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1번, other1=에니어그램의 유형, rd1=1번(에니어그램))] || '''1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QWERTY 키보드)] [include(틀:아라비아 숫자)] [include(틀:수학상수의 목록)] [include(틀:십진수)] }}} || [include(틀:수, 수=1, 한국어=일 하나, 한자=一, 영어=one first, 종류=정수, 약수=1, 로마=I, 제곱=1)] [목차] == 개요 == ||[[아라비아 숫자]] 표기||1|| ||[[로마 숫자]] 표기||I|| ||[[한자]]||一, 壹[* 원래는 오로지 ~하다라는 의미지만 一은 증서에 수를 기록할 때 위조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한자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갖은자]] 문서 참고.]|| ||[[한국어]]||하나[* [[고대 한국어]]와 [[향찰]]의 연구 성과가 점차 축적됨에 따라, 어원의식이 '곧-(直)'에 있으리라고 추측하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한, 일[* 일(work)과 다르게 [[성문 파열음]]이 추가돼 /ʔil/로 발음되며 현대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에 속한다. 중세 한글에선 [[ㆆ]]로 표기했다.]|| ||[[영어]]||One|| ||[[중국어]]||yī(一, 壹)|| ||[[광동어]]||jat1 一(얏)|| ||[[일본어]]||ひと, いち(一, 壱)|| ||[[태국어]]||(능) [nɨŋ]|| ||[[독일어]]||Eins (아인스)|| ||[[스웨덴어]]||En(엔)/Ett(엣)|| ||[[프랑스어]]||[[앙|Un]][ã], Une([yn], 여성형)|| ||[[스페인어]], [[이탈리아어]]||Uno(우노)|| ||[[러시아어]]||Один (Odín, 아딘)[* [[신기동전기 건담 W 듀얼 스토리 G-UNIT]]의 주인공인 [[아딘 버넷]]의 이름이 여기에서 왔다.]|| ||[[라틴어]]||Unus|| ||[[아랍어]]||(((wahid)|| ||[[튀르키예어]]||bir(비르)|| ||[[그리스어]]||ένα(에나)|| ||[[폴란드어]]||jeden (얘댄)|| ||[[에스페란토]]||Unu (우누)|| ||[[히브리어]]||אחת (아하트)|| ||<-5> [[큰 수]] || ||[[10|십]](一)|| 1/10 배 [br]→ ||'''일'''|| 1/10 배[br]→ ||[[푼]] 또는 분(分)|| [[0]]보다 크고 [[2]]보다 작은 [[양수(수학)|양의 정수]]([[자연수]])이다. 한 자릿수의 첫 번째 수, 즉 '''자연수의 첫 번째 수 or 두번째 수(범 자연수 공리계에서)'''며, 첫 번째 [math(n)][[제곱수]]이다. 편의상 자연수를 [math(0)]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정의([[자연수#s-2.1.1|범자연수]])하기도 한다(특히 [[집합론]]). 다만 역사적으로 [math(0)]이 훨씬 나중에 발견된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맨 첫 번째 숫자라는 표현은 [math(1)]로 쓰는 것이 의미 있다. 그렇지만 필요에 의해서 얼마든지 확장이 가능하므로, '[math(0)]은 절대 첫 번째가 될 수 없다'라는 식으로 주장할 수는 없다. [[이진법]]에서 0과 함께 쓰이는 숫자다. 숫자 1이 지닌 상징적 의미는 원초의 통일, 태초의 시작, 창조자, 주동자, 모든 가능성의 총합, 본질, 중심, 나눌 수 없는 불가분의 것, 배아, 고립을 의미하며, 융기, 상승을 상징한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양(陽), 남성, 하늘, 길을 의미하며, 기독교에서는 하나님 아버지, 신성을, 유태교에서는 아도나이 혹은 숨겨진 자식(카발라에서 말하는 세피로스의 카텔), 이슬람교에서는 통일로서의 신, 절대자, 모든 것을 자족하는 존재, 피타고라스 학파에서는 영(靈), 만물의 기원으로써 신, 본질, 모나드를 의미하며, 도교에서는 도(道)는 1을 낳고, 이렇게 낳은 1은 2를, 2는 3을 낳고, 3은 만물을 낳는다고 한다. == 모양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f24t24t42t.jpg|width=100%]]}}}|| [[대한민국]]이나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권 그리고 [[미국]][* 물론 미국은 다민족 국가이고, 특히 유럽 출신 이주민이 많아서 유럽발 이민자가 많은 동부를 중심으로 유럽식으로 적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에서는 일반적으로 수기할 때 그냥 세로줄 하나만 그어서 쓰는 것(I)이 일반적이지만, 유럽권에서는 우상향 대각선을 긋고 세로줄을 긋는 2획(1)이 일반적[* 문제는 이렇게 쓰면 필체에 따라 [math(7)]과 혼동될 우려가 있는데, 이런 사람들은 대개 [math(7)]에 취소선을 그은 것([math(\mathsf 7\!