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정수, n1=113, n2=114, n3=115)] [목차] '''114''' = [[2]]×[[3]]×[[19]] == 개요 == [[113]]보다 크고 [[115]]보다 작은 [[자연수]]. 합성수로, [[소인수분해]]하면 [[2]]×[[3]]×[[19]]이다. == 수학적 특징 == * [[약수(수학)|약수]]는 [[1]], [[2]], [[3]], [[6]], [[19]], [[38]], [[57]], 114로 총 8개이며, 진약수의 합은 [[126]]이므로 114는 [[과잉수]]다. * 27번째 [[과잉수]]로, 앞 과잉수는 [[112]], 다음 과잉수는 [[120]]이다. * [[39]]번째 [[하샤드 수]]로, 앞 수는 [[112]], 다음 수는 [[117]]이다. == 날짜 == * [[연도]]: [[114년]], [[기원전 114년]] * [[1월 14일]], [[11월 4일]] == 교통 == === 114번 버스 === * [[경기광주 버스 114]] * [[대전 버스 114]] * [[안동 버스 114]] * [[울산 버스 114]] * [[창원 버스 114]][* [[창원 버스 114(폐선)|1기 노선]]은 2012년 3월 9일 [[창원 버스 110|110번]]에 통합되어 폐선되었다가 2023년 6월 10일 노선 개편으로 11년 3개월 만에 2기 노선이 신설되었다.] === 철도 === * [[역번호]][*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114번 역이 없고, [[설화명곡역|115]]번부터 시작한다.] * [[도봉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계산역]](I114):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옥수역]](K114)[*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전엔 K128번이었으며, K128번은 [[팔당역]]으로 넘어갔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의정부시청역]](U114): [[의정부 경전철]] * [[동백역(용인)|동백역]](Y114): [[용인 에버라인|용인 경전철]] * [[화계역]](S114):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동래역(동해선)|동래역]](K114): [[동해선 광역전철]] * [[초량역]]: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월평역]]: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도로 === * [[일본 114번 국도]] === 항공 === * [[Tu-114]] == 문화재 == * [[대한민국의 국보]] 제114호: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 [[대한민국의 보물]] 제114호: 안동 평화동 삼층석탑 * [[대한민국의 사적]] 제114호: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114호: 목포 양동교회 ==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 [[KT]]의 계열사인 ktis[* 서울, 경기도, 강원도 지역을 담당한다.]와 ktcs[*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지역을 담당한다.]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1935년부터 시작된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로 [[전국연결번호]] 중 하나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쓰는 응급신고번호 911을 뒤집어 우리나라에서 119로 쓰는 것처럼, 114 역시 미국과 캐나다의 411을 뒤집어 만든 번호이다. 일반 유선전화에서는 그냥 114만 누르면 되지만 휴대전화에서는 02-114, 031-114, 032-114, 033-114, 041-114, 042-114, 043-114, 044-114, 051-114, 052-114, 053-114, 054-114, 055-114 061-114, 062-114, 063-114, 064-114 등으로 [[지역번호]]를 먼저 눌러야 한다. 전화번호 검색 대표 사이트로는 www.114.co.kr이 있으며, 휴대전화에서는 국번 없이 114를 입력할 경우 그 전화가 등록된 통신사의 고객센터로 연결된다. [[SK텔레콤]]을 이용하는 사람이 114를 누르면 SK텔레콤 고객센터로, [[KT]]를 이용하는 사람이 114를 누르면 KT 이동통신 고객센터로, [[LG U+]]를 이용하는 사람이 114를 누르면 LG U+ 모바일 고객센터로, 알뜰폰을 이용하는 사람이 114를 누르면 해당 알뜰폰 고객센터로 연결되는 식이다. === 앱 === [[전화번호부]]나 인터넷 검색이 불가능한 야외에서 특정 회사나 관공서 등의 전화번호를 알고 싶을 때 사용하거나 집에서 가까운 가게를 찾을 때 사용하기도 한다. 인터넷 혁명, 모바일 혁명 이후 사용량이 줄어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으로 스마트폰 앱 시장에 도전하고 있다. ktis가 운영하는 앱은 114.co.kr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발신번호정보앱 '[[whowho|후후]]-이 전화번호 누구지'를 무료로 출시했다.[[https://itunes.apple.com/kr/app/%ED%9B%84%ED%9B%84-%EC%8A%A4%ED%8C%B8-%EC%B0%A8%EB%8B%A8%EA%B3%BC-%ED%8E%B8%EB%A6%AC%ED%95%9C-%EC%A0%84%ED%99%94/id1033450260?mt=8|앱스토어]]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ktcs.whowho|구글플레이]] 전화가 걸려오는 즉시 해당 번호의 정보가 뜨니 모르는 번호에서 전화가 온 경우 사용해볼만하다. [[SK텔레콤]]에서 내놓은 '[[T전화]]'라는 앱도 있는데, SK텔레콤 휴대전화 중에서는 기본앱으로 깔려있는 경우도 많고, 여러 가지 후기와 입소문으로 다양한 사용자를 유치하게 되었는데, SK텔레콤의 거대한 정보망과 기본앱으로 깔려있기에 그냥 사용하는 사람들과 추가적인 사용자들로 인해 많은 사용자를 모을 수 있었고, 사용자가 참여해서 '괜찮아요'와 '싫어요'로 의견 등록이 가능하고, 추가로 업체정보 등록을 직접 요구할 수 있고, 반영도 어느 정도 빠르기에 웬만한 공공업소나 음식점, 고객센터들은 등록이 되어있다. 