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도니아의 기사의 모리토)] [include(틀:모리토와 함께 운용하는 장비)] [include(틀:모리토 수송기)] [include(틀:타니카제 나가테가 탑승한 모리토 목록)]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hiratsuki.jpg]]|| || 17식 모리토 시라츠키의 모습 ||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G-487_Kill.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2014-05-05_19.31.05.png|width=100%]]|| || 17식 모리토 츠구모리의 모습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sugumori_Custom_2.jpg|width=100%]]|| || 17식 모리토 츠구모리 카이니의 모습 || [include(틀:스포일러)] [목차] == 개요 == 정식명칭은 '17식 모리토 시라츠키(白月)'. 100년 전 제 4차 [[가우나]] 방어전 말기에 실전 배치된, [[모리토]] 개발 사상 최고의 걸작으로 불리는 기종. [[동아중공]]이 제작하였다. 모리토 부대의 영웅 [[사이토 히로키]]가 몰았던 기체로 이름 높으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훈련용으로 쓰일 만큼 베스트셀러인 듯 하다. 이후 주인공 [[타니카제 나가테]]가 조종하게 되는 주역 기체 "츠구모리"도 17식을 특별히 개량한 물건이다. 덧붙여 걸작이자 베스트셀러이지만 아무래도 작중의 시점에서는 100년 전의 골동품이기 때문에, [[파종선 시도니아|시도니아]] 내에 남아 있는 기체수는 그리 많지 않은 모양. 예비기도 별로 많이 남아 있지는 않은 상황인 것 같다.[* 예비부품조차도 원래는 생산이 끊겨 이미 고갈된 상황이었으나, 츠구모리가 다시 실전에 투입되면서부터 정비와 유지보수에 필요한 예비부품의 생산이 재개되었다고 한다.] 구식화되어 훈련용으로 쓰이게 된 것도, 성능상의 문제 때문이라기 보다는 남아 있는 기체수 자체가 [[18식 모리토]]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방어력]] 향상을 위해서 [[장갑(무기)|장갑]] 전체에 대 [[헤이그스]] 입자 코팅이 되어 있어서, [[헤이그스]] 입자를 이용한 공격에 대한 방호력이 [[18식 모리토]]에 비해 꽤 높다. 폭발에도 전혀 피해를 입지 않으며 꽤 높은 출력의 [[헤이그스 입자포]]에도 어느 정도 견디는 수준. 그 외의 특징을 하나 더 들자면, [[자동화]]가 별로 되어 있지 않으며 [[사람]]의 [[감각]]으로 동작을 제어하기에 조작이 많이 복잡하기는 하지만 그 대신 익숙해지기만 한다면 마치 자신의 손발과도 같이 기체를 움직일 수 있는 특유의 독특한 조종성을 들 수 있다. 조작의 자동화나 간이화를 별로 추구하지 않은 탓에 조작 난이도는 매우 높지만 그 대신 조작 자유도도 그에 비례해서 꽤 높은 모양. 대신 상기한 대로 인간의 감각으로 동작을 제어하기 때문에 파일럿의 실력이나 기량이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기체의 움직임에 현저히 반영된다는 게 문제인 것 같다. 덧붙여 17식의 생산방식은 직공의 손으로 부품을 하나하나 만들어가면서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방식이었다 한다. 그야말로 [[공밀레]]의 극한(…).