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陵}}}언덕 릉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阜|{{{#000,#fff 阜}}}]],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リ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みささぎ{{{#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í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陵은 ''''언덕 릉''''이라는 [[한자]]로, 언덕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9675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LGCE(弓中土金水)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阜]](언덕 부)와 음을 나타내는 [[夌]](언덕 릉)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울릉도]]([[鬱]]陵[[島]]) * [[강릉시|강릉]]([[江]]陵) * 가릉빈가([[迦]]陵[[頻]][[伽]]) * 구릉([[丘]]陵) * 선정릉([[宣]][[靖]]陵) * [[왕릉(무덤)|왕릉]]([[王]]陵) * [[능지처참]](陵[[遲]][[處]][[斬]]) === [[고사성어]]/[[숙어]] === * 능곡지변(陵[[谷]][[之]][[變]]) * [[무릉도원]]([[武]]陵[[桃]][[源]]) === [[인명]] === * [[논흠릉]]([[論]][[欽]]陵) * [[소에다 료스케]]([[添]][[田]] 陵[[輔]]) * [[오료 로이치]]([[王]]陵 [[牢]][[一]]) * [[오료 리카코]]([[王]]陵 [[璃]][[華]][[子]]) * [[이릉시축취]]([[伊]]陵[[尸]][[逐]][[就]]) === [[지명#s-2]] === * [[가능역]]([[佳]]陵[[驛]]) * [[가릉역]]([[佳]]陵[[驛]])[* 가능역과 가릉역은 한자가 같지만 발음이 다르며 실제로도 다른 역이다.] * [[강릉역]]([[江]]陵[[驛]]) * [[공릉동]]([[孔]]陵[[洞]]) * [[공릉역]]([[孔]]陵[[驛]]) * [[능곡역]](陵[[谷]][[驛]]) * [[능동]](陵[[洞]])[* [[서울특별시]] [[광진구]], [[경기도]] [[화성시]] 모두 한자가 같다.] * [[동구릉역]]([[東]][[九]]陵[[驛]]) * [[선릉역]]([[宣]]陵[[驛]]) * [[선정릉역]]([[宣]][[靖]]陵[[驛]]) * [[울릉군]]([[鬱]]陵[[郡]]) * [[정릉동]]([[貞]]陵[[洞]]) * [[정릉역]]([[貞]]陵[[驛]]) * [[코료IC]]([[湖]]陵IC) * [[태릉입구역]]([[泰]]陵[[入]][[口]][[驛]]) === [[창작물]] === * 각릉개수도감의궤([[各]]陵[[改]][[修]][[都]][[監]][[儀]][[軌]]) * [[건릉지장]]([[健]]陵[[誌]][[狀]]) * [[장릉배식록]]([[莊]]陵[[配]][[食]][[錄]]) === 기타 === == 유의자 == * [[皐]](언덕 고) * [[丘]](언덕 구) * [[阜]](언덕 부) * [[阿]](언덕 아) * [[岸]](언덕 안) * [[厓]](언덕 애) * [[原]](언덕 원) * [[峙]](언덕 치) * [[坡]](언덕 파)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錂]](강한 쇠 릉) * [[㱥]](귀신이 나올 릉) * [[碐]](돌이 울퉁불퉁한 모양 릉) * [[堎]](땅 이름 릉) * [[裬]](말뱃대끈 릉) * [[䮚]](말의 병 릉) * [[踜]](머물 릉) * [[棱]](모 릉) * [[稜]](모날 릉) * [[𧤁]](모서리 릉) * [[掕]](붙잡을 릉) * [[綾]](비단 릉) * [[𩩡]](뼈 불거진 모양 릉) * [[倰]](속일 릉) * [[輘]](수레 소리 릉) * [[㥄]](슬퍼할 릉) * [[凌]](업신여길 릉) * [[婈]](여자의 자 릉) * [[睖]](응시할 릉) * [[祾]](제사 이름 릉) * [[鯪]](천산갑 릉) * [[崚]](험준할 릉) * [[陖]](가파를 준) * [[𣥻]](그칠 증) * [[䗀]](대합조개 증) * [[㖫]](릉) * [[𣇾]] * [[𤊥]] * [[𦝄]] [[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