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중국 함선)] [[파일:yuan class.(2).jpg]] [[파일:Type_041_YUAN_Class_SSK_Air-independent_p.jpg]] [목차] == 개요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재래식 잠수함]]. [[NATO 코드명]]은 위안급 잠수함으로, [[원나라]](元)에서 따온 이름이다. == 제원 == ||||||||<:> '''{{{+1 {{{#ffff00 039A형 잠수함}}} }}} [br] {{{#FFFFFF 039A型潛艇 }}}''' || || '''수상배수량''' ||1,900톤 || || '''수중배수량''' ||3,600톤 || || '''전장''' ||77.6m || || '''전폭''' ||8.4m || || '''흘수''' ||5.5m || ||<|2> '''무장''' ||533mm 어뢰 발사관 6문 || ||[[YJ-8]] [br] [[3M-54 클럽|3M-54E 클럽]] || == 상세 == 위안급의 현대화된 전투시스템은 기존의 중국 [[잠수함]]과 달리 센서와 무장을 통합하여 전체적인 성능이 향상되었다고 한다. 아직 위안급의 정확한 성능을 파악할 수 없지만,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운용 중인 송급과 명급 디젤잠수함보다 한층 발전된 성능을 발휘할 것이다. 어뢰발사관은 함수에 6문을 탑재하며, 유도어뢰, 대함미사일 등을 운용한다. 운용어뢰는 [[러시아]]에서 기술을 지원받아 면허생산중인 TEST-71MKE 유선 어뢰와 53-65KE 웨이크 유도어뢰를 사용한다. 대함미사일은 [[YJ-8]] 잠수함 발사형과 [[3M-54 클럽|3M-54E 클럽]] 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다. 위안급은 다양한 무장을 탑재하여 중국이 보유한 기존 잠수함과 확연히 구별되는 고성능을 발휘할 것이다. 미 국방부는 2019년 연례 의회 보고서에서 중국 해군이 2020년까지 약 20척의 위안급을 건조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견 쑹급 잠수함의 개량형처럼 보이는 039A형이라는 형식명칭과 달리 형상 면에서 이전의 중국 잠수함과는 거의 유사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함수 형상과 어뢰발사관 배치, 건현 및 부력 확보를 위한 케이싱, 험프가 돌출된 눈물방울형 함형 및 세일 설계와 읍향흡수타일 장착 등 이전에 러시아에서 도입한 프로젝트 877EKM/636 [[킬로급 잠수함]]의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http://sinodefence.com/type039a_yuan-class/|#]], 중국 잠수함 특유의 설계는 세일에 부착된 한 쌍의 잠항타와 함미 수평타 및 대형 추진기 정도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는 개량형인 039B형과 이를 더 개량한 039C형이 나온 상태이다. 039A형과의 차이는 B형의 경우 유선형의 필렛을 셰일에 추가로 장착했고 흡음 타일도 새로 장비해 정숙성을 더욱 높였다. 2021년 6월 28일에 발견된 039C형은 셰일의 형태가 스웨덴의 차세대 잠수함인 [[블레킹에급 잠수함|A26 블레킹에급]]과 비슷한 형태이다. [[파일:China-Type-039C-Submarines.jpg]] 우리나라에서는 039C형이 블레킹에급 잠수함을 베꼈다는 주장이 많은데 양 잠수함의 실제 세일 형태는 많이 다르다. [[파일:China-Type-039C-Sweden-A-26-Submarines.jpg]] [[AIP]] 역시 탑재하고 있는데 CSIC 상하이 해양디젤기관연구소(711 연구소)에서 개발한 100kw 출력의 [[스털링 기관]] 2기로 추정된다.[[https://web.archive.org/web/20181124055059/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world/china/yuan.htm|#]] == 수출 == === 파키스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고르급 잠수함)] 중국은 2013년 국제방산전시회에 S20이라는 명칭으로 위안급의 축소형을 내놓았다. 