[* 물론 실제로 이렇게 생산하면 품질이나 성능들의 균일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이렇게 기체 하나를 생산하는 데 엄청난 공밀레를 해야 하는 게 문제가 되었는지, 결국 후대에 개발된 [[18식 모리토]]의 경우에는 생산방식이 바뀌게 되었다. 18식은 17식과는 정반대로 양산성을 중시했기에 수작업이 아닌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을 통해서 생산비용을 절감했다고 한다. == 파생형 == === 츠구모리 === [[파일:external/www.wwhcurrent.com/Underwater-Knights-of-Sidonia-01-720p-3844F8E2.mkv_snapshot_18.29_2014.04.26_03.56.481-640x360.jpg]] 츠구모리(継衛) 정식명칭은 '17식 모리토 시라츠키改(白月改) 츠구모리(継衛)'. 17식 중에서도 특별개량된 기체로 100년 전 [[사이토 히로키]]의 전용기였다. 엄청난 전과를 세운 덕분에 퇴역 후에도 보존, 민간 구역에서도 잘 보이도록 전시되어 있다가 주인공 [[타니카제 나가테]]의 등장으로 다시 실전에 투입된다. 2권에서 왼팔이 소실되어 18식의 것을 임시로 사용하다가 5권에서 복구되지만 소행성 전투 에피소드에서 다시금 반파되어 한동안 사용이 불가능했다. 소형 슈가휴센 오카리나와의 전투를 앞두고 최신기술을 이용해 풀 개조된 모습으로 멋지게 부활, 단기필마로 오카리나를 격파하는 전과를 올린다. 헤이그스 기관과 [[장갑(무기)|장갑]] 일부를 [[19식 모리토]]와 같은 것으로 교체하고 인공 [[카비자시]]를 사용한 무장을 갖추게 되는 등[* 팔뚝 뒷면의 하드포인트를 통해 [[송곳]] 형태의 자그마한 수납형 인공 [[카비자시]]를 옵션 무장으로서 팔뚝에 장비할 수 있게 된 것(이 수납형 인공 카비자시는 손목검([[리스트블레이드]])에 가까운 형태로 장비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진짜로 손목검인 건 아니다. 츠구모리 카이니의 인공 카비자시 손목검과는 구조도 형상도 다른 무장.)이 대표적인 예이다. 가우나 관통탄을 쏘기 위해 만들어진 실탄 [[라이플]]인 [[탄체가속장치]]도 당연히 팔뚝 뒷면의 하드포인트를 통해 옵션 무장으로서 장비 가능.], 외관상으로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성능적으로는 무장과 각종 장비의 업그레이드와 본체의 근대화 개수를 통해 19식 모리토와 동등한 수준의 성능을 지니게 되었다.[* TVA 에서는 이때 '츠구모리 카이'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이는 다음 문단에서 서술.] 이후 [[신소재 실험기]]의 등장으로 주인공 기체의 위상이 흔들리는 듯 하다가 [[이치가야 테루루]] 구조작전 때 [[15식 모리토]]의 부품을 일부 사용한 모습으로 재등장했다.[* 무장으로서는 [[화약]]식 실탄 [[기관포]]인 고속연사포를 갖춘 것 외에도 [[탄체가속장치]] 대신 460mm 중[[활강포]]로 무장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무장들은 역시 팔뚝 뒷면의 하드포인트에 장비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탄체가속장치 대신 장비된 460mm 중활강포는 [[구경]] 자체는 대구경이며 [[포신]]도 그에 걸맞게 길었지만, 화약식 실탄 화기의 한계 때문인지 탄체가속장치에 비해서는 위력 자체는 좀 떨어지는 편이었다.] [[코토부키야]]와 [[센티넬(회사)|센티넬]]의 [[RIOBOT]]에서 각각 1/100 [[프라모델]] 키트, 1/144 [[액션 피규어]]로 출시되었다. 또한 [[맥스 팩토리]]에서도 [[피그마]] 브랜드로 논스케일 액션 피규어를 2015년 11월에 출시. ==== 츠구모리 改 ==== 애니메이션에서는 무장 및 장비의 업그레이드 그리고 본체의 근대화 개수 이후부터 이름이 '츠구모리改(継衛改)'로 살짝 바뀌었다. 2기에서부터 바뀐 이름의 읽기는 '츠구모리 카이'. === 츠구모리 改二 === 츠구모리改二(継衛改二). 