersvQc)]|| 김진호를 이겼던 김정준은[* 2라운드 탈락 뿐 아니라 최종라운드에서도 이겼다.] 노래의 시작부터 관중들의 환호성을 일으켰고, 후렴에서는 아예 사람들을 감동시켰다. 그리고 그 결과, 같은 조에 다른 모창능력자들과 큰 차이로 결승전에 진출한다.[* 김종문이 잘하긴 했지만 다른 조들의 1위와 2위의 차이보다 표수가 많이 차이났다.] 여담으로 노래할 때 입을 크게 벌려서 유튜브 댓글에 이와 관련된 말이 많다. === 김종문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A-5 || 제약회사 김정민 || 김종문 || 무한지애 || [[김정민(1968)|김정민]] || 256 || ||
'''{{{#d6d1ff 영상}}}''' || || [youtube(rauVwuTzBkE)]|| 왕중왕전 전 까지는 논란이 있었던 모창능력자였지만 왕중왕전에서 상당한 퀄리티의 무대를 보여주며 명예 회복에 성공한다. 다만 지난 시즌의 김재현, 박민규와 달리 결승전에 진출하지는 못했다. 김정준이 워낙에 막강한 경쟁자였던 탓도 있지만, 원조 가수가 젊은 세대에게 낯선 것도 있다. == B조 == === 황인숙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B-1 || 완도 소찬휘 || 황인숙 || Tears || [[소찬휘]] || '''{{{#00ff00 265}}}''' || ||
'''{{{#d6d1ff 영상}}}''' || || [youtube(dolHPy_wIRY)]|| 분명 우승후보였던 박경원을 이겼던 실력자였지만 스포일러 논란과 주미성의 활약으로 인해서 저평가 당했던 모창능력자다. 이것과 별개로 유튜브 조회수는 무려 700만뷰를 넘겼다. 다만 유튜브 댓글에서도 노래를 잘한 것이지 모창을 잘한게 아니라는 혹평이 꽤 많지만 별개로 가창력은 매우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다. === 박경원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B-2 || 물리치료사 민경훈 || 박경원 || 남자를 몰라 || [[버즈(한국 밴드)|버즈]] || '''{{{#ffcc00 257}}}''' || ||
'''{{{#d6d1ff 영상}}}''' || || [youtube(oLaKx1wTAv4)]|| 민경훈을 이겼던 모창능력자인 박경원은 원조가수의 세세한 포인트를 살려내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 아쉽게도 황인숙 때문에 결승전에 진출을 못할 뻔했으나 결국 와일드카드로 진출에 성공한다. === 이승철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B-3 || 희망사항 변진섭 || 이승철 || 숙녀에게 || [[변진섭]] || 197 || ||
'''{{{#d6d1ff 영상}}}''' || || [youtube(HNOXRowmSqQ)]|| 비록 득표수는 197표로 전체 11등 이었지만 전 시즌에서 본인보다 득표수가 적은 사람이 6명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아주 낮은 득표수는 아니다. 그리고 원조 가수가 젊은 세대에게는 낯설다는 점과 이승철이 있었던 B조는 죽음의 조라고 불렸음을 생각하면 나름대로 선전했다고 볼 수있다. === 김수진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B-4 || 누구 신지 || 김수진 || 비몽 || [[코요태]] || 256 || ||
'''{{{#d6d1ff 영상}}}''' || || [youtube(kki0kH-PNQg)]|| 타 모창능력자들에 비해 곡의 길이[* 정확히는 곡에서의 신지 파트.]가 비교적 짧은 편이기 때문에 불리할 수 있는 선곡이었으나,[* 실제로 다음 시즌에 케이윌 모창능력자 정한이 이 때문에 222표(...)[* 시즌 5에서 220점 대면 지극히 평범한 수준이다.]라는 매우 아쉬운 성적을 거두었다. 그의 실력을 생각하면 정말 아쉬운 부분.] 이러한 핸디캡을 극복했다는 평을 받았으며 신지는 김수진의 첫 소절을 듣고 환호하였다. 그러나 황인숙과 9표 차이로 결승전 진출에 실패하였다. 정재훈, 김종문과 함께 와일드카드로 박경원 대신 올라가야 했다는 말이 많다. 물론 이는 박경원의 실력을 폄하하는 것은 아니고 그만큼 이 시즌에서 아쉽게 탈락한 실력자들이 많다는 것이다.--[[히든싱어6/왕중왕전|다음다음 시즌]]에서 몇명이나 아쉽게 탈락했는지 생각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 C조 == === 정재훈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C-1 || 가왕 신해철 || 정재훈 || 그대에게 || [[무한궤도(밴드)|무한궤도]][* 사실상 [[넥스트(밴드)|N.EX.T]] 버전에 더 가깝다.] || 258 || ||
'''{{{#d6d1ff 영상}}}''' || || [youtube(LcCij1dpYC8)]|| 시청자들이 아쉬워한 모창능력자로 상당한 실력을 보여줬음에도 단 1표차로 아쉽게 결승전에 진출하지 못했고, 와일드카드에서도 자신보다 1표 적은 박경원에게 밀렸다. 비록 결승전 진출에 실패했지만 이 모창능력자가 대단한 이유는 타 모창능력자와는 달리 본인의 포인트를 짚어줄 원조가수가 없기 때문에 홀로 연습해야 했지만, 이러한 불리함을 극복하고 휼륭한 실력을 보여줬다. === [[이은아(가수)|이은아]]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C-2 || 듣기평가 거미 || 이은아 || 친구라도 될 걸 그랬어 || [[거미(가수)|거미]] || '''{{{#00ff00 259}}}''' || ||
