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드래곤볼 등장인물의 별명, rd1=피콜로(드래곤볼))] [include(틀:일본의 주화)] 十円硬貨 (じゅうえんこうか) 十円玉 (じゅうえんだま) [목차] == 개요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JPY.jpg|width=100%]] || || 1951년(쇼와 26년) ~ 1958년(쇼와 33년) || 1959년(쇼와 34년) ~ || || 테두리: [[톱니]] || 테두리: 민무늬 || ||<-2> 앞면: 뵤도인 봉황당 / 뒷면: [[월계수]] 잎 || ||<-2> 지름: 23.5mm, 무게: 4.5g[* 톱니 10엔이 살짝 얇고 가벼운 편이다. 그래서 자판기에서 톱니 10엔을 인식 못하는 경우도 가끔 있다.], 두께: 1.5mm || [[일본 조폐국]]에서 [[1951년]]([[쇼와 시대|쇼와]] 26년)부터 발행중인 일본의 화폐이다.[* 생산은 1951년부터 시작했지만 유통은 1952년(쇼와 27년)부터 시작되었다.] [[청동]] 주화지만 구리가 95%이기 때문에 거의 순동에 가깝다. 나머지는 [[아연]] 3~4%, [[주석(원소)|주석]] 1~2%로 구성되어 있다. == 역사 == 과거에 10엔 금화가 있었으나 당시에는 엄청난 거금이다보니 널리 쓰이진 않았다. 미국의 점령 이후에 10엔 주화의 도입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것은 1949년으로 원래는 [[양은|니켈황동]] 주화로 발행할 계획이었다. 이전까지는 발행한 적이 없었던 새로운 재질을 도입하고자 했던 일본 정부의 실험정신을 엿볼 수 있었다. [[파일:10엔 시주화.jpg]] 실제로 1950~1951년 사이에 시주화[* 시중에 풀기 전에 테스트 목적으로 만드는 동전이다.]를 발행하였다. 해당 주화는 지금의 10엔 주화보다 지름이 작았으며, [[5엔 주화|5엔]], [[50엔 주화|50엔]] 주화처럼 구멍이 뚫려있었다. 테두리는 민무늬였다. 글씨체는 당시의 5엔과 동일한 해서체였으며, 마찬가지로 [[나라 국]]자를 구자체(國)로 새겼다.[* 만약 니켈황동 그대로 발행되었더라면 도중에 [[5엔 주화]]처럼 신자체로 바뀌어 발행했을 가능성이 높다.] 해당계획은 [[한반도|이웃동네]]에서 [[6.25 전쟁|일어난 전쟁]]으로 [[니켈]]값이 폭등하면서 무산되었다.[* [[캐나다]]에서도 한국전쟁의 영향을 받아 순니켈로 발행하던 5센트를 4년간(1951~1954) [[크로뮴|크롬]] 도금 강철 재질로 변경한 적이 있었다.] 결국 니켈 대신 다른 재료를 찾다가 지금의 [[청동]] 주화로 발행하기에 이르렀다. 1951년(쇼와 26년)부터 찍어내기 시작해서 1952년부터 시중에 풀어 지금의 10엔 주화가 탄생한 것이다. 이 10엔을 기점으로 모든 일본 주화의 글씨체가 고딕체로 나오며, [[신자체]]를 적용하여 일본국을 日本国으로 표기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초창기의 10엔은 지금과는 다르게 톱니가 있었다. 1958년(쇼와 33년)까지 톱니를 새겨 발행하였으며, 1959년(쇼와 34년)부터 톱니 없이 발행중이다. 톱니가 있는 10엔을 일본에서는 기자쥬(ギザ十)라고 부른다.[* (톱니가 있어서)꺼끌꺼끌한 10엔이라는 의미이다.] 톱니를 중간에 없앤 이유는 물가상승으로 재료비가 부담된 것, 글고 당시의 [[50엔 주화|50엔]], [[100엔 주화|100엔]] 동전과 헷길려해서 구분이 힘들었다는 점이 작용하였다. 붉은색이라 50엔, 100엔과는 육안으로 구분하기 쉬웠지만 눈으로 보지 않고 주머니속에서 촉감으로만 골라내기는 힘들었다. 특히, 촉감에 전적으로 의존해야했던 [[시각장애인]]을 배려하기 위해 10엔의 톱니를 없앤 것이다.[* 당시의 50엔, 100엔 동전은 크기도 비슷한 주제에 톱니까지 새겨져 있어서 혼동하기가 쉬웠다. 50엔과 100엔 사이의 구분도 힘들어서 50엔에 구멍을 뚫게 되었고, 그것이 지금까지 이어진 것이다.] 워낙 활발하게 쓰이는 단위의 통화다보니 1960년 이래로 1억 장 미만으로 발행한 적이 1986년[* 전년인 1985년, [[플라자 합의]]로 일본 경제가 잠시 주춤해서 일시적으로 발행량이 적었다.] 딱 한 번 있었으며[* 1989년을 쇼와 64년과 헤이세이 원년으로 나눈다면 1989년도 포함된다.], 경제 성장이 한창이던 1970년대에는 무려 연간 '''10억 장'''이나 찍어냈었다. 덕분에 광이 살아있는 1970~80년대 10엔 동전도 어렵지 않게 시중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역으로 [[리즈시절]]에 많이 발행했다보니 지금은 발행량이 줄어 1억 장 언저리로 발행하고 있다. == 쓰임새 == 현금을 다른 나라에 비해 활발히 사용하는 일본에서 엔화 동전 중에서도 [[100엔 주화|100엔 동전]]과 더불어 슈퍼마켓, 편의점 같은 곳에서의 소비 생활에 주력으로 사용 중이며, 언제든지 흔히 볼 수 있다. 자판기에 쓰이는 동전 중에서 최하 단위로 쓰이며, [[500엔 주화|500엔]] 동전이 시중에 은근 보기 힘들듯이 [[50엔 주화|50엔]] 또한 유통량이 생각보다 적어서 50엔 동전으로 거스름돈을 받아야 할 때 10엔짜리 동전을 거슬러주는 자판기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일본 엔]] 문서에도 서술되어있겠지만 이 권종은 자판기 뿐만 아니라, 철도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이다. 