\!\!\text{--})])처럼 쓴다.]이다. 심지어 일부 사람들은 대각선이 세로줄보다 긴 경우도 있다. 그리고 드물지만 아래 가로선까지 그어 3획으로([math(1)]) 쓰는 경우도 있다.[* 사실 7도 쓰는 방법이 하나뿐인 다른 숫자와는 다르게 쓰는 방법이 3종류나 있다. 7, [math(7)], [math(\mathsf 7\!\!\!\text{--})].] 이렇게 쓰는 것을 [[세리프|정자]]로 쓴다고 한다. 서구권에서 이렇게 쓰는 이유는 보통 로마자 대문자 l, 혹은 소문자 l[* 수동 타자기 시절 라틴 문자권 타자기에서는 정말 숫자 1을 소문자 l로 대체해서 써야 했다. 즉 숫자 키 1 자체가 배당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느낌표)도 마침표와 [[어포스트로피]]를 겹쳐 찍어 사용해야 했다. 물론 한국이나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생산된 타자기에는 숫자 1이 있기도 했다.]과 헷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메일 등을 자필로 적어야 할 경우 1은 가로선까지 그어 3획으로([math(1)]) 쓰는 것이 좋으며, 0은 ∅으로 적는 것을 권장한다. 여의치 않으면 어떤 것이 숫자인지 정확하게 구분시켜야 한다.[* 방법은 다양하다. 숫자 부분을 빨간색으로 쓰거나, 영문자 몇개, 숫자 몇개 등의 정보를 첨부해도 된다. 또는 한글로 그 풀이를 옆에 적어도 된다. 예를 들어, il10의 경우 '''영문자 2개, 숫자 2개''' 또는 '''아이 엘 일 영''' 등이며 일부 은행에서 인터넷뱅킹 가입시 아이디를 확인서에 출력할 경우에도 비슷한 방법을 쓴다.] == 수학적 특징 == === 첫번째 수? 두번째 수? === [math(1)]은 자연수의 첫 번째 수다. 자연수를 엄밀하게 규정한 '페아노 공리계'에서는 [math(1)] 자체가 아예 첫 번째 공리이다. 여기에 세 번째 공리로 [math(1)]의 앞에는 어떤 수도 없다고 못을 박는다. * [math(\mathbb{N})]은 [math(1)]이라고 불리는 특별한 한 원소를 가진다. * [math(1)]을 다음 수로 갖는 원소는 [math(\mathbb{N})]에 존재하지 않는다. [math(0)]으로 시작하도록 정의할 수도 있는데, 이러면 [[모노이드]]가 되어 조금 더 수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math(0)]으로 시작하는 자연수를 구분하여 [[범자연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math(1)]이 [math(0)]의 다음 수가 되어 두 번째 수라 할 수 있다. === 곱셈 연산의 항등원 === * 곱셈 연산에 대한 [[항등원]]이다. 쉽게 말해서 임의의 수 [math(a)]에 [math(1)]을 곱하면 항상 [math(a)]가 나온다. 즉, 임의의 수 [math(a)]에 대하여 [math(a \cdot e = e \cdot a = a)]를 만족하는 [math(e)]의 값은 [math(e=1)]뿐이다. [* 엄밀하게 수학적으로 정의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수가 만들어지는 수의 집합을 먼저 선언해야 한다. 다만, 자연수, 정수, 유리수, 실수, 복소수 등 수학에서 흔히 다루는 대부분의 수의 집합에서는 1을 포함하고 있으며, 1은 곱셈의 항등원이다. ] * 따라서 [[로그(수학)|[math(\log_1 x)]]]는 정의되지 않는다. * [[군(대수학)|군]](group)의 항등원을 종종 [math(1)]로 표기한다. * 지수 연산에 대한 항등원이다. 즉, 임의의 수 [math(a)]의 [math(1)]제곱은 [math(a)]이다. * 단, [[무한 지수 탑 함수]]는 그대로 1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로피탈의 정리]]를 통해서 값을 얻어야 한다. [math(0/0)] 꼴의 [[부정형]]이 되기 때문. * [math(1^{\infty})] 자체를 하나의 부정형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 기타 특성 === * [[0.999=1|[math(0.999\cdots\cdots=1)]]]이다. * [math(0)][[팩토리얼|[math(!)]]][math(=1)]로 정의한다. * 단위를 제외하고 문자 앞에 [math(1)]이 있다면 그 [math(1)]은 생략한다.[* 예: [math(1x)]라고 쓰지 않고 그냥 [math(x)]라고 쓴다.] [math(-1)]도 마찬가지로 [math(1)]을 생략하고 음의 부호로만 나타낸다.