그리고 인터넷에 연결만 되어있으면 추가 앱 실행 없이 T전화가 114 기능을 수행한다. 자체적으로 T114로 홍보한다. === 요금 === [[https://product.kt.com/wDic/productDetail.do?ItemCode=1207|114 번호안내]] 이 번호로 전화를 하면 통화료는 부과되지 않지만, 별도의 이용료가 부과된다. 요금은 1개 전화번호 안내당 평상 시간(평일 09~18시)에는 187원, 할증 시간(평일 00~09시, 18~24시, 토요일 및 일요일 00~24시, 공휴일 00~24시)에는 209원이다. 부가서비스로 직접연결은 121원, 문자안내는 88원이 추가된다.[공휴일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의함.] 114 이용요금은 1996년까지는 무료였으나, 원가보전 차원 + 전화번호부 사용 독려 차원에서[* 당시까지만 해도 전화번호부가 건재했으나, 서서히 많은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더 편한 114 전화를 통해 전화번호를 찾아보기 시작했다.] 1997년 1월 1일에 유료화를 시행(1통 80원, 월 3통화 무료)하였으며, 2002년 5월 1일에 요금을 100원으로 올리면서 월 3통화 무료 혜택을 폐지하였고, 2003년 11월 1일에 평상 120원, 할증 140원으로 인상되었다. 2016년 12월 1일에 토요일도 일요일/공휴일과 같은 요금이 적용된다.[* ktcs의 2018년 사업보고서 및 2018년 4월 114번호안내서비스이용약관을 참조함.] === 인사말 === 예전에는 '''"안녕하십니까?"'''였지만 2006년 7월부터 인사말이 '''"[[사랑합니다 고객님]]"'''[* 제주도 지역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초기에는 시간대에 상관없이 아무 시간대에 전화를 해도 이 인사말을 들을 수 있었으나 늦은 시간대에 취객들이 114에 전화를 걸어 음란성 전화나 성희롱 발언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자 해당 인사말은 오전 8시부터 밤 10시까지만 적용되었다고 하며, 이외 시간대에는 기존 인사말인 "안녕하십니까?"가 그대로 사용됐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351545|#]]]으로 바뀌었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21/143145.html|힘내세요 운동]] 그 후 지속적으로 인사말을 변경하였다. 2009년 1월 '''"편리한 정보 114입니다."''', 2009년 7월 '''"안녕하십니까?"''', 2010년 7월 '''"반갑습니다. 고객님!"''', 2011년 8월 '''"행복하세요. 고객님!"''', 2012년 '''"힘내세요. 고객님!"''', 2015년 '''"반갑습니다."''', 2016년 이후 "114입니다."와 "네~ 고객님." 등을 상황에 따라 사용하고 있다. === 기타 === * 2002년 114서비스를 운영하면서 생긴 해프닝은 책자로까지 출판되었다.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73992|관련기사]] 그리고 2007년에는 Vol.2도 나왔다... [[http://m.ktcs.co.kr/ktcs/bbs/board.php?bo_table=news&wr_id=14&sfl=&stx=&sst=wr_datetime&sod=asc&sop=and&page=1|보도자료]] * 2006년 4월 [[KTF]]가 휴대폰으로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는 '**114'서비스를 출시하기도 하였으며[[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0133673|#]] 동년 9월에는 주요 군 부대의 대표전화 및 주요 민원부서 전화번호가 114를 통해 공개되었고[[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384207|#]], 동년 12월부터는 고객이 원할 경우 문자메시지로 번호를 안내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06113015075950804&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011&aid=0000160075|#]] * 2017년 9월부터 번호안내114에서도 소상공인을 위한 휴대폰번호를 안내하고 있으며, 사업자 등록증만 있으면 모든 통신사(알뜰폰 포함)의 휴대폰 번호를 무료로 등록신청할 수 있다. 문의는 지역번호+114(예를 들면 02-114, 042-114 등)로 할 수 있다. * 2018년 6월부터 KT휴대폰 가입자는 자사 고객센터(휴대폰에서 114)로도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다. * [[https://help.kt.com/serviceinfo/FormdownloadInfo.do|신청서류]] * [[https://www.114.co.kr/article/view.do?articleKey=1084&searchTitleFlag=1&boardKey=1&menuKey=125¤tPageNo=1&recordCountPerPage=10|114.co.kr 홈페이지]] *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20/2017102085027.html|관련 기사]] == 기타 == * [[포켓몬스터]] [[덩쿠리]]의 [[전국도감]] 번호. * 러시아의 대형 터보프롭 여객기 [[Tu-114]] * 통신 기술 [[CRM114]] * 항공기 [[Il-114]] * [[114식 황물기]] [[분류:과잉수]][[분류:하샤드 수]][[분류:특수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