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남도의 지방도)]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비토리와 [[산청군]] [[단성면(산청)|단성면]] 창촌리를 잇는 [[경상남도]]의 [[지방도]]. 전 구간이 왕복 2차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토도와 육지를 잇는 주요도로이다. 또한 [[하동군]]과 [[산청군]]을 잇는 주요도로이기도 하다. [[2020년]] [[10월 8일]]에 [[서포면]] 구간 일부가 변경되었다. [[https://www.gyeongnam.go.kr/index.gyeong?contentsSid=3651&fn=%EA%B2%BD%EC%83%81%EB%82%A8%EB%8F%84+%EA%B3%A0%EC%8B%9C+%EC%A0%9C2020-478%ED%98%B8.hwp|해당 고시]] [[https://www.gyeongnam.go.kr/index.gyeong?contentsSid=3651&fn=%EB%85%B8%EC%84%A0%EC%A1%B0%EC%A0%95%ED%98%84%ED%99%A9.pdf|노선도]] == 노선 == === [[사천시]] === * [[용궁로(사천)|용궁로]] 비토도([[서포면]] 비토리)에서 출발한다. [[남해]]안을 따라가는 절경의 도로로 [[드라이브]]하기 안성맞춤이다. * [[토끼로]] 비토마을이 나온다. 미개통. 완공되기 전에는 노선 변경 전의 구 1005번 지방도를 이용해야 한다. 구 경로 - 비토섬휴게소를 지나면 거북교가 나오며 또 곧바로 비토교를 건넌다. 둘 다 남해의 다리이므로 경치는 상당히 좋다. * [[다평로]] * [[서포로(사천)|서포로]] 역시 남해안을 따라간다. 서포면소재지가 나온다. 좌회전하자. 남해안이지만 면소재지 자체는 남해안과 멀어서 면소재지, 시장, 편의줌, 학교 등 흔히 면소재지에서 볼 수 있는 것들 밖에 없다. 특징이라면 중간에 [[1003번 지방도]]가 분기한다. 서포면 구평리에서 [[58번 지방도]]에 합류한다. 58번 지방도와 중첩되다가 곤양면 남문외리에서 분기되며 [[1002번 지방도]]와 중첩된다. [[남해고속도로]]와 교차하며 [[곤양IC]]를 통해 연결된다. * [[곤북로]] 곤양면 맥사리에서 [[1002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사천시와 하동군 사이에 고개가 있다. === [[하동군]] === * [[곤북로]] 북천면 직전리에서 [[경서대로]]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 [[경서대로]] 2번 국도와 중첩되다가 북천면 옥정리에서 분기된다. * [[옥단로]] 옥종면 월횡리에서 [[1014번 지방도]]와 만난다. === [[산청군]] === * [[옥단로]] 단성면 창촌리 창촌삼거리에서 [[20번 국도]]와 만나며 종료된다. [[분류:경상남도의 지방도]][[분류:1005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