[* 예: [math(-1x)]라고 쓰지 않고 그냥 [math(-x)]라고 쓴다.] * 여기서 개념을 확장해서, 어떤 함수의 [[측도]]가 1인 것들에 '[[단위]]XX'라는 이름을 붙인다. * 반지름이 1인 [[원(도형)|원]]인 [[단위원]] * 1의 [[거듭제곱근]]인 [[단위근]] * [[구간]] [math([0,1])]을 이르는 단위구간 * 양수에서는 1, 음수에서는 0의 값을 띠는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단위 계단 함수]] * 크기가 1인 [[벡터]]인 [[단위벡터]] * [[분자#수학 용어]]가 1인 [[분수]]인 단위분수 * 진약수의 합이 [math(0)]이므로 [[부족수]]다. * 1이 곧 자기 자신이므로 유일하게 진약수가 존재하지 않는 자연수이다. * [[소수(수론)|소수]]에도, [[합성수]]에도 속하지 않는 유일한 [[자연수]]이다.[* [[자연수]]는 [[약수(수학)|약수]]가 [math(2)]개([math(1)]과 자기 자신) 존재하면 소수로, [math(3)]개 이상([math(1)]과 자기 자신, 그 외에 다른 수) 존재하면 합성수로 구분하는데, [math(1)]은 약수가 한 개([math(1)]이 곧 자기 자신)이기 때문이다. 또한 소인수분해의 유일성을 깨지 않기 위하여 [math(1)]을 소수 취급 하지 않기로 약속한 것도 있다.][* [[소수 정리]]를 통해 더 명확하게 정의가 되는데, 여기에 쓰이는 [[로그 적분 함수]] [math(\displaystyle \mathrm{li}\left(x\right) = \int_0^x \frac{{\rm d}t}{\ln t})]와 합성함수 [math(\dfrac{x}{\ln x})]가 [math(x=1)]에서 '''발산'''한다. 즉 소수인지 아닌지 판별 자체가 불가능한 수이다.] * [[피보나치 수]], [[벨 수]]의 첫 번째 수이자 두 번째 수이다. 또한 피보나치 수와 벨 수에서 유일하게 두 번 나타난다. * [[하샤드 수]]의 첫 번째 수이다. * [[환(대수학)|환]](ring)의 곱셈에 대한 항등원을 [math(1)]로 표기한다.[* 환 [math(R)]에서의 항등원임을 강조하고 싶다면 [math(1_R)]로 쓴다.] * [math(x \ne 0)]일 때, [math(x^0=1)]로 정의한다.[* [[0의 0제곱|[math(0^0)]]]에 대해서는 문서 참조.] * 따라서 밑에 상관없이 [[로그(수학)|[math(\log 1=0)]]]이다. * [[지시함수]]의 이름자로 쓰인다. 다만 '수로서의 1'과 구별하기 위해 [[볼드체]]로 쓴다([math(\bold{1}_{\mathbb Q})]). * 2번째 [[대칭수]]이며, 이전 대칭수는 [[0]]이며, 다음 대칭수는 [[2]]이다.[* 0을 포함한 한 자리 수는 모두 대칭수이다.] * 두 번째 [[뮌하우젠 수]]이다. * [[완전순열]]의 두 번째 항이다. * 1의 각 자리의 합계는 1인데, 1은 1의 [[제곱근]]이다. 이런 특징의 수는 [[0]], 1, [[81]]밖에 없다. * [[확률론]]에서, 1은 [[확률]]의 [[최댓값]]이다. 확률이 1인 [[사건(확률론)|사건]]은 반드시 일어난다. 또한 [[확률밀도함수]] [math(f(x))]에 대하여 항상 [math(\displaystyle \int_{-\infty}^{\infty}f(x)\;{\rm d}x=1)]이다. * [[통계학]]에서, 1은 [[결정계수]]의 [[최댓값]]이다. 결정계수가 1인 회귀모형은 [math(\rm RSS)]가 존재하지 않아 종속변수가 완전히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된다. * 1은 0과 함께 [math({}_n{\rm H}_r={}_n{\rm C}_r)]이도록 하는 [math(r)]의 값이다. * [[36]]과 함께 [[삼각수]]이자 [[제곱수]]인 수이다. * 유일하게 [math(n)]의 값에 관계없이 [math(n)]각수, [math(n)]제곱수가 될 수 있다. * 헤그너 수이다. * [[등비수열]] 자체는 수렴하지만 이 수열의 무한합인 등비급수는 수렴하지 않도록 하는 공비는 1뿐이다.[* 예를 들어 [math(\{1,\,1,\,1,\,1\cdots\})]이라는 수열은 1이라는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지만 무한합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 [[소비자이론]]에서, 모든 재화의 [[소득탄력성]]의 가중평균은 1이다 == 언어별 특징 == * 현대 [[한국어]]에서 [[숫자]] 1의 발음은 그냥 '일'과 다르다. '1일'을 발음해보면 [ʔiɾil\]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냥 [iɾil\]로 발음 하는 사람도 있다.] 한자 [[一]]의 초성이 ㆆ/ʔ/이었던 흔적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성문음#파열]] 문서 참고. * 10 이상 숫자에서 첫째 자리에 1이 올 때 언어에 따라 읽는 숫자와 안읽는 숫자가 다르다. * 한국어에서는 십, 백, 천, 만까지는 읽지 않고, 억, 조, 경, 해는 읽는다. 다만 붙이지 않고 읽는 사람도 적잖게 있다. * 영어에서는 hundred, thousand, million 등에 one 을 붙이며 ten에는 붙이지 않는다. * 일본어에선 10,000은 一万(いちまん)으로 읽지만, 1,000, 100, 10은 千(せん), 百(ひゃく), 十(じゅう)로 읽는다. * 중국어에서는 모든 첫째 자리 1에 一을 읽는다. 