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直}}}곧을 직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目|{{{#000,#fff 目}}}]],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7급 한자|{{{#000,#fff 준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チョク, ジキ{{{#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ただ-ちに, なお-す, なお-る,[br]{{{#c88 じか, す-ぐ, ただ, ひた}}}}}}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í{{{#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곧을 직(直).''' '곧다', '바르다', '옳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곧다 || || {{{-1 '''음'''}}} ||직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zhí || || {{{-1 '''[[광동어]]'''}}} ||zik6 || || {{{-1 '''[[객가어]]'''}}} ||chhṳ̍t || || {{{-1 '''[[민북어]]'''}}} ||dā̤ || || {{{-1 '''[[민동어]]'''}}} ||dĭk || || {{{-1 '''[[민남어]]'''}}} ||ti̍t || || {{{-1 '''[[오어]]'''}}} ||zeq (T5) || ||<-3> || ||<|2> '''[[일본어]]''' || {{{-1 '''음독'''}}} ||チョク, ジキ || || {{{-1 '''훈독'''}}} ||ただ-ちに, なお-す, なお-る,[br]{{{#c88 じか, す-ぐ, ただ, ひた}}} || ||<-3> || ||<-2> '''[[베트남어]]''' ||trực || [[유니코드]]에는 U+76F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十月一一(JBMM)로 입력한다. [[갑골문]]상에서 이 글자는 [[目]](눈 목) 위에 세로선 하나를 그어, 무언가를 직시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후 세로선이 [[十]](열 십)이 되고 아래쪽에 ㄴ과 같은 형태가 추가되면서 현재 자형이 되었다. 한국어 동사 '지키다'는 본래 '直하다(직하다)'에서 유래했다. 이후 '하'가 '히'로 바뀌면서 순우리말처럼 여겨진다. [[파일:곧을 직 정자.png]] 중화권에서는 아래의 ㄴ이 가로획이 되고 目의 두 세로획이 아래 가로획에 닿는다. 直은 '곧다'라는 기본적인 뜻 이외에 '번을 들다'라는 뜻도 있다. 당직(當直), 숙직(宿直), 하직(下直)은 의미상 일견 職을 써야 할 것 같지만 直을 쓰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直은 "곧다"라는 뜻 외에도 "번을 들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 >下直은 번에서 내려오다라는 의미에서 무슨 일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로 사용되고, 이것이 어떤 곳을 떠나다. 먼 길을 떠날 때 웃어른께 작별을 고하다라는 뜻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 >當直은 돌아오는 번의 차례가 된다는 것이고, 宿直은 밤에 잠을 자면서 교대로 번을 드는 것을 뜻합니다. >---- >{{{-2 [[https://www.hanja.re.kr/|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10438(直 의 用例 문의), 2020-05-23}}} == 용례 == === [[단어]] === * 강직([[剛]]直/[[强]]直) * [[경직]]([[硬]]直/[[勁]]直/[[骾]]直) * 경직성([[硬]]直[[性]]) * [[사후경직]]([[死]][[體]][[硬]]直) * 곡직([[曲]]直) * [[농사직설]]([[農]][[事]]直[[說]]) * 단도직입([[單]][[刀]]直[[入]]) * [[당직]]([[當]]直/[[堂]]直) * [[문직]]([[門]]直) * [[봉직전쟁]]([[奉]]直[[戰]][[爭]]) * 솔직([[率]]直) * [[수직]]([[垂]]直/[[守]]直) * 수직갱([[垂]]直[[坑]]) * 수직권([[垂]]直[[圈]]) * 숙직([[宿]]直) * 연직([[鉛]]直) * 우직([[愚]]直) * [[정직]]([[正]]直/[[貞]]直) * [[직각]](直[[角]]) * [[직감]](直[[感]]) * 직격(直[[擊]]) * [[직격탄]](直[[擊]][[彈]]) * 직결(直[[結]]) * [[직경]](直[[徑]]) * [[직계]](直[[系]]) * 직계비속(直[[系]][[卑]][[屬]]) * 직계존속(直[[系]][[尊]][[屬]]) * 직계혈족(直[[系]][[血]][[族]]) * [[직관]](直[[觀]]) * 직관적(直[[觀]][[的]]) * 직관지(直[[觀]][[知]]) * 직렬(直[[列]]) * [[직류]](直[[流]]) * 직립(直[[立]]) * 직면(直[[面]]) * 직사(直[[射]]) * 직사광선(直[[射]][[光]][[線]]) * [[직선]](直[[線]]) * 직설법(直[[說]][[法]]) * 직속(直[[屬]]) * 직시(直[[視]]) * 직언(直[[言]]) * 직유법(直[[喩]][[法]]) * [[직장]](直[[腸]]) * 직전(直[[前]]) * 직접(直[[接]]) * [[직접민주주의]](直[[接]][[民]][[主]][[主]][[義]]) * [[직접사격]](直[[接]][[射]][[擊]]) * [[직접선거]](直[[接]][[選]][[擧]]) * [[직지]](直[[指]]) *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 직진(直[[進]]) * 직항(直[[航]]) * 직할(直[[轄]]) * 직화(直[[火]]) * 직후(直[[後]]) * 충직([[忠]]直) * 하직([[下]]直) === [[고사성어]]/[[숙어]] === * [[급전직하]]([[急]][[轉]]直[[下]]) * 직궁증부(直[[躬]][[證]][[父]]) * 직궁지신(直[[躬]][[之]][[信]]) * 직왕매진(直[[往]][[邁]][[進]]) * 직절간명(直[[截]][[簡]][[明]]) * 직파(直[[坡]]) * 직항(直[[項]]) === [[인명]] === * [[공직(고려)|공직]]([[龔]]直) * [[곽윤직]]([[郭]][[潤]]直) * [[김이직]]([[金]][[理]]直) * [[감스트|김인직]]([[金]][[仁]]直) * [[김종직]]([[金]][[宗]]直) * [[레이(IVE)|나오이 레이]](直[[井]] [[怜]]) * [[나오키 히엔마]](直[[木]] [[飛]][[縁]][[魔]]) * [[박세직]]([[朴]][[世]]直) * [[스구타 히나]](直[[田]] [[姫]][[奈]]) * [[아시카가 다다요시]]([[足]][[利]] 直[[義]]) * [[야율직로고]]([[耶]][[律]]直[[鲁]][[古]]) * [[우부카타 맛스구]]([[生]][[方]] 直[[進]]) * [[우치다 나오야]]([[内]][[田]] 直[[哉]]) * [[의직]]([[義]]直) * [[키리가야 스구하]]([[桐]]ヶ[[谷]] 直[[葉]]) === [[지명#s-2]] === * 직곡덕(直[[谷]][[德]]) * 직곡산(直[[谷]][[山]]) * [[직지사]](直[[指]][[寺]]) * [[직지사역]](直[[指]][[寺]][[驛]]) == 유의자 == * [[貞]](곧을 정) * [[矗]](우뚝솟을 촉) == 상대자 == * [[曲]](굽을 곡) * [[屈]](굽힐 굴) * [[橈]](굽을 뇨) * [[撓]](휠 뇨) * [[彎]](굽을 만) * [[枉]](굽을 왕) * [[迃]]/[[迂]](굽을 오) * [[迂]](에돌 우) * [[跧]](굽을 전) == 여담 == * 直을 세 개 합치면 [[矗]](우뚝솟을/우거질 촉)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