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분데스리가)] ---- ||<-2>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height=300]] || ||<-2><#004b9c>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30013 , #e30013 20%, #fff 20%, #fff 80%, #e30013 80%, #e30013)" {{{#e30013 {{{+1 1. FC 하이덴하임 1846}}}}}}}}}''' || ||<-2><#003b79> '''{{{#fff {{{+1 1. FC Heidenheim 1846}}}}}}''' || || '''정식 명칭''' ||1. Fußballclub Heidenheim 1846 e.V. || || '''창단''' ||[[1846년|{{{#000,#ddd 1846년}}}]] [[8월 14일|{{{#000,#ddd 8월 14일}}}]] '''^^([age(1846-08-14)]주년)^^'''[* 2007년 1월 1일에 축구 부서가 따로 분리되어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 || '''소속 리그''' ||'''[[분데스리가|{{{#d5040d 분데스리가 (Bundesliga)}}}]]''' || || '''연고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슈투트가르트 현]] [[하이덴하임|하이덴하임안데어브렌츠]] (Heidenheim an der Brenz) || || '''홈구장''' ||[[포이트 아레나]] (Voith-Arena) [br] 15,000명 수용 || || '''회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홀거 잔발트 (Holger Sanwald) || || '''단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알렉산더 라프]] (Alexander Raaf) || ||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프랑크 슈미트]] (Frank Schmidt) || || '''수석코치'''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베른하르트 라프]] (Bernhard Raab)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디터 야로슈]] (Dieter Jarosch) || || '''주장'''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파트리크 마인카]] (Patrick Mainka) || || '''공식 웹사이트''' ||[[https://www.fc-heidenheim.de|[[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height=25]]]] [[https://twitter.com/FCH1846|[[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FCH1846|[[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fch_1846/|[[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FCHpodcas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tiktok.com/@fch_achtzehn_46 |[[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 || '''지난 시즌 성적[br](2022-23 시즌)''' ||[[2. 분데스리가]] '''1위''' || || '''약칭''' ||<#E30013>'''{{{+1 {{{#FFF HDH / FCH}}}}}}''' || ||<-2><#003b79> '''{{{#fff 우승 기록}}}''' || || '''[[2. 분데스리가|{{{#fff __2. 분데스리가__}}}]]'''[br](1회) ||2022-23 || || '''[[3. 리가|{{{#fff __3. 