一万(yīwàn),一千(yīqiān), 一百(yībǎi), 一十(yīshí) * 러시아어에서는 100은 сто인데 200에서 900까지 100단위 숫자 단어가 다 다른 단어라 따로 1에 해당하는 один를 붙이지 않는다. 1,000~990,000까지는 тысяча를 쓰는데 1000단위 숫자 단어는 모두 같은 단어를 쓰기 때문에, один(1)의 변형인 одна를 붙이기도 하고 빼기도 한다. 1,000,000은 миллион인데 1을 붙여 쓴다. == 과학 == * [[수소]]([math(\mathrm H)])의 [[원자번호]]이자 [[원자량]]을 반올림한 값이다. * [[세레스(왜행성)|세레스]]의 소행성 MPC 지정 번호. == 날짜 == * [[제1천년기]] * [[1세기]] * [[1년]], [[기원전 1년]] * [[1월]] * [[1월 1일]] == 교통 == === 시내버스 === 번호 앞에 글자가 붙은 것(예: 달성1, 001), 번호 사이 -가 있는 것(예: 1-1) 등은 제외한다. * [[경기도 시내버스]]의 1번 버스 * [[과천 버스 1]] * [[광명 버스 1]] * [[경기광주 버스 1]] * [[군포 버스 1]] * [[김포 버스 1]] * [[김포 마을버스 1]] * [[남양주 버스 1]] * [[동두천 버스 1]] * [[수원 버스 1]] * [[안성 버스 1]] * [[수원 마을버스 1]] * [[안양 버스 1]] * [[양평 버스 1]] * [[용인 버스 1]] * [[의정부 버스 1]] * [[포천 버스 1]] * [[화성 버스 1]] * [[하남 버스 1]] * [[강원도 시내버스]]의 1번 버스 * [[속초 버스 1]] * [[양양 버스 1]] * [[영월군 농어촌버스|영월 버스 1]] * [[철원 버스 1, 1-1, 2, 2-1|철원 버스 1]] * [[춘천 버스 1]] * [[화천 버스 1]] * [[충청남도 시내버스]]의 1번 버스 * 당진 버스 1 * [[아산 버스 1]] * [[천안 버스 1]] * [[경상북도 시내버스]]의 1번 버스 * 문경 버스 1 * [[영주 버스 1]] * [[영천 버스 1]] * [[울릉 버스 1]] * [[청도 버스 1]] * [[경상남도 시내버스]]의 1번 버스 * [[김해 버스 1]] * [[밀양 버스 1]] * --[[부산 버스 1|]]-- * [[양산 버스 도시형 1]] * [[창원 버스 1]] * [[진주 버스 001]] * [[전라북도 시내버스]]의 1번 버스 * [[군산 버스 1]] * [[남원 버스 1]] * [[익산 버스 1]] * [[전라남도 시내버스]]의 1번 버스 * [[목포 버스 1]] * [[순천 버스 1]] * [[대전 버스 1]][* LED와 스티킹, 그리고 실생활에서는 급행 1번으로 불리지만, 노선도와 공식 DB에서는 공식적으로 1번으로 표시되므로, 여기에 기재한다.] * [[서울 버스 01]] * [[인천 버스 1]] * [[베이징 버스 1]] * [[오사카 버스 1]] === 철도 ===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서울 지하철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개정 전 [[시청역(서울)|시청역]]의 역 번호(2호선)[* 현재는 [[201]]번이다.] * 개정 전 [[주엽역]]의 역 번호[* 현재는 [[310]]번이다.] * [[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의 역 번호: [[부산김해경전철]] * 서울발 부산행 [[KTX]] 제 1열차 이하는 미개통 노선이다. * [[동탄 도시철도|동탄 도시철도 1호선]] * [[성남 도시철도 1호선]] * [[수원 도시철도 1호선]] * [[울산광역시 경전철|울산 도시철도 1호선]] * [[창원 도시철도 1호선]] 해외 * [[베이징 지하철 1호선]] * [[상하이 지하철 1호선]] * [[광저우 지하철 1호선]] * [[광포 지하철 1호선]] * [[톈진 지하철 1호선]] * [[난징 지하철 1호선]] * [[충칭 지하철 1호선]] * [[선양 지하철 1호선]] * [[하얼빈 지하철 1호선]] * [[아사쿠사선|도쿄도 교통국 1호선]] * [[미도스지선|오사카메트로 1호선]] * [[히가시야마선|나고야 시영 지하철 1호선]] * [[치바 도시 모노레일 1호선]] *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타이베이 첩운 1호선]] * [[뉴욕 지하철 1호선]] * [[파리 지하철 1호선]] * [[파리 트램 1호선]] * [[마드리드 지하철 1호선]] * [[소콜니체스카야선|모스크바 1호선]] * [[칠런저르선|타슈겐트 지하철 1호선]] === 도로 === * [[1번 국도]] * [[경부고속도로]] * [[미국 1번 국도]]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 [[일본 1번 국도]] * [[1번 야마구치현도·히로시마현도]] * [[캘리포니아 1번 주도]] * [[수도고속도로 우에노선]] * [[수도고속도로 하네다선]] * [[수도고속도로 요코하네선]] * [[수도고속도로 