더불어서 [[10원]] 구 동전처럼 구리 성분이 워낙 많다보니 [[신발]] [[깔창]]에 까는 경우가 있다. == 10엔 주화 발행량 == || 연호 || 서력 || 10円(엔) || || 昭和25年 || 1950 || 미발행 || || 26年 || 1951 || 101,068,000 || || 27年 || 1952 || 486,632,000 || || 28年 || 1953 || 466,300,000 || || 29年 || 1954 || 520,900,000 || || 30年 || 1955 || 123,100,000 || || 31年 || 1956 || 미발행 || || 32年 || 1957 || 50,000,000 || || 33年 || 1958 || 25,000,000 || || 34年 || 1959 || 62,400,000 || || 35年 || 1960 || 225,900,000 || || 36年 || 1961 || 229,900,000 || || 37年 || 1962 || 284,200,000 || || 38年 || 1963 || 411,300,000 || || 39年 || 1964 || 479,200,000 || || 40年 || 1965 || 387,600,000 || || 41年 || 1966 || 395,900,000 || || 42年 || 1967 || 158,900,000 || || 43年 || 1968 || 363,600,000 || || 44年 || 1969 || 414,800,000 || || 45年 || 1970 || 382,700,000 || || 46年 || 1971 || 610,050,000 || || 47年 || 1972 || 634,950,000 || || 48年 || 1973 || 1,345,000,000 || || 49年 || 1974 || 1,780,000,000 || || 50年 || 1975 || 1,280,260,000 || || 51年 || 1976 || 1,369,740,000 || || 52年 || 1977 || 1,467,000,000 || || 53年 || 1978 || 1,435,000,000 || || 54年 || 1979 || 1,207,000,000 || || 55年 || 1980 || 1,127,000,000 || || 56年 || 1981 || 1,369,000,000 || || 57年 || 1982 || 890,000,000 || || 58年 || 1983 || 870,000,000 || || 59年 || 1984 || 533,850,000 || || 60年 || 1985 || 335,150,000 || || 61年 || 1986 || 68,960,000 || || 62年 || 1987 || 165,775,000 || || 63年 || 1988 || 618,112,000 || || 昭和64年 ||<|2> 1989 || 74,692,000 || || 平成元年 || 666,308,000 || || 2年 || 1990 || 754,953,000 || || 3年 || 1991 || 632,120,000 || || 4年 || 1992 || 538,130,000 || || 5年 || 1993 || 249,240,000 || || 6年 || 1994 || 190,767,000 || || 7年 || 1995 || 248,874,000 || || 8年 || 1996 || 546,213,000 || || 9年 || 1997 || 491,086,000 || || 10年 || 1998 || 410,612,000 || || 11年 || 1999 || 359,120,000 || || 12年 || 2000 || 315,026,000 || || 13年 || 2001 || 542,024,000 || || 14年 || 2002 || 455,667,000 || || 15年 || 2003 || 551,406,000 || || 16年 || 2004 || 592,903,000 || || 17年 || 2005 || 504,029,000 || || 18年 || 2006 || 440,594,000 || || 19年 || 2007 || 388,904,000 || || 20年 || 2008 || 362,811,000 || || 21年 || 2009 || 338,003,000 || || 22年 || 2010 || 328,905,000 || || 23年 || 2011 || 255,936,000 || || 24年 || 2012 || 279,211,000 || || 25年 || 2013 || 100,892,000 || || 26年 || 2014 || 171,013,000 || || 27年 || 2015 || 203,004,000 || || 28年 || 2016 || 198,064,000 || || 29年 || 2017 || 124,927,000 || || 30年 || 2018 || 178,960,000 || || 平成31年 ||<|2> 2019 || 197,594,000 || || 令和元年 || 137,026,000 || || 2年 || 2020 || 276,428,000 || || 3年 || 2021 || 139,133,000 || || 4年 || 2022 || 129,874,000 || || 5年 || 2023 || || 최고 발행액: 1977년(쇼와 52년)14억 6700만개 최저 발행액: 1986년(쇼와 61년)6896만개 == 여담 == * 만화 [[드래곤볼]]의 등장인물인 [[피콜로(드래곤볼)|피콜로]]가 내는 기합소리가 10엔의 현지발음인 '쥬엔'과 [[몬더그린|비슷해서]] 별명이 10엔이기도 하다. 그래서 한동안 10엔 문서를 들어가면 피콜로로 리다이렉트 되었었다. * [[화폐 수집]]으로 일본 동전을 연도별로 모을 때 그나마 진입장벽이 낮은 단위이다. 1, 5엔과는 달리 시중에서 널리 쓰이기 때문이다. 1, 5, 50엔처럼 [[민트세트]] 전용 연도가 있지도 않고 100, 500엔처럼 액면 부담이 크지도 않은 점도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백원화|백원 주화]]와 비슷한 포지션에 있는 셈. [[일본]]에서는 어렵지 않게 모을 수 있으며 옆나라 [[한국]]에서조차 연도별로 다 모은 수집가가 여럿 있다. 다만 10엔에 귀한 연도도 여럿 있고 톱니 10엔도 생각보다 잔존량이 적기 때문에 우습게 볼 수준은 아니다. [[분류:일본 엔]][[분류:1951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