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益}}}더할 익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皿|{{{#000,#fff 皿}}}]],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첫 두 획이 八의 형태가 아닌 丷의 형태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エキ, (ヤ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ま-す, ますます}}}}}}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益은 ''''더할 익''''이라는 [[한자]]로, '더하다', '이익(利益)'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더하다 || || {{{-1 '''음'''}}} ||익 || ||<-3> || ||<|5>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yì || || {{{-1 '''[[광동어]]'''}}} ||jik1 || || {{{-1 '''[[객가어]]'''}}} ||yit || || {{{-1 '''[[민동어]]'''}}} ||ék || || {{{-1 '''[[민남어]]'''}}} ||iah / iak/ ek || ||<-3> || ||<|2> '''[[일본어]]''' || {{{-1 '''음독'''}}} ||エキ, (ヤク) || || {{{-1 '''훈독'''}}} ||{{{#c88 ま-す, ますます}}} || ||<-3> || ||<-2> '''[[베트남어]]''' ||ích || [[유니코드]]에는 U+76C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金月廿(TCBT)으로 입력한다. [[파일:익.png|width=400]] [[상형자]]이다. 원래는 항아리나 그릇 안에 물이 가득 차는 모습을 본떠 만들어, '넘치다'라는 뜻이었다. 그러나 여기서 파생되어 '넉넉하다', 더 나아가 '더욱' 혹은 '유익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고, 본래의 뜻은 옆에 [[水]](물 수)를 붙인 [[溢]](넘칠 일)로 넘어가게 되었다. 고대에는 益과 溢은 통자(通字)였다. [[설문해자]]에서는 益을 '풍요롭다(饒也)'라고 하였고, [[饒]](넉넉할 요)는 '배부르다(飽也)'라고 하였으며, [[飽]](배부를 포)는 '넉넉하다(猒也)'로 풀었다('猒'은 다시 '飽也'라고 풀이). == 용례 == === [[단어]] === * [[공익]]([[公]]益) * [[공익광고]]([[公]]益[[廣]][[告]]) * 권익([[權]]益) * 무익([[無]]益) * 법익([[法]]益) * 사익([[私]]益) * 손익([[損]]益) * [[손익분기점]]([[損]]益[[分]][[岐]][[點]]) * 수익([[收]]益) * 수익성([[收]]益[[性]]) * [[유익]]([[有]]益) * [[이익]]([[利]]益) * [[익충]](益[[蟲]]) * 차익([[差]]益) * [[차익거래]]([[差]]益[[去]][[來]]) * [[차익거래 가격결정이론]]([[差]]益[[去]][[來]] [[價]][[格]][[決]][[定]][[理]][[論]]) * [[차익매매]]([[差]]益[[賣]][[買]]) * 편익([[便]]益) * [[홍익대학교]]([[弘]]益[[大]][[學]][[校]]) === [[고사성어]]/[[숙어]] === * [[다다익선]]([[多]][[多]]益[[善]]) * 백해무익([[百]][[害]][[無]]益) * [[홍익인간]]([[弘]]益[[人]][[間]]) === [[인명]] === * [[김재익]]([[金]][[在]]益) * [[김익훈]]([[金]]益[[勳]]) * [[마시코 카오루]](益[[子]] [[薫]]) * [[문익점]]([[文]][[益]]漸) * [[문익환]]([[文]]益[[煥]]) * [[손수익]]([[孫]][[守]]益) * [[안익훈]]([[安]]益[[勳]]) * [[이익흥]]([[李]]益[[興]]) * [[조동익]]([[趙]][[東]]益) * [[하재익]]([[河]][[在]]益) * [[황교익]]([[黃]][[橋]]益) === [[지명#s-2]] === *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 * [[익주]](益[[州]]): 중국의 고대 지명 === 기타 === * [[익절]](益[[切]]) == 유의자 == * [[加]](더할 가) * [[利]](이로울 리) * [[增]](더할 증) * [[添]](더할 첨) == 상대자 == * [[減]](덜 감) * [[省]](덜 생) * [[損]](덜 손) * [[除]](덜 제) * [[害]](해로울 해)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盒]](합 합) == 여담 == 잘 보면 이를 드러내고 찡그린 얼굴처럼 보이는 글자라 [[중국]]에서는 한숨 쉬는 표정과 비슷한 [[囧]](빛날 경)과 더불어 충격을 받거나 화가 났다는 의미로 자주 사용되는 이모티콘 중 하나. [[일본]]에서는 [[인도]]의 [[칸나다어|칸나다 문자]]의 'ಠ'를 붙여 ಠ{{{#!html }}}ಠ처럼 양쪽에 눈을 추가해서 수염난 사람이 화를 내는 이미지로 정착되었다. 같은 용도로 쓰이는 한자는 이 글자의 부수인 [[皿]]이 있다. 활용 예)━╤デ╦︻༼ಠ{{{#!html }}}ಠ༽︻╦̵̵͇̿̿̿̿══╤─ --凸^{{{#!html }}}^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