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리그 리바이벌/역대 시즌)] ||<-3>
{{{#ffffff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리그 : 리바이벌'''[br]Heroes of the Storm League : Revival}}} || ||<-3> [[파일:HOSREVIVAL.png|width=100%]] || || {{{#ffffff '''운영주체'''}}} ||<-2> [[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width=200]] || || {{{#ffffff '''개최 기간'''}}} ||<-2> {{{#2c2c2c '''2019.03.14 ~2019.04.27''' }}} || || {{{#ffffff '''상금 규모'''}}} ||<-2> 우승 : 500만원[br]준우승 : 100만원[br][* 시청자들의 후원을 통해 [[크라우드펀딩]] 형식으로 상금을 추가할 예정이다.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216078&site=hos|관련 기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bj.afreecatv.com/hostv|방송 주소]] [[2019년 HGC 폐지 및 개발팀 축소 논란|HGC가 폐지를 선언]]한 이후로 [[아프리카 TV]]가 주관하여 개최하는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프로리그.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결승전은 아프리카TV의 [[프릭업 스튜디오]]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한다. 2월 말부터 홍보하여 3월 2일 9시 드래프트를 진행했다. [[https://liquipedia.net/heroes/Heroes_of_the_Storm_League:_REVIVAL|리퀴피디아]] * 우승: '''Never Ending Story''' * 준우승: TwTNyang * 대회 방식: * 8강: A, B조 개별 [[더블 엘리미네이션]] (1차전은 3전 2선승, 승자전/패자전/최종전은 5전 3선승) * 4강 ~ 결승: [[토너먼트(스포츠)|싱글 엘리미네이션]] 7전 4선승[* 4강에서 A조 1위는 B조 2위와, A조 2위는 B조 1위와 맞붙으며 각 조 1위는 4강에서 1세트 어드밴티지 부여.] * 결승전 경기 장소: [[아프리카TV]] [[프릭업 스튜디오]] * 중계진 * 캐스터 : [[박상현(캐스터)|박상현]], [[신정민]] * 해설 : [[정우서]], [[신정민]], [[나형기]], [[오프라임]] * 옵저버: 송재경 * 전장: 거미여왕의 무덤, 볼스카야 공장, 불지옥 신단, 브락시스 항전, 알터랙 고개, [br]영원의 전쟁터, 용의 둥지, 저주받은 골짜기, 파멸의 탑, 하늘 사원 == 팀 == 총 8팀[* 7팀 + 지난 승강전에서 올라왔던 트로그 팀]이 참여하고, 트로그 팀을 제외한 나머지 일곱 팀은 [[https://www.twitch.tv/videos/389053740|3월 2일 오후 9시에 드래프트를 통해]] 미리 선발된 주장이 나머지 팀원을 돌아가면서 뽑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66ccff 팀}}}''' || '''{{{#66ccff 선수[* HGC에서 쓰던 ID와 별도의 ID를 사용할 경우 괄호 안에 기존 ID를 표기]}}}''' || '''{{{#66ccff 소개 역할}}}''' || '''{{{#66ccff 경기 내 역할}}}''' || ||<|5> '''White Water (화이트 워터)''' || NoCHAT ([[이준현|김노챗]]) || 딜러 || 탱커, 딜러 || || Aimer (방출의마법봉) || 딜러 || 딜러 || || Sniper ([[권태훈|mrcsniper]]) || 딜러 || 딜러 || || Jwalnut (호두정) || 탱커 || 지원가 || || H82 (해파리) || 딜러 || 탱커 || ||<|5> '''--Meliz--'''[* Judy, Liu의 탈퇴로 인한 기권] || Alex || 지원가 || 지원가 || || Judy ([[오태석(프로게이머)|오태석]]) || 메인 탱커 || 탱커 || || Liu (리우쨩) || 서브 딜러 || 딜러 || || Ojae (순진무구) || 메인 딜러 || 딜러 || || Asgard (GLAsgard) || 서브 탱커 || 탱커 || ||<|5> '''Never Ending Story'''[*A