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20mm는 서방권 전차포, 대공포, 함포의 기본 구경이다. 마찬가지로 동구권에서 주로 쓰는 구경으로는 [[125mm]]가 있다. == [[강선포]] == === [[함포]] === ==== 120/50 Mod.1926 ==== 이탈리아군의 120mm 포. 45도의 부앙각을 가지고 있다. ==== 12 cm TAK 120(L/46) ==== 보포스 사에서 개발한 120mm 단장함포 ==== 12 cm akan M/50 ==== 보포스 사에서 개발한 120mm 연장함포. === [[견인포]] === ==== 12 cm FAK 120(L/46) ==== 위 보포스 12 cm TAK 120 단장함포의 트레일러형 견인포 버전. 일반 견인포와는 달리 화물용 트레일러 트랙터로 견인해야 하는 것이 특징이다. === [[대공포]] === ==== 3식 대공포 ==== 일본제국이 사용하던 120mm 포 ==== 10식 대공포 ==== 일본제국이 사용하던 120mm 포 [[탄두]]무게는 32킬로그램이였다. ==== [[120mm M1 대공포]] ==== [[파일:external/www.williammaloney.com/02US120mmM1AntiAircraftGun.jpg]] 미군에서 사용했었던 중형 대공포. 항목 참조. === [[전차포]] === ==== M58(T123E1) ==== [[120mm M1 대공포]]를 대전차용으로 개조한 것으로 68.5구경장에 당시 동구권 중형전차를 충분히 격파할 수 있을 강력한 위력을 자랑했다. 미국의 [[M103 전차]]에 사용된다. ==== SA46 ==== 리볼버식 [[자동 장전 장치]]를 사용하는 프랑스제 120mm [[전차포]]. 일반적으로 탄약수가 2명씩은 붙어야 했던 동시대의 120mm 주포보다 월등한 발사속도를 자랑했다. [[AMX-50]] 중전차에 사용되었다. ==== [[로열 오드넌스 L1]] 계열 주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로열 오드넌스 L1)] ==== [[로열 오드넌스 L11]] 계열 주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로열 오드넌스 L11)] ==== [[로열 오드넌스 L30]] 계열 주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로열 오드넌스 L30)] === [[120mm 박격포]] === [[파일:external/www.tda-armements.com/Mortars%20120RT%20-%20120%20RT1_2.jpg]] 2차 대전 종전 후 프랑스에서 제작되었으며, 서독 등 서유럽 국가들에서 채용하면서 NATO 제식으로 인정받아 전 세계로 퍼진다. 기존 무강선 보다 탄도가 안정되어 [[105mm]] 빰치는 사거리를 가지면서도 부피도 작고 위력이 강해 널리 쓰이고 있다. 심지어 120mm 활강식 박격포의 원조 격인 러시아에서도 자주박격포 규격으로 채용하여, 120mm 강선 박격포끼리는 어디서든 대충 호환된다. === 120mm 무반동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20mm BAT 무반동포)] == [[활강포]] == === [[박격포]] === [[파일:external/i60.fastpic.ru/c7448f1f398bb3396be08e4aebe53d01.jpg]] [[프랑스]]에서 제작된 브랑 Mle 1935 [[120mm 박격포]]가 시초로서, 원 제조국인 프랑스는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나 소련이 해당 물건의 라이센스를 사들여 120-PM-38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생산했다. 해당 화포를 2차 대전 당시에 사용하다 [[나치 독일]]이 이를 노획해 사용할때 그 성능에 만족해 카피판을 만들어 사용하고 또 이를 서방국들에서 사용하면서 동서방 할것 없이 널리 쓰게 된다. === 전차포 === [[라인메탈 120mm 활강포]] 문서 참고. [[분류:120mm]][[분류:전차포]][[분류:대공포]][[분류:활강포]][[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