리가__}}}]]'''[br](1회) ||2013-14 || || '''[[레기오날리가|{{{#fff __레기오날리가 쥐트 (4부)[* 현재는 없어짐]__}}}]]'''[br](1회) ||2008-09 || ||<-2><#003b79> '''{{{#fff 클럽 기록 }}}''' || || '''최고 이적료 영입''' ||[[팀 클라인딘스트]] (Tim Kleindienst)[br](2021년, From [[KAA 헨트]], 350만 €) || || '''최고 이적료 방출''' ||[[로베르트 글라첼]] (Robert Glatzel)[br](2019년, To [[카디프 시티 FC]], 600만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5jLGWn2zdY)]}}} || ||<#00387a> '''{{{#fff 2022-23 시즌 골송}}}''' || [목차] [clearfix] == 개요 == 1. FC 하이덴하임은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도시 [[하이덴하임|하이덴하임안데어브렌츠]]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현재는 분데스리가에 참가하고 있다. == 스쿼드 == === 1군 === [include(틀:1. FC 하이덴하임)] == 역사 == 이팀의 처음 창단은 무려 [age(1846-01-01)]년 전인 [[1846년]][* 참고로 이때 해왕성이 발견되었다(...).]에 하이덴하이머 슈포르트분드라는 이름으로 창단한 때 이지만 그때는 그저 아마추어 스포츠클럽이었고 현재 축구팀은 2007년에 하이덴하이머 SB에서 축구부가 독립하며 [[1. FC 하이덴하임]]이라는 이름으로 창단한 것이 그 시초이다. 2007년 하이덴하이머 SB시절 선수였던 [[프랑크 슈미트]]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그리고 현재까지 주장을 맡고있는 [[마르크 슈나터러]]의 활약으로 2009년 4부리그였던 [[레기오날리가]] 쥐트에서 우승한뒤 2013-14시즌엔 [[3. 리가]]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면서 [[2.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 === 요약 === * 1부/[[분데스리가]]: 2023- == 역대 시즌 == === 2019-20 시즌 === 시즌 초반 [[SG 디나모 드레스덴]]과 [[SV 잔트하우젠]]에게 2연패를 당하며 불안하게 시작했으나 이후에 좋은 모습을 보이며 전반기를 8승 6무 4패 4위로 마감했다. 후반기에는 승패를 거듭하며 순위를 올리지 못하고 있지만 5위였던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가 부진하며 5위가 [[SpVgg 그로이터 퓌르트]]로 바뀌었고 이마저 승점차가 나기 때문에 4위에 오래 머무를것으로 보인다. 이후 33라운드 [[함부르크 SV]]전 [[요엘 포얀팔로]]의 선제골로 끌려가다 80분 [[요르단 바이어]]의 자책골로 동점을 만들었고, 경기가 끝나기 직전인 95분 [[콘스탄틴 케르슈바우머]]의 결승골로 2대1로 승리했다. 따라서 순위는 3위로 올라갔다. 최종 라운드 빌레펠트와의 최종전에서 0-3으로 대패하였지만, [[함부르크 SV]]가 홈에서 [[SV 잔트하우젠]]에게 1-5로 대패하며 3위를 유지, [[베르더 브레멘]]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승강 플레이오프 1차전은 [[베저슈타디온]]에서 0대0으로 비겼으며, 2차전 홈에서 2대2로 비기면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승격에 실패했다.~~까비~~ === 2020-21 시즌 === 지난시즌 상승세에 큰 활약을 한 [[팀 클라인딘스트]]와 [[니클라스 도르슈]]가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의 [[KAA 헨트]]로 이적했다. 저 둘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서 에이스 두명 [[크리스티안 퀼베터]], [[플로리안 피크]]를 영입했다.--내리갈굼-- 또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서 [[제니스 부르니치]]도 영입했다. [[DFB-포칼]] 1라운드에서 지난시즌 [[3. 리가]]로 강등된 [[SV 베헨 비스바덴]]을 만났다. 결과는 예상외로 1대0 패배. 1라운드에서 탈락하게 되었다. 리가에서는 15승 6무 13패로 8위에 올랐다. === 2021-22 시즌 === 2019-20 시즌 뛰어난 활약을 선보이고, 저번 시즌 후반기에도 팀에 임대되어 좋은 활약을 펼친 [[팀 클라인딘스트]]를 3.5m 유로에 재영입하였다. 또한 [[VfL 볼프스부르크]]의 유망주 센터백 [[팀 지르슬레벤]], [[FC 아우크스부르크]]의 유망주 윙어 [[모리스 말론]]을 임대 영입하였다. 