LostJudy (로스트주디)에서 팀명 변경] || [[이재원(프로게이머)|Rich]] (고슴고슴) || 딜러 || 딜러 || || Hooligan (BLXHooligan) || 탱커 || 탱커 || || Polaris (폴라리스) || 딜러 || 딜러 || || OhDuck (냥양냥양냥) || 탱커 || 탱커 || || [[https://esports.heroesofthestorm.com/es-es/news/20971935/|Ezz]] ([[https://seoulgame.co.kr/community/interview/view.php?code=10262&page=1|천영현]]) || 지원가 || 지원가 || ||<|5> '''TNL''' || CrazyMoving (NOTHIM) || 딜러 || 딜러 || || Gondar (마고그) || 탱커 || 탱커 || || bdg || 딜러 || 딜러 || || HaeBin || 탱커 || 탱커 || || JaeHyun || 지원가 || 지원가 || ||<|5> '''BullNotUm (불낫엄)''' || HongCono ([[이대형(게임 해설가)|BLSHongCoNo]]) || 탱커 || 탱커 || || NACHOJIN (MRCnachojin) || 서브 탱커 || 탱커, 딜러 || || NaSang || 지원가 || 지원가 || || CapyBara (카피바라) || 딜러 || 딜러 || || HERO || 딜러 || 딜러 || ||<|5> '''Duckpest (덕페스트)''' || [[김경덕|duckdeok]] (히오스우승자) || 탱커 || 지원가 || || Reset (나만냥이없어) || 딜러 || 딜러 || || kirisaku || 서브 탱커 || 탱커 || || kcb || 지원가 || 탱커 || || KeeMyong (끼용) || 딜러 || 딜러 || ||<|5> '''Trogg (트로그)''' || isaac (이삭) || 메인 탱커 || 탱커 || || Wishing || 지원가 || 지원가 || || PanDaGom (바보멍청이판다곰) || 딜러 || 딜러 || || AngelWing (천사의날개) || 올라운더 || 딜러 || || Jackpot || 서브 탱커 || 탱커 || ||<|5> '''TwTNyang (우냥[* 3월 14일 첫 방송때 "우냥"으로 언급되었다. TwT가 우는 이모티콘이어서라 해석된다.])''' || [[http://game.kocca.kr/hall-of-fame/players/heroes-details.do?num=112|KyoCha]] (우냥우냥) || 탱커 || 탱커 || || BlueB2tle ([[김연수(프로게이머)|MRCBlueB2tle]]) || 지원가 || 지원가 || || [[진경환|Hide]] || 지원가 || 탱커, 지원가 || || Modernlife (bismodern) || 올라운더 || 딜러, 탱커 || || DDuDDu (인생사새옹지마) || 딜러 || 딜러 || == 경기 일정 == [include(틀: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리그 리바이벌 경기 일람)] [[파일:HotSL Revival 대진표.jpg]] * A조 1차전(개막전): 2019년 3월 14일(목) 21:00 * '''Lost Judy''' 2 vs 0 TNL * White Water 0 vs 2 '''TwTNyang''' * B조 1차전: 2019년 3월 15일(금) 21:00 * Trogg 1 vs 2 '''Meliz''' * '''BullNotUm''' 2 vs 0 Duckpest * A조 승자전: 2019년 3월 19일(화) 21:00 * '''Lost Judy''' 3 vs 1 TwTNyang * B조 승자전 2019년 3월 21일(목) 21:00 * Meliz 1 vs 3 '''BullNotUm''' * A조 패자전: 2019년 3월 25일(월) 21:00 * '''TNL''' 3 vs 1 White Water * B조 패자전: 2019년 3월 28일(목) 21:00 * '''Trogg''' 3 vs 1 Duckpest * A조 최종전: 2019년 4월 10일(수) 21:00 * '''TwTNyang''' 3 vs 1 TNL * B조 최종전: 2019년 4월 12일(금) 21:00 * Duckpest[* 승자전에서 패한 Meliz가 팀원 사정으로 기권해, 탈락한 Duckpest가 재경기 기회를 얻었다.] 2 vs 3 '''Trogg''' * 4강전 A조: 2019년 4월 15일(월) 21:00 * '''Never Ending Story'''[*A LostJudy (로스트주디)에서 팀명 변경] 4 vs 2 Trogg * 4강전 B조: 2019년 4월 17일(수) 21:00 * BullNotUm 1 vs 4 '''TwTNyang''' * '''결승전''': 2019년 4월 27일(토) 17:00 * '''Never Ending Story''' 4 vs 2 TwTNyang * [[http://play.afreecatv.com/hostv|방송 보기]] == 플레이오프 == == 기타 == 신정민이 직접 대회 [[https://sports.news.naver.com/e_sports/news/read.nhn?oid=236&aid=0000188290|기획서를 제출하여]] 스폰과 더불어 결승전 직관을 위한 스튜디오를 따냈으며, [[박상현(캐스터)|박상현]] 캐스터와 함께 선수들을 섭외했다.