가와구치선]] * [[한신고속도로 환상선]] * [[히로시마고속도로 1호선]] == 문화재 == *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1호: [[덕온공주]] [[당의]] * 대한민국의 국보 제1호[*A 2022년 1월 1일부터 아니다.]: [[서울특별시|서울]] [[숭례문]] *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1호: [[서울특별시|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 대한민국의 명승 제1호: [[강릉시|명주]] [[청학동]] 소금강 *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서울특별시|서울]] [[흥인지문]] *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경주시]] [[포석정]]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호[*A]: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스포츠 == [[축구]]에서는 골키퍼의 번호이며, 특히 FIFA 공인 국제경기에서 1번은 무조건 [[골키퍼]]다.[* 1978년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의 수비수 [[다니엘 파사레야]]가 1번을 달고 나오자, 관객들의 혼란을 야기했다는 이유로 FIFA에서 1번은 골키퍼가 달아야 한다는 규정을 신설했다. 달 수 있는 가장 큰 숫자가 99, 등번호로 0, 0n을 달 수 없는 것과 더불어 축구에서 몇 안 되는 등번호 규정이다.] 프로경기에선 골키퍼가 반드시 1번이어야 한다는 법은 없지만, 팀을 대표하는 골키퍼는 대부분 1번을 다는 만큼 A매치가 아니어도 골키퍼가 아닌 포지션의 선수가 1번을 다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조기축구 같은 아마추어 경기는 등번호 규정이 크지 않기 때문에 필더들이 1번을 다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승점제의 리그전 경기가 무승부로 끝났을 때는 양팀에게 승점 1점씩 주어진다. 하지만 리그에선 [[라리가|스페인]]처럼 등번호 규칙이 엄격한 리그가 아니고서는 등번호를 자유롭게 달 수가 있는데 필드 플레이어가 1번을 단 경우로는 [[에드가 다비즈]]와 [[조나단 데 구즈만]], 그리스 [[AEK 아테네]] 소속이던 판텔리스 카페스가 있다. [[https://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3072822302976§ion_code=20&key=&field=|다비즈 기사]], [[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455|데 구즈만 기사]], [[https://alchetron.com/Pantelis-Kafes|카페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우 2002 한일 월드컵에서 4강 신화를 만들어낸 골키퍼 [[이운재]]가 2010 남아공 월드컵까지 사용했던 번호이다. 이운재와 경쟁 구도를 만들었던 [[김병지]]도 이전에 1번을 단 적이 있으며, 이운재의 은퇴 이후에는 [[정성룡]]이 1번의 주인이 되었다. 그리고 정성룡이 2016년을 끝으로 대표팀을 떠난 뒤에는 [[김승규]]가 현재까지 대표팀 1번을 지키고 있다. 또, 1번이 골키퍼들의 번호인 만큼 1로 끝나는 두 자릿수 번호(21, 31, 41 등)도 골키퍼가 많이 단다.[* 역시 1로 끝나지만 주로 윙어의 번호인 11번도 골키퍼가 다는 경우가 있다. [[울버햄튼 원더러스]] 소속의 [[후이 파트리시우]]가 현재 골키퍼로서 11번을 달고 있는데 사유는 그가 울버햄튼으로 이적 후 1번을 달려 했는데 1번의 주인인 [[원 클럽 맨]]이던 [[칼 이케메]]가 급성 백혈병을 투병하고 완치는 되었으나 선수 생활이 어려워져 은퇴를 선언하게 되자 그를 기리기 위해 1번을 비워두고 1이 두 개가 있는 11번을 달게 된 것이다.] 하지만 주전 [[골키퍼]]라도 무조건 끝자리가 1번인 번호를 달지는 않는데 프랑스의 골키퍼 [[파비앵 바르테즈]]는 국가대표팀에서 16번을 달았고[* 이쪽은 프랑스 [[리그앙]]에 골키퍼가 1, 16, 30번을 달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는 영향을 받았다고 보면 된다. 비슷한 예로 첼시의 주전 골키퍼 [[에두아르 멘디]]는 과거 프랑스 프로팀에서 뛴 적이 있어 16번을 사용한다.] [[조현우]]는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러시아 월드컵]]에서 23번을 달았다. 다만 국가대항전은 규정상 1번에서 23번까지의 숫자만 달 수 있기에 끝자리가 1인 숫자는 1, 11, 21 셋 밖에 없기도 하다. 11은 그나마도 상술한대로 윙어가 많이 달아서 골키퍼는 거의 달지 않는다. 이 영향 때문인지 골키퍼가 있는 [[핸드볼]], [[아이스하키]], [[수구]] 등등의 골키퍼가 있는 구기종목은 주전 골키퍼가 1번을 다는 모습이 많이 나온다.