클라인딘스트 영입의 반대급부로 [[파트리크 슈미트]]가 팀을 떠나 [[FC 잉골슈타트 04]]로 이적하게 되었다. 시즌 출발이 썩 유쾌하지는 않다. 현재 5라운드 기준 3실점으로 실점 공동 최소를 기록하는 좋은 수비를 보여주고 있지만, 공격도 고작 3득점이라는 빈공을 보이고 있는 것이 현 하이덴하임의 문제이다. 아직 무득점에 그치고 있는 [[크리스티안 퀼베터]]의 각성이 시급해 보인다. 이후 득점력은 많이 개선이 되었지만, 반대로 수비가 초토화 되었다. 하이덴하임 답지 않게 6경기 클린시트 없이 14실점을 기록하며 후방에서의 불안을 지속적으로 노출하였다. 12라운드 [[FC 샬케 04]] 전 1대0으로 승리를 거두며 간만에 달콤한 클린시트 승리를 맛 보았으나 그 다음 경기인 강등권 팀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와의 경기에서도 2대0으로 패배하며 11월 A매치 휴식기 전 씁쓸한 마무리를 하였다. 약화된 수비력 개선을 위해 슈미트 감독은 [[노르만 토이어카우프]]를 왼쪽 스토퍼 자리에 세우는 쓰리백 전술을 가동했지만 적응되지 않은 포메이션에 오히려 더 헛점만을 보였다. 다행히 11월 A매치 브레이크 이후에는 쾌조. 잔여 전반기 5경기에서 4승 1패를 기록하며 승격 경쟁권에 합류하였다. 경쟁팀 [[SSV 얀 레겐스부르크]]를 홈으로 불러 [[토비아스 모어]]의 활약에 힘입어 3대0 완승, [[SC 파더보른 07]] 원정에서 2대1 승리를 거둔 것이 컸다. 전반기 최종 성적은 9승 3무 6패 승점 30점, 6위에 올랐다. [[크리스티안 퀼베터]]의 침묵 등 빈공에 의해 승격을 놓고 경쟁하는 9팀 중 유일하게 골 득실이 -이다. 후반기 개막전 홈으로 꼴찌 [[FC 잉골슈타트 04]]를 불러들여 [[토비아스 모어]], [[로베르트 라이페르츠]]의 골을 앞세워 2대1 승리를 거두었다. 드디어 골 득실 음수에서 탈출했다! 20라운드 중하위권에 쳐진 [[FC 한자 로스토크]] 원정에서 무승부를 거두며 현재 순위는 6위, 3위로 올라갈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저번 경기 훌륭한 활약을 보인 [[마르논 부슈]], [[로베르트 라이페르츠]] 우측 라인이 코로나 19 확진 판정을 받으며 빠진 영향이 컸다고 볼 수 있다. A매치 브레이크가 끝난 후 21라운드, 상승세의 [[하노버 96]]를 [[포이트 아레나]]로 불러들였다. [[올리버 휘징]]이 코로나 19로 결장하며 [[팀 지르슬레벤]]이 선발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다. [[니클라스 훌트]]의 자책골, [[야니크 뎀]]의 클리어링 미스로 인한 [[토비아스 모어]]의 추가골. 하노버의 양 풀백이 실수를 해주며 2대0 리드를 잡았다. 직후 [[막시밀리안 바이어]]에게 불운의 추격골을 허용했으나, 후반 하노버의 역습을 차단하고 멀리서 때린 모어의 슛이 그대로 원더골로 연결되며 3대1로 승리를 가져갔다. 이 승리로 잠시나마 승강 플레이오프 권인 3위로 상승. 그러나 22라운드 [[함부르크 SV]] 원정 0대2 패배를 시작으로, 하위권 [[SG 디나모 드레스덴]]과 [[SV 잔트하우젠]]과도 2무를 거두며 승격 경쟁에서 급격하게 멀어졌다. 하위권을 상대로 한 2연전에 주포 [[팀 클라인딘스트]]가 결장한 것이 뼈아프다고 할 수 있다. 분위기 반전을 위해 25라운드 [[SV 다름슈타트 98]] 원정에서는 4-4-2 포메이션을 들고 나왔다. [[크리스티안 퀼베터]]와 [[로베르트 라이페르츠]]가 연달아 골을 기록하며 2대0으로 앞서 승리를 가져가나 했으나, 77분 이후로 3실점을 하며 통한의 역전패, 이로써 승격권에서 완벽히 멀어지게 되었다. 홈에서 리가 선두인 [[SV 베르더 브레멘]]을 맞이해 2대1 깜짝승을 거두었다. [[팀 클라인딘스트]], [[파트리크 마인카]]의 공백에도 불구하고 [[슈테판 시머]]와 [[크리스티안 퀼베터]]의 좋은 활약이 돋보였다. 퀼베터의 원더 선제골은 그야말로 백미. 그러나 경기 막판 주전 라이트백 [[마르논 부슈]]가 다이렉트 퇴장을 당하며 추후 27, 28라운드에 출전할 수 없게 된 것은 뼈아프다. 27라운드 [[FC 장크트 파울리]] 원정을 떠나게 되었는데, 이 경기마저 승리한다면 승격 가능성이 더욱 증가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다니엘코피 체레]]에게 선제골을 내주며 끌려가게되었다. [[팀 클라인딘스트]]의 회심의 슈팅이 골대를 때리며 1대0 패배. 승격권과는 확실히 멀어진 채 A매치 휴식기를 보내게 되었다. 