[*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216078&site=hos|기사 베스트 댓글 참고]]] 기획서를 낸지 30분만에 OK사인을 받았다고 한다. 아프리카 TV의 대표인 [[서수길]]의 행보에, 시공러들이 감동하고 있다. 별풍선으로 대회를 후원할 수 있는데, 별풍선 가치의 95%가 선수들을 위해 쓰인다고 한다. 10만원어치 별풍선을 받으면, 그 중 95,000원정도가 선수들에게 돌아가는 셈. 4월 12일에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543310|기사가 떴다]]. 그리고 [[http://vod.afreecatv.com/PLAYER/STATION/43094845?|SBS E스포츠 매거진 GG에서도 등장했다]](35분 40초 ~). 대회용 서버를 블리자드가 지원하지 않아, 라이브 서버의 사용자 지정 게임으로 경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지정게임은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시스템#s-12|MVP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지만, 게임 후 통계창은 보여준다. 또한 온라인으로 경기를 진행하므로, 선수들은 디스코드를 사용하여 경기 중에 소통한다. 경기 전후 인터뷰는, 전화로 진행한다.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패치 노트/2019년#s-3.5|43.3 패치]] 버전으로 경기를 진행하고 있지만, [[사무로(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사무로]]와 [[아나(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아나]]에 버그가 있어 글로벌 밴을 적용하고 있다. B조 패자전부터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패치 노트/2019년|44.0 패치]]버전으로 경기를 진행하지만, 오히려 아바투르의 최종 진화물이 루시우를 복사하여 새 궁극기 하이파이브를 사용할 수 있는 [[http://bbs.ruliweb.com/family/4527/board/181429/read/9461263?|버그가 발생]]했다고 한다. 가로쉬는 볼스카야 로봇을 던질 수 있다(Lv. 7 특성 참전). 하지만 아나의 궁극기 호루스의 눈으로 정지 상태인 영웅 및 유령 레오릭을 치료할 수 있었던 버그는 해결되었으므로, 아나는 경기에 기용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은 사무로, 가로쉬, 아바투르에 글로벌 밴을 적용하고 있다. 결승전은 44.1 버전으로 진행된다. 크로미, 데커드, 데하카 등이 상향되어 경기에 기용될 가능성이 생겼다. [[https://www.twitch.tv/videos/348796378|WCS 체제를 설명]]한 [[안준영(게임 해설가)|안준영]]의 영상 및 이를 요약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stvikings&no=263642|옛 글]]을 한 번 읽어보자. 스타 2에서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 시스템]]이 출범하기 전, 곰TV 등 방송사들은 리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엄청난 노력을 했지만, 블리자드가 리그를 지원하면서 강제적으로 대회를 WCS의 틀에 맞추자, 방송사들은 노력할 동기를 얻지 못하게 되었다고 한다. 