[* 아이스하키 대한민국 대표팀의 귀화선수 [[한라성|맷 달튼]]은 정규시즌 HL 안양에서는 86번을 달지만 국가대표팀에서는 1번을 단다. 같은 소속팀의 공격수인 [[김기성(아이스하키)|김기성]]은 정규시즌에는 1번이지만 국가대표 차출 시에는 11번을 단다. 아이스하키에도 이 예시처럼 골리만 1번을 써 야하는 규정은 없지만 그래도 웬만해서는 골리들이 1번을 달기는 한다. 오히려 김기성이 특이 케이스이긴 하지만 그나마도 암묵의 룰인지라 1번은 국가대표에서는 달지 않는다.] 특히 수구의 골키퍼는 1번 혹은 13번만 달 수 있는 규정도 있다. [[야구]]에서는 투수의 포지션 넘버가 1이다. 다만 지명타자가 있는 한국 프로야구에서는 배팅오더가 적혀있는 전광판에서 1을 보기 힘들다.[* 다만 지명타자가 없는 NPB 센트럴리그는 디지털식 전광판을 쓰는 경우는 다른 포지션들도 숫자가 아닌 영문약자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졌다.] 지명타자의 영어 표현인 D가 대부분이다. 간혹 지명타자가 수비를 들어가게 되어 포지션이 소멸되는 경우 투수가 타석에 들어서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1이 표시된다. 프로 레벨에선 별 관계없지만 아마추어 레벨에서는 1번 혹은 1을 두 개 합친 [[11]]번이 에이스의 번호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최동원]]은 경남고등학교 재학 시절부터 11번을 배번으로 달고 뛰었다.] 2023시즌 프로야구 각 팀 등번호 1번은 다음과 같다. 투수는 '''굵은 글씨''' * SSG 랜더스: '''[[정성곤]]''' * 키움 히어로즈: [[김태진(1995)|김태진]] * LG 트윈스: '''[[임찬규]]''' * kt wiz: '''[[고영표]]''' * KIA 타이거즈: [[박찬호(1995)|박찬호]] * NC 다이노스: [[안중열]] * 삼성 라이온즈: '''[[이재익(야구선수)|이재익]]''' * 롯데 자이언츠: [[황성빈]] * 두산 베어스: '''[[박치국]]''' * 한화 이글스: '''[[문동주]]'''[* [[류중일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대표팀]], [[류중일호/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2023 APBC 대표팀]]에서도 1번을 달았다.] [[장성호]], [[전준호(1969)|전준호]], [[류중일]] 등의 교타자 선수들도 1번을 달았다. 그리고 [[왕정치]]의 1번도 영구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농구]]에서는 포인트 가드의 포지션을 1번으로 칭하고, [[자유투]]의 득점이 1점이다. [[3X3 농구]]는 기존 5대5의 2점 라인의 필드골과 자유투가 1점으로 동일하다. [[포뮬러 1]] 등의 [[모터스포츠]]에서는 시리즈 챔피언을 거둔 선수에게 이 번호의 선택권이 주어진다. 그러나 [[루이스 해밀턴]] 등 일부 사례를 보면 꼭 1번을 달고 출전할 필요는 없는 모양이다. [[NASCAR]] 컵 시리즈의 경우 다른 모터스포츠와 달리 일반적인 번호처럼 특정 팀의 소유이므로 챔피언이라고 해서 1번을 달 수 없다. 현재는 트랙하우스 레이싱에서 소유하고 있으며, [[로스 채스테인]]이 사용하고 있다. * WKBL에서의 1번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우리WON]]: [[박지현(2000)|박지현]] * [[부천 하나원큐|하나원큐]]: [[신지현]] * [[청주 KB 스타즈|KB 스타즈]]: [[염윤아]] * [[부산 BNK 썸|BNK 썸]]: [[이민지(농구선수)|이민지]]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신한은행]]: [[변소정(농구)|변소정]]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 [[이주연(농구선수)|이주연]] [[골프]]에서는 홀의 규정타수(파)보다 1타수 많이 쳐서 홀인하면 [[보기(골프)|보기]]로 +1점을 얻고, 1타수 적게 치면 [[버디(골프)|버디]]로 -1점을 얻는다. == 음악 == === [[비틀즈]]의 [[컴필레이션 앨범]] === [[1(음반)]] 문서 참조. === [[VOCALOID 오리지널 곡]] === [[1(VOCALOID 오리지널 곡)]] 문서 참조. == 군사 == * [[대한민국 육군]] * ~~[[제1야전군사령부]]~~ * [[제1군단]] * ~~[[제1군관구사령부]]~~ * [[제1군수지원사령부]] * [[제1보병사단]] * [[제1포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1산악여단]] *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방공여단]] * [[제1전투항공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 [[제1공수특전여단]] * [[제1경비단]] * [[제1포병단]] * [[제1정보통신단]] * [[대한민국 해군]] * [[제1함대(대한민국 해군)|제1함대사령부]] * [[대한민국 해병대]] * [[해병대 제1사단]] * [[대한민국 공군]] * [[제1전투비행단]] * [[제1미사일방어여단]] * [[K-1 전차]] * [[K1 기관단총]] == 기타 == === [[금칙어]] 회피를 위한 사용 === 일부 인터넷 사이트의 게시판이나 파일 공유 사이트에서 금칙어에 의한 필터링을 회피하기 위해, [[접요사|문제가 되는 단어 사이에 주로 문자 1을 삽입한다.]] 