하이덴하임과 마찬가지로 승격 경쟁에서 살짝 뒤쳐진 [[1. FC 뉘른베르크]]를 홈으로 불러들여 중요한 일전을 가졌다. 주포 [[팀 클라인딘스트]]의 선발 복귀 및 멀티골에 힘입어 예상 외로 수월하게 3대1로 여유로운 승리를 장식하였다. 조금 앞서있던 승격 경쟁팀들이 [[FC 샬케 04]] 제외 모조리 미끄러지며 하이덴하임도 다시 경쟁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그 샬케 04와 맞붙은 29라운드 원정 경기, 지옥의 [[펠틴스 아레나]] 원정에서 역시나 참변을 당했다. 하이덴하임의 위력적인 슈팅들은 모조리 [[마르틴 프라이슬]]에게 막혔으며, 겨우 한번 골망을 뒤흔들었으나 그마저도 VAR 판독 이후 취소되었다. 믿을맨 [[올리버 휘징]]이 선제 실점의 빌미가 되는 등 여러모로 안 풀린 경기. 이어지는 30라운드에는 강등권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에게 홈에서 0대2 충격패를 당하며 승격의 꿈은 거의 물 건너가게 되었다. 또 결장한 주포 [[팀 클라인딘스트]]의 공백이 뼈아팠던 경기. 31라운드 [[홀슈타인 킬]] 원정에서도 세트피스 상황 선제골을 내주며 끌려갔지만, [[팀 클라인딘스트]]의 좋지 못한 슈팅을 [[이오아니스 겔리오스]] 키퍼가 막지 못하며 다행히 1대1로 무승부를 거두었다. 32라운드 홈으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를 불러들여 승점 3점을 노렸지만, 오히려 1대3 충격패를 당하며 산술적으로 승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번 시즌도 [[2. 분데스리가]] 잔류.. 33라운드 [[SSV 얀 레겐스부르크]] 원정에서는 [[토비아스 모어]]의 골과 함께 2대0 승리를 거두었다. === 2022-23 시즌 === [[파일:heidenheimzweiteligameister.jpg|width=100%]] ||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width=130]] || ||<#d5040d> '''[[2. 분데스리가|{{{+1 {{{#white Zweitliga-MEISTER}}}}}}[br]{{{#fff 2022–23 2. 분데스리가 우승팀}}}]]''' || 개막 라운드의 상대는 저번 시즌 13위 팀 [[FC 한자 로스토크]]이며, 원정이다. 4-4-2의 포메이션을 꺼내들었고, 신입생 [[얀니클라스 베스테]]는 이적 한 [[토비아스 모어]]를 대신해 바로 선발 라인업에 들었다. 외에도 팀을 떠난 [[올리버 휘징]]의 자리는 유망주 [[팀 지르슬레벤]]이 낙점받았다. 백중세의 경기, 전반전은 0대0으로 끝났다. 후반 초반 베스테의 크로스를 [[슈테판 시머]]가 다이빙 헤더로 마무리하며 선제골이자 이 경기의 유일한 득점을 만들었다. 기분 좋은 원정 승리. 홈 개막전은 승격팀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와 경기를 펼친다. 전반 10분만에 행운의 자책골로 앞서갔고, 후반 [[팀 클라인딘스트]]와 [[케빈 세사]]까지 골을 터뜨리며 3대0 완승을 거뒀다. 이후 펼쳐진 [[DFB-포칼]] 1라운드도 무난한 2대0 승리로 다음 라운드 진출을 확정지었다. 3라운드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원정에서는 [[로베르트 글라첼]]에게 골을 얻어맞고 회복하지 못하며 0대1로 패했다. 직전 경기들에서 [[팀 지르슬레벤]]의 좋지 못한 활약으로 [[레나르트 말로니]]가 선발 데뷔전을 가졌고, 이적생 [[플로리안 피크]], [[아드리안 베크]]도 선발 데뷔전을 가졌다. [[1. FC 뉘른베르크]] 원정을 떠난 4라운드, 주포 [[팀 클라인딘스트]]의 결장과 만만치 않은 매치업으로 힘든 경기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오히려 시종일관 강한 압박과 위협적인 플레이를 앞세워 3대0 완승을 거두었다. 시즌 첫 선발 출전한 [[데니스 토말라]]가 득점까지 기록했고, [[아드리안 베크]]는 1골 1도움으로 하이덴하임에서의 마수걸이 득점을 비롯해 매우 좋은 활약을 펼쳤다. 외에는 [[엘리도 케나이]]라는 유망주가 교체로 투입되며 프로 데뷔 경기를 가졌다. 5라운드 시즌 전패의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를 홈으로 불러들여 승점을 1점밖에 획득하지 못하는 아쉬운 경기를 펼쳤다. 3분만에 [[팀 클라인딘스트]]의 선취골로 앞서갔으나, [[로빈 하크]]에게 원더 장거리골을 실점하며 7분만에 리드는 사라졌다. 