이름은 '츠구모리 카이니'로 읽는다. [[20식 모리토]]의 개발이 늦어지고 있는 것이 계기가 되어 새롭게 제조된 기체로, 기존의 츠구모리와는 별개의 기체. [[신소재 실험기]]를 통해 얻은 연구 성과와 데이터가 반영되어 있다. 신소재 실험기나 [[시라우이 츠무기|융합개체]]에 준하는 성능과 [[전투력|전투능력]]을 가졌으면서도, 보다 실전지향적으로 개량되었다고 한다. 신소재 실험기와 비교되는 주된 개량점은 [[파종선 시도니아|시도니아]]의 함내 지원설비에의 대응을 보다 용이하게 했다는 점과, 옵션 무장을 장비하기 위한 하드포인트를 증설했다는 점. [[신소재 실험기]]의 형제기라 말할 수 있지만, 기존의 [[모리토]]들과 같은 사각뿔 형태의 헤이그스 기관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도 츠구모리에 가까운 것이 되어 있기에 그 외관은 신소재 실험기와는 많이 다르다. 전신에 인공 [[카비자시]]로 만들어진 흑색의 칼날을 기본적으로 장비하고 있는 것이 최대의 특징으로[* 기존의 고속진동블레이드 대신 팔뚝 바깥쪽 측면의 소형 실드(팔뚝에 매다는 방패인 [[타지]]와 비슷한 양식을 취하고 있다.)에 수납되어 있다가 필요할 때 전개되는 손목검([[리스트블레이드]]) 모양의 인공 [[카비자시]] 칼날이라던가(기존의 츠구모리가 팔뚝 뒷면의 하드포인트를 통해 팔뚝에 장비하던 [[송곳]] 형태의 수납형 인공 카비자시와는 다른 물건이다. 형상 자체도 별개이지만, 무엇보다도 그쪽이 옵션 무장이었던 것과는 달리 이쪽은 고정 무장이란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어깨 장갑의 안에 수납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 꺼내서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작은 [[토마호크|손도끼]] 등, 인공 카비자시 칼날을 갖춘 다양한 형태의 날붙이들을 기본적으로 장비하고 있다. 잘 보면 흉부와 [[머리]]에도 작은 칼날들이 달려 있으며, 특히 머리의 칼날은 묘하게도 '''[[뿔]]'''처럼 생겼다(…).], 이 칼날들은 파일럿의 조작으로 사출시킬 수도 있다고 한다. 신소재 실험기와 마찬가지로 인공 카비자시로 만들어진 칼날을 갖춘 [[일본도]] 형태의 [[도검]]인 '대(對) 가우나 도(刀)'를 장비할 수 있는 것도 특징.[* 덧붙여 이 '대(對) 가우나 도(刀)'는 팔뚝 뒷면의 하드포인트에 [[칼집]]을 설치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거기에 칼을 격납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따라서 이것을 장비하지 않는 대신 [[화약]]식 실탄 [[기관포]]인 고속연사포나 소형 [[미사일]]인 예침작렬탄 또는 가우나 관통탄을 쏘기 위해 만들어진 실탄 [[라이플]]인 탄체가속장치 등을 팔뚝 뒷면의 하드포인트에 장비시켜 사격전 능력을 보강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한쪽 팔뚝에는 칼과 칼집을 장비하고 다른 한쪽 팔뚝에 고속연사포나 예침작렬탄 또는 탄체가속장치를 장비하는 것도 가능.] 또한 기존의 모리토들처럼 팔뚝 뒷면의 하드포인트를 통해 옵션 무장으로서 실탄 [[기관포]]인 '고속연사포'[* 덧붙여 츠구모리 카이니의 고속연사포는 통상탄과 가우나 관통탄을 섞어서 쏘는 것을 통해 [[가우나]]를 상대할 때에도 상당한 효과를 발휘했다. [[화약]]식 [[기관포]]라는 한계 탓에 사정거리는 매우 짧지만 [[근접전]]에서의 효과는 예상 이상으로 강력했다. 말 그대로 [[끔살]]. 이후 다른 [[모리토]]들의 고속연사포도 위력을 보강하기 위해 통상탄과 가우나 관통탄을 섞어 사용하기 시작한다.]