배수량 2800톤급으로, 수출형 킬로급처럼 해외수출 전용 모델로 개발된듯 하다. 방글라데시와 파키스탄이 구매 협상을 타진했고, 파키스탄에서 8척을 구매했다. 파키스탄에서 구매한 잠수함을 한고르급으로 명명하였다. === 태국 === [[태국 해군]]은 신형 잠수함을 획득하기 위해 러시아의 [[킬로급]], 프랑스의 [[스코르펜급 잠수함]]과 함께 한국의 [[장보고급 잠수함]]을 검토해왔으나, 중국이 파격적인 가격을 제시하며 접근, 결국 태국은 위안급을 결정했는데 정확하게는 위안급의 수출형인 수중 배수량 2600톤급의 S26T 잠수함이다. 태국이 1990년대 초반 중국제 호위함 장후급에 데이고도 이렇게 위안급을 선택한 이유는 중국이 3배의 대응구매를 약속하고, 25년간 할부, 그리고 고장시 무료 애프터 서비스를 보장했기 때문이다. [[http://media.daum.net/digital/all/newsview?newsid=20150710160310107|기사]] 중국으로서는 이것이 단순한 무기판매가 아니라 동남아에 우호국 하나 더 늘린다는 입장에서 파격적인 조건을 약속한 것이다. 사실 태국은 남중국해 분쟁과는 별로 관계가 없고, 중국과 잠재적으로 마찰을 일으킬 소지가 있는 [[베트남]]과 앙숙이기 때문에 태국이 친중 행보를 보인다는 것은 중국으로서는 매우 고무적인 것인 상황이다. 그런데 계약 체결 후 문제가 발생했다. 2021년 9월 22일 태국 해군에 인도되는 S26T급 디젤 전기 잠수함 인도가 2024년으로 연기됐다. [[https://armstrade.org/includes/periodics/news/2021/0922/105064572/detail.shtml|#]] 2022년 2월 연합통신은 태국의 야당의원이 인도 예정인 잠수함에 여러가지 의혹이 있다고 주장한 것을 보도했다.[[https://news.v.daum.net/v/20220228113638713|#]] 4월에 잠수함에 장착될 독일산 엔진의 수출이 거부된 것은 중국에 대한 유럽연합의 금수 조치와 관련이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https://m.yna.co.kr/view/AKR20220402032600076?section=international/all|#]] 6월 9일 태국의 타롱삭 시리사왓 해군 참모총장이 CSOC 최고위 관계자와 만나 태국이 엔진 탑재 문제를 논의했다고 한다. CSOC 관계자는 외교적 채널은 물론 정부 대 정부 채널까지 모든 가능한 방안을 동원해 독일 업체에 엔진을 판매해달라고 촉구했지만, 허사였다고 한다. 이어 CSOC는 중국산 엔진을 잠수함에 대신 탑재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태국 해군은 해당 엔진이 현재 전 세계 어느 나라의 잠수함에도 사용되지 않고 있는 만큼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2개월 내에 이 요구사항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계약서에 근거해 계약파기를 하겠다고 하였다.[[https://news.v.daum.net/v/20220610113440537?x_trkm=t|#]] 039A형의 파키스탄 수출형인 한고르급도 독일산 엔진 탑재가 불가능해지자 중국제 CSOC CHD620 디젤 엔진을 탑재해서 건조 중이므로 S26T도 결국은 중국제 엔진 탑재로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11월 태국 해군이 중국 제조업체가 건조하는 S26T 잠수함에 제안된 엔진의 품질에 대해 중국 측에 보증을 요청할 것이라고 태국 해군 참모총장이 공식 언급했다. 그에 따라 중국과 협의중인 것으로 보인다.[[https://www.nationthailand.com/thailand/general/40022346|#]] == 관련 문서 == * [[해상 병기/현대전]] * [[킬로급]]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태국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 둘러보기)] [[분류:중국군/군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잠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