이후에도 맹공을 퍼부었으나 결국 빌레펠트의 골문은 열리지 않았고, 1대1로 경기는 종료되었다. 승격 경쟁 상대인 [[SV 다름슈타트 98]] 원정, 힘든 경기가 될 듯 보였으나 2대2 무승부라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고 돌아왔다. 2번의 리드를 내줬지만 뒷심으로 2번의 동점을 만들었으며, 이적생 듀오 [[아드리안 베크]], [[얀니클라스 베스테]]를 필두로 한 새 공격진의 호흡도 점점 맞아가는 듯 보인다. 역시 승격을 노리는 또 다른 팀인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와의 7라운드, [[팀 클라인딘스트]]의 1골 1도움 활약에 힘입어 2대1 승리를 거두었다. 8라운드 [[카를스루어 SC]] 원정에서는 무득점 무승부로 경기를 마쳤다. 승격 경쟁 중이기에 이런 승점 흘리기는 차후 뼈 아픈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9라운드에도 무승부를 거두었다.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을 홈으로 맞아 [[얀니클라스 베스테]]의 멋진 선제골로 앞서갔지만, 곧바로 동점골을 내준다. 그러나 베스테의 재치있는 플레이로 라우턴의 키퍼 [[안드레아스 루테]]를 전반 40분만에 퇴장시키며 수적 우위를 점했고, 이 과정에서 얻은 프리킥을 [[마르논 부슈]]가 다이렉트 득점에 성공하며 앞서며 전반을 끝났다. 그러나 후반에 철퇴 한 방을 맞았고 결국 2대2로 경기는 종료되었다. 폼이 물올랐던 [[케빈 세사]]가 병으로 결장하며 [[플로리안 피크]]가 선발 출전한 경기였다. A매치 기간 직후 10라운드 [[FC 장크트 파울리]] 원정은 0대0 김빠지는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마르논 부슈]]가 부상으로 결장하며 주전 센터백 [[레나르트 말로니]]가 라이트백으로 이동하고 [[팀 지르슬레벤]]이 선발 출전하였으며, [[얀 쇠프너]] 또한 결장해 [[안드레아스 가이플]]이 선발로 나섰다. [[플로리안 피크]]는 벤치로 가고 [[크리스티안 퀼베터]]가 선발 라인업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저번 경기 결장한 [[케빈 세사]]는 교체로 들어와 45분 가량을 소화했다. 시즌이 계속 진행되면서 순위를 높여나갔고, 승격경쟁에 참여하고 있다. 33라운드 잔트하우젠과의 홈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고, 2위를 유지했다. 4위 장크트 파울리와의 승점차가 7점이 나면서 최소 승강 플레이오프를 확정지었다. 1위 다름슈타트와 승점차가 3점, 3위 함부르크와 1점차가 남에 따라 남은 1경기에 따라 우승컵을 가져갈 수도 있고 승강 플레이오프로 떨어질 수도 있게 됐다. 34라운드 얀 레겐스부르크 원정에서 2골을 먼저 내주면서 끌려갔지만 이후 3골을 넣으며 3-2로 역전승했고[* 후반전 추가시간 6분동안 동점골과 역전골을 넣었다.], 1위를 달리던 다름슈타트가 마지막 34차전에서 그로이터 퓌르트에게 0-4로 대패하면서 같은 67점이지만 골득실에서 10골 이상 앞선 하이덴하임이 최종 순위에서 1위를 기록하며 [[2.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팀 역사상 처음으로 분데스리가에서 뛰게 됐다. === 2023-24 시즌 === 클럽 역사상 최초로 [[분데스리가]]에 참가하는 시즌. 분데스리가 두번째경기, 호펜하임을 만나 2-0로 앞서다가 후반에 3골을 내주며 2-3로 아쉽게 패했다. 3라운드 도르트문트 원정에서 2-2로 비기면서 클럽 역사상 최초로 분데스리가에서 첫 승점을 기록했다. 4라운드 [[베르더 브레멘]]과의 홈 경기에서 2-0으로 앞서다가 2-2 동점이 만들어진 후, 내리 2골을 넣고, 4-2로 승리하여 '''구단 역사상 최초의 1부리그 첫 승을 달성하였다.''' == 여담 == 여담으로 골송이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같다. 2019-20 시즌까지 주장이었던 [[마르크 슈나터러]]는 팀이 창단되고 1년 뒤인 2008년부터 2021년까지 뛰었다. 그리고 현재 감독인 [[프랑크 슈미트]]는 초대 감독은 아니지만 팀이 창단된 2007년부터 감독직을 맡고있다. == 과거 주요 선수 == * [[마르크 슈나터러]] * [[니클라스 도르슈]] * [[로베르트 안드리히]] [[분류:1. FC 하이덴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