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독일의 잠수함 계보)] [목차] == 개요 == 14형 유보트는 [[9형 유보트|9D형 유보트]]의 개량형이다. 역시 역할은 해상에서 다른 유보트들에게 보급을 해주는 것이었다. 그래서 [[크릭스마리네]]에서 이 함종의 별명은 밀시퀴헤(Milchkühe)이다. [[독일어]]로 '''[[젖소]]'''에 해당하는 단어이다. 큰 크기 덕분에 이 14형 유보트는 다른 유보트에게 432톤의 연료, 4발의 어뢰, 그리고 냉장보관해둔 신선한 음식들을 보급해 줄 수 있었다. 게다가 함내에 무려 '''빵집'''을 탑재해서 재보급 받는 유보트 승무원들에게 신선한 빵을 제공할 수 있었다.[* 잠수함이라는 병종은 환경이 열악한데다가 승조원의 피로도가 전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함종이므로 여러 국가의 잠수함대는 승조원에게 최대한 잘해준다. U보트 1척이 아까웠던 제2차 세계 대전시의 독일 [[크릭스마리네]] 잠수함대 사령관 [[카를 되니츠]]도 급박한 상황임에도 승조원들의 휴가만큼은 꼭 챙겨주었다고 한다.] 최대한 많이 적재하기 위해 본 함종은 어뢰발사관이나 [[덱건]]은 없었고 방어용으로 [[대공포]]만 총 3문 탑재했다. 1942년 작은 잠수함인 [[7형 유보트|7C형 유보트]]들이 미국 동해안을 휘저을수 있도록 한 장본인이 바로 14형 유보트들이었다. 이 '젖소'들은 그래서 연합국 해군의 주요 타겟이 되었다. Type XIV 1척만 격침시켜도 다른 공격용 U보트들의 활동을 크게 축소시킬테니까 말이다. 연합국은 유보트 암호 해독으로 얻은 위치 및 항로 정보와 점점 발전되어가는 레이더, 그리고 압도적인 해상 제공권을 규합하여 이들을 찾아내어 격침했고 1943년경에는 대부분의 함선이 제거되었다. 종전 시에는 건조된 10척 중 한척도 남아있지 않았다. 이 함종이 맡은 보급 임무는 사실상 이렇게 적들을 피해 은밀히 항해하는 위험한 임무였고 그런고로 이 함급에 탑승한 승조원 전체의 절반은 모두 사망했다.[* 전투를 수행하는 공격 잠수함 승조원의 전사비율이 훨씬 높기는 했지만 보급함 승조원이 절반 넘게 죽은 것과 쉽사리 비교하기는 어렵다. 애초에 연합국은 독일 유보트라면 기가 질려서 보이는 대로 다 격침시켰을것이다.] == 제원 == || 함종 ||대양형 보급 잠수함 || || 수상 배수량 ||1,688톤 || || 수중 배수량 ||1,932톤 || || 전장 ||67.1m || || 전폭 ||9.35m || || 높이 ||11.7m || || 흘수 ||6.51m || || 추진 방식 ||디젤-전기 추진 || || 추진 체계 ||GW F46 과급 6기통 디젤엔진 2기(2,800~3,200마력)[br]SSW GU 343/38-8 이중작동 전동모터 2기(740마력)[br]구동축 2기 프로펠러 2기 || || 속력 ||수상 최고속도 14.4~14.9노트[br]수중 최고속도 6.2노트 || || 항속거리 ||부상상태 10노트로 12,350해리(22,870km)[br] 잠항상태 4노트로 55해리(102km) || || 최대잠항심도 ||240m || || 승조원 ||장교 6명, 승조원 47명 || || 무장 ||37mm 대공포 2문[br] 20mm 대공포 1문 || == 함정 목록 == 총 10척이 취역했다. || 함번 || 취역일 || 비고 || || U-459 || 1941년 11월 15일 취역 || 1943년 7월 24일 자침 || || U-460 || 1941년 12월 24일 취역 || 1943년 10월 4일 격침 || || U-461 || 1942년 1월 30일 취역 || 1943년 7월 30일 격침 || || U-462 || 1942년 3월 5일 취역 || 1943년 7월 30일 격침 || || U-463 || 1942년 4월 2일 취역 || 1943년 5월 15일 격침 || || U-464 || 1942년 4월 30일 취역 || 1942년 8월 20일 자침 || || U-487 || 1942년 12월 21일 취역 || 1943년 7월 13일 격침 || || U-488 || 1943년 2월 1일 취역 || 1944년 4월 26일 격침 || || U-489 || 1943년 3월 8일 취역 || 1943년 8월 4일 격침 || || U-490 || 1943년 3월 27일 취역 || 1944년 6월 12일 격침 || 본래 24척 건조 예정이었으나 10척만 건조되고 14척은 취소되었다. 1944년 5월 27일 건조 계획 취소 시점에서 U-491, U-492, U-493 3척은 공정률 75%였다. 이들은 진수라도 되었지만,[* 한국 해군에서는 대개 무장 장착까지 모두 마치고 진수식을 치루는게 일반적이지만 유럽권에서는 선체만 만들어지면 진수식하고 무장 및 기타 장비를 탑재하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이번 [[영국 해군]]의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이 선체 건조 후 진수, 이후 장비 탑재를 진행중이다.] 같은날 [[카를 되니츠]]는 대형 수송잠수함인 [[유보트/기타|20형 유보트]] 계획 역시 1945년 중반까지 취역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폐기했다. 수송잠수함 계획인 [[유보트/기타|15형과 16형 유보트]]는 예전에 폐기되었고 [[유보트/기타|19형]]도 폐기되었으니 당연히 14형 유보트가 [[크릭스마리네]]의 최후의 수송잠수함급이 되었다. == 관련 문서 == * [[제2차 세계 대전]] * [[U보트]] * [[잠수함]] * [[독일 해군]] [[분류:잠수함]][[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