예를 들자면 [[새끼(비속어)|새1끼]], [[씨발|ㅆ1발]] 등이 있다. '1' 이외에도 '2'이나 다른 숫자, 문장부호[[힙플밈|(@ 등)]]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ㅅ1발 좃2같은 개3새4끼' 란 라임이 맞춰지기도 한다.] 이러한 사용은 특히 금칙어 시스템이 작동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인터넷 사이트에서 종종 발견할 수 있다. 굳이 필터링이 없다 하더라도 직접적으로 욕을 쓰지 않는 느낌을 주기 위하여 삽입하기도 한다. 이를 역으로 이용하여 평범한 명칭에다 1을 중간에 삽입해 욕처럼 보이게 쓰는 경우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는 [[김근육 시리즈]], [[새우새우]]가 있으며 이 외에도 주로 온라인 게임 등지에서 성능이 [[밸런스 붕괴]] 급으로 좋은 영웅이나 캐릭터에 쓴다.[* 예를 들자면 과거 [[오버워치]]에서 [[그 영웅]], [[적폐]]라고도 불렸던 [[둠피스트]]를 둠1피스트라고 쓰는 식이다.] 일반적으로 2글자 이상인 단어일 때 [[장음 표기|첫 글자 바로 뒤에 적는다.]] === [[포켓몬스터]] 1번 === [[이상해씨]]의 전국도감 번호. 이후 전통적으로 각 지방 첫 도감의 첫 자리는 풀타입 스타팅 포켓몬의 기본형태가 맡고 있다.[* 다만 하나도감은 [[비크티니]]가 유일하게 No.000을 맡고 있어서 예외가 된다.] || [[전국도감]] & [[관동도감]] || [[이상해씨]] || || [[성도도감]] || [[치코리타]] || || [[호연도감]] || [[나무지기]] || || [[신오도감]] || [[모부기]] || || [[하나도감]] || [[주리비얀]] || || [[칼로스도감]][br](센트럴 칼로스 기준) || [[도치마론]] || || [[알로라도감]] || [[나몰빼미]] || || [[가라르도감]] || [[흥나숭]] || || [[팔데아도감]] || [[나오하]] || * [[1번도로]]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1세대]] === 후속작과 원작을 구분하기 위한 사용 === 특정 소설, 게임, 영화 등이 후속작이 나온 경우, 후속작과 원작을 구분하기 위해 흔히 1을 제목 뒤에 붙여서 쓰는 경향이 있다. 처음부터 시리즈를 염두에 두고 만들었을 경우 제작자 측에서 1을 붙이기도 하지만, 상당수 작품은 처음에는 후속작을 생각하지 않고 만들었다가 인기가 많아지면 후속작을 만들기에 이 경우는 좀 더 적고, 대개는 사용자들이 편의상 그렇게 붙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표기는 비공식적이기 때문에 꺼리는 사람들도 있다.[* 이처럼 아무것도 붙지 않은 초기작을 '표시가 없다'라고 해서 일본에서는 無印(무지루시)라고 한다. 한국에서도 이를 받아들여 [[무인(인터넷 용어)|무인]]이라고 하기도 한다. 혹은 '[[초대]]작'이라고도 부른다.] 일례로 [[스타크래프트]]의 경우 [[스타크래프트 2]]와 구분하기 위해서 과거의 작품을 '스타크래프트 1'이라고 부르는 경우는 후자의 예이다. 그 외에 조금 특이한 경우로 [[리플렉 비트 시리즈]]의 경우 제목 자체에는 숫자가 붙지 않지만, 이후 후속작이 나오며 형성된 시리즈의 명칭과 구분하기 위해 'REFLEC BEAT 1'이라는 표현이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또 [[배틀필드 시리즈]]의 경우 [[배틀필드 1]]은 [[배틀필드 4]]가 나온 이후에 출시되었으며 시리즈의 첫 작은 [[배틀필드 1942]]이다. 1을 붙이지 않은 것도 [[후속작]]과 함께 [[합본]]을 낼 때는 아무것도 안 쓸 수는 없으니 1을 쓰곤 한다. [[역전재판]]은 단독으로 '역전재판 1'이라고 하진 않지만 [[역전재판 2]], [[역전재판 3]]와의 합본은 [[역전재판 123]]이라고 하고, [[피크민]] 역시 첫작에는 아무 표기가 없지만 [[피크민 2]]와의 합본은 [[피크민 1+2]]라고 한다. === 그 외 === * [[ㄱ]]은 [[한글 자모]]의 첫 번째 글자이다. * [[A]]는 [[영어 알파벳]]의 첫 번째 글자이다. * [[1900년]]~[[1999년]]에 태어난 남자의 [[주민등록번호]]의 일곱번째 자리 숫자이다.[* 즉, ○○○○○○ - 1○○○○○○ 꼴.] * [[논리 연산]]에서는 1 ∨ 1 = 1 ∧ 1 =1 로 정의한다. * [[Xbox One]]. 