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중국 함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ype-001a-will-likely-be-named-shandong.jpg|width=100%]] [[파일:pln_type_001a_jpg.webp|width=100%]]}}} || || '''002형 항공모함 산둥''' || [목차] == 개요 == [[다롄]] 항에서 건조된 중국의 2번째 [[항공모함]]이자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건조'''한 첫번째 항공모함이다. 중국 고유 분류로는 002형 항공모함. 처음에는 001A형으로 불렸으나 2017년에서 2018년 사이에 002형으로 정정되었다. 참고로 다롄은 [[우크라이나]]에서 출발해 [[흑해]]로부터 지구를 반바퀴 돌아 견인된 [[랴오닝함]]이 소생작업을 거친 조선소가 위치한 곳이다. 함번은 랴오닝함의 16번을 이어 CV-17번이 됐다. [[https://www.google.com/maps/@18.1860039,109.5622384,868m/data=!3m1!1e3|보러가기(구글 지도)]][* 위성으로 전환하면 보인다.] == 제원 == ||<-5> '''{{{+1 {{{#ffff00 002형 항공모함}}} }}}[br]{{{#ffffff 002型航空母艦}}}''' || ||<-2> '''이전급''' ||[[001형 항공모함|001형]] || ||<-2> '''후속급''' ||[[003형 항공모함|003형]] || |||| '''기준배수량''' ||55,200톤 || |||| '''만재배수량''' ||70,000톤 || ||<-2> '''전장''' ||315m || ||<-2> '''전폭''' ||75m || ||<-2> '''선체''' ||35m || ||<-2> '''흘수선''' ||9.1m || ||<-2> '''최고속도''' ||31노트 || ||<-2> '''항속거리''' ||18노트 순항시 8,500해리 (15,742Km) || ||<-2> '''추진 방식''' ||증기 추진 || ||<|2> '''레이더''' || '''통합''' ||[[346형 레이더|346A형 S밴드 레이더]] || || '''3차원 탐색''' ||382형 레이더 || ||<|2> '''무장''' ||<|2> '''CIWS''' ||[[H/PJ-11 1130식 CIWS]] 3문 || ||[[HQ-10]] 18연장 발사기 3기 || ||<-2> '''함재기''' ||[[J-15|J-15]] 32기[br]Z-18 8기[br][[Z-9]] 4기 || == 상세 == 구소련제 항공모함인 [[랴오닝함]]의 설계를 참고하고 실제 운용상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개량한 설계이다. 랴오닝함이 001형 항공모함이므로 002형으로 분류되기 전까지 불리던 001A형이라는 중국군 코드에서 이미 랴오닝을 바탕으로 개량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2013년 11월부터 건조에 착수, 2015년 3월부터 내부공정이 시작되었고, 2017년 4월 26일 진수되었다. 2019년말 실전배치되었다. 외모는 거의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을 기본으로 하되, 실제 랴오닝함을 운용해보면서 얻은 데이터와 노하우로 어느 정도 개조가 이루어져 배수량은 조금 늘고 [[함재기]] 탑재수는 상당히 늘어났다. 랴오닝함에 들어가는 [[J-15]] 기체수는 24기라고 알려져 있는데, 산둥함은 최대 8기 정도 늘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40기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고정익기 32기에 회전익기 8기까지 더한 총 항공기 탑재 수량이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함대공미사일이나 함대함미사일과 같은 자체무장이나 동력은 랴오닝함과 마찬가지로 러시아산이 아니라 중국산이다. 모항은 하이난성 싼야시 종합지원기지. 인근 5km 안에는 제2잠수함기지와 제9[[구축함]]지대가 있다. [[아일랜드(군함)|아일랜드]] 크기가 종래의 랴오닝에 비해 10퍼센트 줄었으며 선체 길이는 랴오닝에 비해 10m 정도 길어졌고 배수량은 수천톤이 늘어났다. [[346형 레이더|Type 346A]] 레이더를 장착했으며 탑재 항공기가 4-8대가 늘어났는데 내부 구조를 최적화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https://chinapower.csis.org/china-aircraft-carrier-type-001a/|#]] == 배치 == === 과정 ===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AKR20170426094300083_02_i_20170426113004368.jpg|width=1000]] 002형 항공모함의 진수식이 인민해방군 해군 창건 기념일(68주년)인 2017년 4월 23일에 거행될 것이라는 보도가 등장했지만 공개행사는 없었다. 이에 대해 중국, 홍콩 언론들은 다롄 현지의 기상 사정으로 연기된 것일 뿐이며, 27일에 시진핑 주석 등의 군부 및 중앙정부 주요 인사들의 참석 아래 진수식을 거행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결국 실제 진수식 거행은 2017년 4월 26일에 진행되었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불참했고[* 참석이 유력했으나, 현재 북한문제에서 비롯된 동북아 상황에서 순수 공격용 무기인 항모의 진수식에 참석하는 것은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 주변국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불참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앙군사위 부주석 등의 군부 인사들을 중심으로 참석했다. [[파일:external/n.sinaimg.cn/0lon-fyepsec1404628.jpg|width=1000]] 진수식 후 다롄항을 출항하는 산둥함 2018년 5월 13일, 진수 1년여만에 첫 시험 항해에 나선 모습이 공개되었다. 8월에는 2차 시험운항에 나섰다. 한편 산둥함을 건조했던 중국선박중공집단 사장이 랴오닝함과 산둥함의 기밀을 외국에 누설하는 간첩 혐의로 체포되었다는 보도가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421&aid=0003746474&date=20181219&type=1&rankingSeq=4&rankingSectionId=104|나왔다.]] 이 사람은 결국 징역 12년 및 당적 박탈의 법적 처벌을 [[https://www.scmp.com/news/china/military/article/2178493/death-penalty-may-await-chinese-aircraft-carrier-builder-boss|받았다.]] 2019년 12월 17일부로 정식으로 배치하였다.[[https://news.cgtn.com/news/2019-12-17/Xi-attends-commissioning-of-first-Chinese-built-aircraft-carrier-Mv4uyZPVUk/index.html|#]] == 운용 == 2020년 9월 1일 출항해 보하이해에서 22일간 군사훈련을 벌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854663?sid=104|#]] 함재기는 [[J-15]]로 하이난 링수이족 자치현의 제2함항연대에 편제되어있다. [[파일:002 다 뜯어고친다.png]] 2022년 4월에 찍힌 [[구글 어스]] 위성사진에 산둥함이 다시 [[대련]]에 와서 수리를 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거의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 수준으로 갑판을 싹 걷었다. 2023년 4월 23일 중국 해군의 산둥 항모전단이 남중국해에서 [[니미츠급 항공모함]]을 위시로 한 미 해군 항모전단과 같은 수역에서 훈련을 실시했다. 이 때 중국 해군은 [[H-6]] 전략폭격기와 함께 합동 훈련을 했는데, 한편 미 해군은 [[B-52]]와 [[B-1B]] 폭격기 전대와 같이 맞불 훈련을 실시했다. == [[003형 항공모함|후속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003형 항공모함)] == 동형함 목록 == ||<-8> {{{#FFFF00 '''002형 항공모함'''}}} || || '''순번''' || '''함번''' || '''함명''' || '''조선소''' || '''진수''' || '''취역''' || '''소속''' || '''상태''' || || 1 || 17 || 山东[br]([[산둥]]) || 다롄 조선소 || 2017년 4월 26일 || 2019년 12월 17일 || [[남해함대|남부전구해군]] || 현역 || [[분류:항공모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중국군/군함]][[분류:2017년 공개]][[분류:2019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