한편 블리자드와 아무 관계 없게 된 지금의 히오스 리그에서, 제작진들의 엄청난 노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중국의 [[Gold Series Hero Pro-League|골드 리그]]에 [[https://sports.news.naver.com/esports/news/read.nhn?oid=442&aid=0000096369|참여]]하면서 리바이벌 리그에도 참여하는 선수들이 있다. Duckpest의 Reset, TNL의 Gondar, TwTNyang의 Hide는 중국 CE팀의 용병으로 출전하고 있다. 이 두 리그는 [[양대 리그]]가 된 셈이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memberNo=127672&volumeNo=18629842|신정민 해설의 인터뷰]]에 따르면, 박상현 해설은 자신의 휴일을 반납할 정도로 열렬히 히오스를 중계하고 있다. 시청자들은 감동받을 수밖에 없다. B조 최종전에서 패자전의 승리 팀 Trogg를 기다리던, Meliz는 [[https://www.twitch.tv/videos/405921890|팀원 두 명]]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stvikings&no=346033|개인적 사정]]으로 인해 [[http://www.inven.co.kr/board/hos/3903/1235624|대회에서 기권]]했다. 그렇다면 멜리즈는 최종전에서 패배한 걸(몰수패)로 간주되어 트로그는 부전승으로 4강에 진출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하루 일정을 없던 일로 하여 팬들의 후원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트로그 팀은 '''이겨서 4강에 진출하기를 원했기에''' 패자전에서 탈락한 Duckpest 팀과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stvikings&no=344662|다시 붙는 상황에 동의]]했다. 4월 12일, 덕페스트는 패자 부활전을 치른다. 트로그(Trogg)는 영웅 및 전장의 밴픽에서 우선권을 갖는다. 이 상황의 전후 사정이 궁금한 사람은 [[http://bbs.ruliweb.com/family/4527/board/181429/read/9461780?cate=46|이 글을 읽어본다]]. 그리고 경기 당일, 한 선수가 PC방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을 충전하기 위해 잠깐 경기를 중단했다. 이 상황을 들은 서수길 대표(ceokevin)는, 아프리카TV PC방에서 게임하면 PC방 시간을 걱정하지 않고 경기할 수 있게 배려하겠다고 했다. 결승전 날 [[https://sports.news.naver.com/esports/news/read.nhn?oid=109&aid=0003998878|여러 유명인들이 방문]]하여 [[https://sports.news.naver.com/esports/news/read.nhn?oid=109&aid=0003998994|자리를 빛내주었다]]. 침착맨, 단군, 매직박, 뱅붕 등이 스크린에도 잡혔다. 이 날의 이야기를 담은 기사가 네이버 E스포츠 란에서 헤드라인을 장식한 것은 덤이다. 모 유저가 결승 당일 신정민을 위한 감사패와 리그 출범을 기념하는 케익을 선물했다. 우승 트로피는 '''없다'''. 본 시즌을 이벤트 경기이자 프리시즌으로 간주하였기 때문. 그리고 시즌2를 앞두고 6월 11일(화)부터 [[http://vod.afreecatv.com/PLAYER/STATION/45012724|이벤트 매치가 열렸다]]. === 후원 현황 === ||<-4>
'''{{{#ffffff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리그: 리바이벌 후원금 현황 }}}'''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당일 후원금'''}}} || {{{#ffffff '''누적 후원금'''}}} || ||<|2> {{{#ffffff 1주차 (1라운드)}}} ||2019년 3월 14일, 1일차(목) || 3,644,900원 || 3,644,900원 || ||2019년 3월 15일, 2일차(금) || 2,969,300원 || 6,614,200원 || ||<|2> {{{#ffffff 2주차 (승자전)}}} ||2019년 3월 19일, 3일차(화) || 1,490,800원 || 8,105,000원 || ||2019년 3월 21일, 4일차(목) || 1,019,500원 || 9,124,500원 || ||<|2> {{{#ffffff 3주차 (패자전)}}} ||2019년 3월 25일, 5일차(월) || 2,941,000원 || 12,065,500원 || ||2019년 3월 28일, 6일차(목) || 1,474,700원 || 13,540,200원 || || {{{#ffffff 번외}}} || 2019년 4월 4일(목) [* 대회 진행중 비어있는 시간 동안 신정민 해설이 [[http://bj.afreecatv.com/hostv/post/42780814|먹방 토크쇼를 진행한다.]] 