이름 그대로 Xbox 뒤에 있는 단어가 One, 즉 1이다 * [[메이플스토리2]]의 직업인 [[나이트(메이플스토리2)|나이트]]가 '기사의 의지' 스킬을 사용하려고 파티원 전체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릴 때 주로 채팅으로 '1'이라고 한다. * [[미합중국 육군|미국 육군]] 소속 특수부대인 [[델타 포스]]의 정식 명칭은 '제1특전단 델타 작전분견대' 이며, [[프랑스군|프랑스 육군]]의 특수부대는 '[[제1해양보병낙하산연대]]'이다. * 한국에서는 맨 앞자리가 1인 번호를 할당하지 않는다. 그래서 미국 매체물의 [[555]] 국번처럼 쓸 수 있다. * 보통 '일'로 많이 읽지만 전화번호와 같이 여러 숫자를 같이 읽어야 할 때는 2(이)와 발음이 비슷해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하나'로 읽기도 한다. 그래서 군대, 특히 포병에서는 '하나, 둘, 삼, 넷, 오, 여섯, 칠, 팔, 아홉, 공'이라고 읽는다.[* 방열방위각 등 단위가 큰 수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예를 들면 3200은 삼둘백이라고 읽는다.] * [[수학 귀신]]에서는 1을 발명한 사람이 수학의 나라에서의 1인자라는 언급이 되어있다.[* 두 번째로 높은 사람은 0의 발명자인데, 여기에서는 중국인이 0을 발명했다고 되어 있다. 허나 이것은 오류이며 실제로는 [[브라마굽타]]라는 인도의 수학자가 발명하였다고 한다.] * [[양자역학]] 등 물리학에서는 주요 상수들의 값을 1로 놓는 [[자연 단위계]]를 도입하는 경우가 많다. * [[전자공학]]이나 [[컴퓨터공학]] 계열에서는 ON의 상징으로 쓰인다. 디지털 회로에서 1이란 '전압이 들어온 상태'를 가리키기 때문이다. ON 스위치와 OFF 스위치가 따로 떨어져 있는 기계에서는 1이 쓰여있는 버튼이 ON 버튼이며, 컴퓨터 등의 전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그라미 가운데 세로로 꽂힌 직선 기호는 ON(1)과 OFF(0) 모두 가능한 스위치라는 뜻이다. * [[아이오아이]] 멤버 [[김소혜]]가 [[프로듀스 101]] 시절에 달았던 번호이다. * [[미국]]과 [[캐나다]]의 국가 번호는 1이다. * 2020년 2월 20일 [[삼성 갤럭시]] 디바이스 찾기 팝업창 푸시 알림 오발송 사고가 났다. 전 세계 삼성 갤럭시 사용자에게 발송되었다. 기기 문제나 해킹이 아닌 단순 실수이다. 내용은 제목 그대로 숫자 1밖에 없다. * 1은 어떤 진법에서도 1으로 표현된다. 이는 0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지만, 2진법이 아니라 1진법으로 가게 되면 0조차도 쓰지 않게 된다.[* 1을 쓰지 않고 0을 반복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 [[1번(에니어그램)]] * [[태국어]]와 [[라오어]]에서는 두 자리 이상의 숫자에서 1이 뒤에 오면 그 1은 '엣'으로 발음된다.[* 예: 11 - 씹엣] * [[일본어]]의 동사의 분류 중 하나인 1단동사(단이 바뀌지 않고 '''하나'''로 유지되며 활용되는 동사). * [[수학세계에서 살아남기]]에서는 인간이 만든 수로 나온다. * [[더 로드: 1의 비극]] * [[1을 줄게]] * [[유머 1번지]] * 문자를 쓸 때 일부 폰트의 경우 다른 숫자에 비해 가로 길이가 짧은 경우가 많다. * 대한민국의 1번째 대통령은 [[이승만]]이다. * [[USS 엔터프라이즈#s-2.2|NX급 엔터프라이즈]]의 함번 NX-01 * [[1번남]], 1번녀 * [[리듬 게임]] 유저들이 싫어하는 숫자이기도 하다. 예컨대 [[풀콤보]]를 노렸는데 미스 1개가 난다던지, [[만점 플레이]]를 노렸는데 하위 판정이 1개가 난다던지 하는 상황 때문. * [[오징어 게임]] - [[오일남]]의 참가 번호이다. * [[토마스와 친구들]]에서 주인공 열차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토마스]]의 차량번호가 1이다. * [[역설법]]을 이용한 표현 [[0고백 1차임]]이 있다. * 대한민국을 포함한 미국식의 TV채널의 경우 1번 채널이 존재하지는 않았다. VHF 채널이 대부분 2번부터 시작했다, 대신 1번 채널은 유선에서만 존재하며, 신기하게도 미세조정 기능이 있는 TV일 경우 왼쪽으로 50번 돌리면 4번 채널의 음성이 나왔지만, 오른쪽으로 50번 돌리면 5번 채널(지역에 따라 채널이 다름)의 영상이 나오곤 했다. 현재 8VSB 기준으로 1번 채널이 존재한다. * [[시력검사]]표에는 숫자 1이 존재하지 않는다. [* 한천석 시력검사표에는 4, 7이 존재하지만, 해성시력표에는 4가 없고 8, 9가 존재한다.] ==== 매체에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j4RrIgBHIJc)]}}} || || '''1월 1일에 올라온 [[1분만]]이 올린 1에 관한 1분자리 영상'''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 version=96)] [[분류: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