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2022-01-14 (4).png|width=100%]] || ||<-2> '''{{{+1 힙쟁이}}}''' || || '''시작''' || [[2021년]] [[11월 20일]] || || '''종료''' || [[2022년]] [[3월 12일]] || || '''출연자''' || [[변기수]], [[장기영(코미디언)|장기영]], [[정범균]], [[김승진(1988)|김승진]], 박형민 || || '''소개''' || 속사포 처럼 거침없이 뱉어내는 랩을 개그로 승화시킨 코너 || [목차] [clearfix] == 개요 == [[개승자]]의 코너. 이승윤 팀의 [[신비한 알고리즘의 세계]]와 함께 개승자 전 라운드를 개근한 유이한 코너다. [[힙합]]을 소재로 한 코너다. 변기수는 [[못말리는 변접관]] 이후, 장기영는 [[개그콘서트]] 스튜디오 녹화 이후, 정범균은 [[횃불 투게더]] 이후로 [[공개 코미디]] 무대에 복귀하였다.[* 김승진과 박형민은 제외. 이들은 KBS 순혈이 아닌 코미디언들로, 개승자를 통해서 처음으로 [[KBS]]에 출연하였다.] == 출연진 == * [[장기영(코미디언)|장기영]], [[정범균]], 박형민: 김승진의 일터로 뭔가를 하려고 온 손님들. 헌데, 김승진을 상대로 랩으로 어처구니가 없는 엉터리 요구를 해서 김승진을 돌아버리게 만든다. 이 중에서 박형민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한 번 빠진 적이 있어서 그 때는 변기수가 대신 빈 자리를 채웠다. * [[김승진(1988)|김승진]]: 특정 일터의 총 책임자이자 [[나만 정상인]]. 위의 세 사람과 아래의 변기수의 어처구니 없는 요구에 돌아버릴 지경이다. 빡친 김승진이 장기영의 눌러 쓴 모자챙을 뒤집으며 노려보며 압박을 주고 힙쟁이들이 쫄아붙는(?) 것도 일종의 밈이 되어 인기를 끌기도 했다. * [[변기수]]: 맨 마지막에 등장하며, '''사실상 이 코너의 주인공'''. 변썬이라는 이름과 말투를 보면 래퍼 [[원썬]]을 패러디한 것으로 보인다. 위의 세 사람들보다 한술 더 뜨는 인물. 그 세 사람 중 하나인 박형민이 코로나19에 걸리면서 빈 자리를 대체한 적도 있다. === 와일드카드 및 1회성 출연진 === 여기에는 3라운드 깐부미션이나 와일드카드를 넣는다. * [[이승윤(개그맨)|이승윤]]: 3R 깐부 미션에서 등장. * [[정태우]]: 파이널 라운드 1차전 와일드카드. 참고로 이 쪽은 본업이 [[배우]]인데도 불구하고 특이하게도 [[공개 코미디]]와 인연이 있는데, [[개그콘서트]]의 방영 초기에 3개월 동안 잠시 고정출연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 [[김지선(코미디언)|김지선]]: 파이널 라운드 2차전 와일드카드. 18년 만에 개그 무대에 섰다고 한다. 당연하겠지만, 이 코너의 고정 멤버들보다도 대선배이다. * [[박준규(배우)|박준규]]: 파이널 라운드 3차전 와일드카드. 팀장 [[변기수]]의 연락을 받고 출연했다. * [[안영미]]: 파이널 라운드 4차전 와일드카드. 촬영 도중 수시로 돌발행동을 선보인 탓에 멤버들이 말리느라고 아주 진땀을 빼야 했다. == 유행어 == *'아저씨 그거 알아요? 인생 쌀다[* 발음을 세게 넣는다.] 보면은...' *예~아~(YE~AH~)[* 특정 사람을 가리킬 때 '얘' 대신 사용하거나 '예' 대신 사용한다.] *올랐다가 내렸다가 올랐다가 내렸다가...하면 되니까~우[* 변기수의 '비트코인' 中. 가사는 계속 회차마다 바뀐다.][* 매우 빠르게 말한다. 생각보다 어려운 기술이다.] *렛 미 두잇 어게인~[* 엔딩 멘트이기도 하다.] == 기타 == *첫 방송의 VOD 에는 'HIPHOP IS MY LIFE'로 되어있다. *말하는 말, 추임새, 노래가 은근 중독성이 있다. [[분류:개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