나 소형 [[미사일]]인 '예침작렬탄' 및 가우나 관통탄을 쏘기 위한 실탄 [[라이플]]인 '탄체가속장치'를 취급할 수 있는 것 외에도, 신소재 실험기의 성과와 [[타니카제 나가테]]의 제안을 반영하여 흉부에 새로운 고정 무장으로서 '흉부활강포(胸部滑腔砲)'라는 명칭의 [[화약]]식 실탄 [[활강포]]가 장비되고 있어 가우나에게 붙잡혀 움직이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대응할 수 있게 된 것도 특징으로 꼽힌다.[* TVA 2기에서는 이 [[활강포]]로 [[베니스즈메]]에게 엿을 먹이는 활약을 남기기도 했다. [[화약]]식 활강포라는 한계 때문인지 탄체가속장치만큼의 장거리 사격은 어려운 모양이지만, [[영거리 사격|지근거리 사격]]으로 베니스즈메의 [[요참형|허리를 두 동강 낸 것]]을 보아 위력 자체는 나쁘지 않은 듯. 문제는 그렇게 한 방 먹은 뒤 베니스즈메가 에나 호시지로를 츠구모리 카이니의 내부로 침투시켜 파일럿인 나가테를 직접 노린다는 강수를 둔 탓에…. 그 이후의 전개에 대해선 베니스즈메 문서 참조.] 모리토들이 전통적으로 갖추는 머리 부분의 고정 무장인 [[헤이그스 입자포]]도 여전히 건재하다. [[파일:17식701.png]] 원작에서는 [[신소재 실험기]]가 임무 도중 손실된 이후 새로운 주역기로서 등장해, [[20식 모리토]]가 등장할 때까지 [[타니카제 나가테]]의 탑승기가 되었다가 이후 나가테가 20식으로 옮겨 탄 다음부터는 그 동안 진 빚을 갚기 위해 [[모리토]] 조종사로 복귀한 [[쿠나토 노리오]]의 탑승기가 되어서[* "岐-701" 로 마킹을 바꿀 시간이 있었던것 같다] 위기에 처했던 [[파종선 시도니아|시도니아]]를 지켜내었다. 덧붙여 츠구모리 카이니는 조종성의 문제로 인해서 나가테 이외의 다른 조종사들은 조종할 수 없는 기체였지만, 노리오는 강한 의지와 시뮬레이션에서의 높은 성적을 바탕으로 지금까지는 나가테 이외에는 그 누구도 조종할 수 없었던 츠구모리 카이니를 조종해낼 수 있었다 한다. ~~츠구모리를 타고 [[영웅]]이 되고 싶었던 노리오가 드디어 그 꿈을 이루는 순간. 이 츠구모리는 그 츠구모리가 아니지만.~~ 한편 애니메이션에서는 원작에서보다도 보다 빠른 시점에서 완성되고 있어, [[신소재 실험기]]가 등장하지 않는 대신 이 츠구모리 카이니가 처음부터 새로운 주역기로서 TVA 2기에서부터 기존의 츠구모리를 대신하여 활약했다. 또한 애니메이션에서는 원작에서와는 달리 [[19식 모리토]]가 등장하지 않았고 [[20식 모리토]]에 대해서도 거의 언급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츠구모리 카이니가 츠구모리의 후계기로서 다루어지고 있어 [[타니카제 나가테]]도 다른 기체로 옮겨 타지 않고 2기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 츠구모리 카이니에 탑승했다. 이 때문인지 애니메이션에서는 '17식 모리토 츠구모리改二(継衛改二)'라는 정식명칭도 있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사용 가능한 [[수송기]]로 [[츠키카즈]]가 있다. 17식 모리토 츠구모리 카이니[* 17식 모리토 계열에서는 츠구모리 카이니만 츠키카즈를 사용할 수 있다.] 1기와 츠키카즈 1기가 연결하여 이동하는 방식. == 모형화 == [[코토부키야]]에서 1/100 사이즈의 17식 모리토 츠구모리 [[프라모델]] 키트를 2016년 1월에 출시했다. 이후 같은 제조사에서 외관과 가동구조가 개선된 츠구모리 카이니도 발매되었다.[* 여담으로 이 코토부키야 프라모델은 애니판에서 모리토 덕후인 [[미도리카와 유하타]]가 [[간접광고|조립하는 프라모델로 나온다]].] 완성품으로는 [[센티넬(회사)|센티넬]]과 [[피그마(피규어)|피그마]]에서 츠구모리를 출시하였다. 크기는 건프라의 HG에 준하는 정도.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모리토,version=210)] [[분류:모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