이름은 "신정민을 풀어라". [[렉사르(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렉사르]]의 궁극기인 "멧돼지를 풀어라"에서 나온 이름. 이 방송 도중 나오는 별풍선도 후원금에 포함된다.] || 1,143,700원 || 14,683,900원 || ||<|2> {{{#ffffff 4주차 (최종전)}}} ||2019년 4월 10일, 7일차(수) || 2,243,100원 || 16,927,000원 || ||2019년 4월 12일, 8일차(금)|| 3,288,700원 || 20,215,700원 || ||<|2> {{{#ffffff 5주차 (4강전)}}} ||2019년 4월 15일, 9일차(월) || 1,316,900원 || 21,532,600원 || ||2019년 4월 17일, 10일차(수) || 1,328,700원 || 22,861,300원 || || {{{#ffffff 6주차 (결승전)}}} ||2019년 4월 27일, 11일차(토) || 2,729,700원 || 25,591,000원 || 첫날부터 엄청난 후원이 쏟아지고 있다. 그래서 첫날만 '''3,644,900'''원까지 적립되었다. 둘쨋날에 대회의 기본 상금 600만원을 넘어 '''6,614,200'''원까지 적립되었다. 셋째 날 '''8,105,000'''원까지 적립되었다. 둘째날에는 아프리카TV의 대표 [[http://bj.afreecatv.com/ceokevin|서수길]](BJ케빈UP)이 직접 방송에 들어와 별풍선 536개를 쏘았고, 4년 전 히오스 대회가 처음 아프리카에서 열렸을 때[* 아직 히오스가 정식 출시하기 전인 2015년 2월에 게임 홍보를 위하여 블리자드 코리아가 아프리카tv와 손잡고 이벤트성 대회로서 개최한 '''히어로즈 빅 리그'''를 뜻한다.]를 언급하며 응원과 격려를 남겼다. 그리고 대회에 대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ostvikings&no=330429|본인의 생각을 남겼다]]. 여담이지만 둘째날 한 번에 별풍선 2천개를 쏜 시청자가 있었다. 20만원을 후원한 셈이다. 넷째날 '''9,124,500'''원을 달성했다. 다섯째날, 한 번에 별풍선 10,000개를 쏜 시청자가 있었다. 시공설치기사(winterofgod)라는 닉네임의 시청자가 쏜 1만 개 풍선의 영향인지 뒤이어 5,000개 및 2,500개를 쏜 사람들이 있었다. 그리고 '''12,065,500'''원까지 적립되었다. 여섯째날 '''13,540,200'''원까지 적립되었다. 여덟째날, 시공설치기사가 다시 한 번 별풍선 10,000개를 쏘았다. 이어 3,000개를 쏜 사람도 있었으며, 웹툰 작가 산들개(gldjfhm)로 추정되는 사람이 1,000개를 쏘았다. 그리고 차기 대회를 확정적으로 개최할 수 있게 되었다. 아홉째날 시청자 berserk2h가 별풍선 10,000개를 쏘았다. 뒤이어 5,000개, 3,000개를 쏜 시청자들도 있었다. 그리고 누적 상금 20,000,000을 돌파했다. 그리고 열번째 날 '''21,316,900'''까지 적립되었다. 결승날,뱅붕(dou3796)과 침착맨(maruko86)이 각각 별풍선 10,000개를 쏘았고, 최종 상금 2,500만원을 돌파했다. 최종 금액은 '''25,591,000'''원. 참고로 아프리카는 다시보기에도 별풍선을 쏠 수 있다. 한 편 3월 28일 방송을 통해 신정민이 1500만 원 돌파시 ''' 차기 대회 개최 확정''', 2000만 원 돌파시 대회 참가하는 선수 중 5인을 '''[[아프리카 프릭스]] 이름으로 네이밍 스폰서를 지원'''한다 밝혔다. 단, 아프리카가 주최하는 대회 내에선 각자의 팀에서 활동하며 단일팀으로서의 참가는 국제대회등에서 볼 수 있을거라 첨언했다. 그리고 Pandagom, Hide, Capybara, Hooligan, NACHOJIN이 [[http://bbs.ruliweb.com/family/4527/board/181429/read/9464239?cate=46|선정되었다]]. 4월 10일 21시07분 기준으로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리그 리바이벌 시즌 2]] 대회를 확정했다. 6~7월에 개최될 예정이다. == 관련 문서 ==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분류: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