'''{{{#d6d1ff 영상}}}''' || || [youtube(qvVqXLf9vc0)]|| 엄청난 싱크로율의 모창능력자로 강적이었던 신해철 모창능력자 정재훈을 한표자 차이로 꺾었으며 노래 자체를 잘한다는 평도 많았다. 이후 이은아는 2020년 [[싱어게인]]에 출연했으나 안타깝게도 통편집되었다. === 박연경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C-3 || 의정부 이은미 || 박연경 || 녹턴 || [[이은미]] || 254 || ||
'''{{{#d6d1ff 영상}}}''' || || [youtube(Gqia23J7h5k)]|| 이은아와 단 5표 차이로 결승전 진출에 실패한 모창능력자지만, 정재훈 vs 이은아와의 양강 구도에 밀려 큰 주목을 받지는 못 했다. 만일 녹턴보다 인지도가 있는 애인 있어요를 선곡했다면 이은아를 이겼을지도 모르는 일.[* 그러나 3라운드에서 4명 중 3위로 올라간 것을 보면 녹턴이 본인에게 더 유리했을 것이다.][* 이후 녹턴이 여러 경연프로그램에서 선곡되며 애인 있어요 수준으로 인지도가 올랐다.] 김종문과 마찬가지로 (젊은 세대층에서의) 인지도 부족으로 패배했다는 의견도 있다. 여담으로 원곡에서 키를 낮춰 불렀다. === [[장우람(가수)|장우람]] === ||
'''{{{#d6d1ff 엔트리}}}''' || '''{{{#d6d1ff 닉네임}}}'''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C-4 || 04학번 김연우 || [[장우람(가수)|장우람]] || 사랑한다는 흔한 말 || [[김연우]] || 184 || ||
'''{{{#d6d1ff 영상}}}''' || || [youtube(Sj7YzgYf_2g)]|| 가장 적은 득표수를 받은 모창능력자로 음색이 다르다는 평이 많았다. 다만 그것과는 별개로 노래를 굉장히 잘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히든싱어 시즌5부터는 모창능력자들의 보컬트레이너로 모습을 비췄다. == 특별공연 == ||
'''{{{#d6d1ff 영상}}}''' || || [youtube(fcif0I0RvNg)]|| ||
'''{{{#d6d1ff 영상}}}''' || || [youtube(IGuOO4keymk)]|| ||
'''{{{#d6d1ff 영상}}}''' || || [youtube(9_LqeDc-Z1U)]|| 13명의 모창능력자와 전인권이 사노라면[* 김종문, 박연경, 박경원, 김진욱, 김수진, 장우람, 이승철, 서영서, 이은아, 김정준, 정재훈, 황인숙, 주미성 순서로 릴레이로 불렀다.], Imagine[* 전인권이 솔로로 불렀다.], [[걱정말아요 그대]][* 도입부는 전인권, 정재훈이 불렀으며 하이라이트는 모두 합창했다.]를 각 가수의 목소리로 열창했다. == 결승전 == || '''{{{#d6d1ff 이름}}}'''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 수}}}''' || || 황인숙 || 현명한 선택 || [[소찬휘]] || '''{{{#cd7f32 101,489}}}''' || || 김정준 || Timeless || [[SG워너비]] || '''{{{#c0c0c0 151,451}}}''' || || 이은아 || 기억상실 || [[거미(가수)|거미]] || '''{{{#ffd700 154,139}}}''' || || 박경원 || 겁쟁이 || [[버즈(한국 밴드)|버즈]] || 99,888 || * 와일드카드 투표에서 무려 49.89%의 지지율로[* 다만 지난 시즌의 임재용의 88%에 비해 크게 득표율이 줄었는데 이는 원탑이던 시즌3과 달리 신지 모창자 김수진, 신해철 모창자 정재훈과의 온라인상 경쟁이 있었기 때문이다. ] 물리치료사 민경훈 박경원이 마지막 파이널 진출자로 선정되었다. * 최종 결과는 왕중왕: 이은아, 준우승: 김정준, 3등: 황인숙, 4등:박경원이다. * '''히든싱어 사상 최초로 여성 모창자가 왕중왕이 되었으며''' 그 주인공은 거미 편 준우승자 이은아로 김정준과 접전을 벌였다. 또한 원조가수를 이긴 모창자가 두명이나 올라왔는데 이들을 모두 꺾고 우승자가 되었다. * 뒷 이야기가 밝혀졌는데 모창자 김정준이 '내 사람'을 연습하다가 다시 성대결절이 찾아와서 불가피하게 선곡을 바꿀수 밖에 없었다고 하니 그의 평소 실력을 생각하면 아쉬울 따름. * [[터보(그룹)|터보]]가 히트곡인 'Love is'와 '트위스트 킹', '다시', '스키장에서'로 축하 무대를 꾸몄으며 김종국은 히든싱어 시즌 1에서 원조가수로 나온 적이 있었다. == 역대 왕중왕전 득표수 순위 == [include(틀:히든싱어 왕중왕전 득표 수 순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히든싱어4, version=366, paragraph=15)] [[분류:히든싱어/왕중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