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領}}}거느릴 령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頁|{{{#000,#fff 頁}}}]],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リ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ける, うなじ, えり,[br]おさ-める, かしら, かなめ}}}}}}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ǐ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領은 ''''거느릴 령''''이라는 [[한자]]로, '거느리다', '이끌다', '받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거느리다 || || {{{-1 '''음'''}}} ||령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lǐng || || {{{-1 '''[[광동어]]'''}}} ||ling^^5^^[*文 [[문독]]] / leng^^5^^[*白 [[백독]]] || || {{{-1 '''[[객가어]]'''}}} ||liâng || || {{{-1 '''[[민동어]]'''}}} ||liāng[*白] / līng[*文] || || {{{-1 '''[[민남어]]'''}}} ||léng[*文] / niá[*白] || || {{{-1 '''[[오어]]'''}}} ||li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リョウ || || {{{-1 '''훈독'''}}} ||{{{#c88 う-ける, うなじ, えり,[br]おさ-める, かしら, かなめ}}} || ||<-3> || ||<-2> '''[[베트남어]]''' ||lĩnh, lãnh || [[유니코드]]에는 U+981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人戈一月金(OIMBC)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頁]](머리 혈)과 소리를 나타내는 [[令]](하여금 령)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목', '옷깃'이라는 뜻으로 쓰였으나, 이 용법은 현재 한국에서는 보기 어렵고, 현재는 파생된 '이끌다', '받다' 따위의 뜻으로 쓰인다. '목'이나 '옷깃'이란 의미로 현대에도 자주 쓰는 용례로는 [[요령]](要領)이 있다. 역사용어로 관직명의 앞에 붙어 '관직을 겸하다', '겸직'의 용도로 쓰이기도 한다. 예컨데 [[촉한]]의 재상 [[제갈량]]은 [[승상]] 녹상서사 영익주목(領益州牧)인데 이는 승상과 녹상서사 직책에 익주목을 겸했다라는 뜻이다. 그 후임자들도 마찬가지여서 [[장완]]은 대장군/대사마 녹상서사 영익주자사(領益州刺史)로 익주자사를 겸했다는 뜻이고 [[비의]] 역시 대장군 녹상서사 영익주자사(領益州刺史)로 익주자사를 겸했다. [[강유]]의 경우에는 대장군 녹상서사 영양주자사(領凉州刺史)로 대장군과 녹상서사 직책에 양주자사를 겸한다는 뜻이다. 영국령(英國領), 프랑스령(佛蘭西領), 미국령(美國領)과 같은 형태로도 쓰인다. 'OO의 영토'를 줄였다 생각하면 편하다. == 용례 == === [[단어]] === * [[강령]]([[綱]]領) * 관령([[管]]領) * [[단령]]([[團]]領) * [[대령]]([[大]]領) * 방령([[方]]領) * [[소령]]([[少]]領) * [[수령]]([[受]]領/[[首]]領) * 압령([[押]]領) * [[영공]](領[[空]]) * 영수(領[[收]]) * [[영수증]](領[[收]][[證]]) * [[영수]](領[[袖]]) * [[영수회담]](領[[袖]][[會]][[談]]) * [[영사]] (領[[事]]) * [[영사관]] (領[[事]][[館]]) * [[영역]](領[[域]]) * 영유(領[[有]]) * 영유권(領[[有]][[權]]) * [[영의정]](領[[議]][[政]]) * [[영토]](領[[土]]) * [[영해]](領[[海]]) * [[자치령]]([[自]][[治]]領) * [[점령]]([[占]]領) * [[중령]]([[中]]領) * 직령([[直]]領) * 통령([[統]]領) * [[대통령]]([[大]][[統]]領) * [[대통령 선거]]([[大]][[統]]領 [[選]][[擧]]) * [[대통령배]]([[大]][[統]]領[[杯]]) * [[횡령]]([[橫]]領) * [[횡령죄]]([[橫]]領[[罪]]) === [[고사성어]]/[[숙어]] === * 구보인령([[矩]][[步]][[引]]領) * 부득요령([[不]][[得]][[要]]領) * [[요령]]([[要]]領)[* 그냥 낱말이 아니라 부득요령에서 파생된 숙어다.] * 청금단령([[靑]][[衿]][[團]]領) * 항령지공([[項]]領[[之]][[功]]) === [[인명]] === * [[료케 카오루]](領[[家]] [[薫]]) * [[채령|이채령]]([[李]][[彩]]領) * [[하도영]]([[河]][[度]]領) === [[지명#s-2]] === === [[창작물]] === * [[育成スキルはもういらないと勇者パーティを解雇されたので、退職金がわりにもらった【領地】を強くしてみる]]([[육성 스킬은 이제 필요 없다고 용사 파티에서 해고당했기 때문에, 퇴직금 대신 받은 [영지]를 강하게 만들어본다]]) === 기타 === * [[군통령]]([[軍]][[統]]領) * [[초통령]]([[初]][[統]]領) == 유의자 == * [[率]](거느릴 솔, 비율 률) * [[御]](거느릴 어) * [[統]](거느릴 통) * [[總]](거느릴 총, 다 총)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翎]](깃 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