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更}}}고칠 경, 다시 갱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曰|{{{#000,#fff 曰}}}]],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さら, ふ-ける, ふ-かす,[br]{{{#c88 あらた-める, か-え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ēng, gè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다시 갱, 고칠 경(更).''' 다시, 고치다, 개선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선 U+66F4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LWK(一中田大)로 입력한다. [[파일:更 자형 변천과정.gif]] 본래는 㪅으로 썼다. [[갑골문]]부터 존재했던 한자로, 갑골문에서의 자형을 보면 [[穴]]([[구멍 혈]])이나 [[丙]]([[남녘 병]])으로 의견이 갈리나 [[금문]] 이후로 [[丙]]으로 모양이 잡혀간다. 만들어질 당시의 모양은 [[丙]]과 [[攴]](칠 복)이 합쳐진 [[회의자]]로 '''종 모양의 돌([[丙]])을 쳐서([[攴]]) 시간을 알리다'''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전서까지 㪅의 형태가 유지되었지만, 예서에서 뭉개져서 更이 되었다. 처음에는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시간의 단위'로 쓰였으나 이 후 '다시'와 '고치다'로 의미가 확장되어 쓰이고 있다. == 용례 == === [[단어]] === * [[갑오개혁|갑오경장]]([[甲]][[午]]更[[張]]) * 갱개(更[[改]]) * [[갱년기]](更[[年]][[期]]) * 갱고(更[[考]]) * [[갱생]](更[[生]]) * [[갱신]](更[[新]])[*갱신/경신 한자로 나타내면 똑같이 '更新'이지만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갱신]]은 '다시 새롭게 하다' 또는 '기간을 늘린다'라는 뜻이고, [[경신]]은 '기록을 깨뜨리다'라는 뜻이다.] * [[갱지]](更[[紙]]) * [[경신]](更[[新]])[*갱신/경신] * 경정(更[[正]]) * [[경질]](更[[迭]]) * [[변경]]([[變]]更) * [[심경]]([[深]]更) * [[초경]]([[初]]更) === [[고사성어]]/[[숙어]] === * 갱무도리(更[[無]][[道]][[理]]) * [[자력갱생]]([[自]][[力]]更[[生]]) === [[인명]] === * [[사라시나 우쿄]](更[[科]] [[右]][[京]]) * [[사라시나 치즈루]](更[[科]] [[千]][[鶴]]) * [[사라시키 카타나]](更[[識]] [[楯]][[無]]) * [[이사라 마오]]([[衣]]更 [[真]][[緒]]) * [[자라키 켄파치]](更[[木]] [[剣]][[八]]) * [[키사라기]]([[衣]]更[[着]]) * [[키사라즈 료]]([[木]]更[[津]] [[亮]]) * [[키사라즈 아츠시]]([[木]]更[[津]] [[淳]]) === [[지명#s-2]] === === [[창작물]] === == 유의자 == * [[改]](고칠 개) * [[變]](변할 변) * [[覆]](다시 복) * [[復]](다시 부) * [[再]](다시 재/두 재)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吏]](벼슬아치 리) * [[史]](사기 사) * [[便]](편할 편) [[분류:4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