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60 로마 올림픽)] [include(틀:역대 올림픽 축구)] ------ [include(틀:1960 로마 올림픽/축구)] ||<-3> [[1960 로마 올림픽|[[파일:1960 로마 올림픽 로고.png|width=50]]]] || ||<-3> {{{#fff '''올림픽 축구'''}}} || || '''{{{#fff 대회기간}}}''' ||<-2>1960년 8월 26일 ~ 9월 10일 || || '''{{{#fff 본선 진출국}}}''' ||<-2>16개국 || || '''{{{#fff 우승}}}[br][[금메달|[[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30]]]]''' ||<-2>'''[[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25]] 유고슬라비아]]''' || || '''{{{#fff 준우승}}}[br][[은메달|[[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width=30]]]]''' ||<-2>'''[[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 || '''{{{#fff 3위}}}[br][[동메달|[[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width=30]]]]''' ||<-2>'''[[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헝가리]]''' || || '''{{{#fff 득점왕}}}''' ||<-2>[[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30]] [[밀란 갈리치]] | 7골 || ||<-3> {{{#fff ''' 이전·이후 대회 ''' }}} || || [[1956 멜버른 올림픽/축구|1956년 [br] 멜버른]] || {{{#fff ''' 1960년 [br] 로마 ''' }}} || [[1964 도쿄 올림픽/축구|1964년 [br] 도쿄]] || [목차] == 개요 == [[1960 로마 올림픽]]의 [[축구]] 종목에 대하여 서술하는 문서. 지금의 올림픽 축구 16개국 본선 진출 체제의 원형이 완성된 첫 대회다. == 경기장 == == 본선 진출국 == || {{{#fff '''대륙'''}}} ||<-2> {{{#fff '''국가'''}}} || {{{#fff '''예선 대회'''}}} || {{{#fff '''대회 성적'''}}} || {{{#fff '''티켓 수'''}}} || {{{-1 {{{#fff '''통산 진출'''}}}}}} || {{{-1 {{{#fff '''최근 진출'''}}}}}} || {{{-1 {{{#fff '''최고 성적'''}}}}}} || ||<|8> [[유럽 축구 연맹|{{{#9c9c9c 유럽[br](UEFA)}}}]]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 '''이탈리아''' ||<-2> '''개최국''' || 1장 || 8회 || 1952 || {{{#ffd700 '''금메달'''}}} ||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 덴마크 ||<|7> 1960 로마 올림픽 [br] 유럽 지역예선 || {{{-2 예선 1조 1위}}} ||<|7> 7장 || 6회 || 1952 || {{{#c0c0c0 '''은메달'''}}} ||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 폴란드 || {{{-2 예선 2조 1위}}} || 4회 || 1952 || 4위 || ||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48-1967).svg|width=25]] || 불가리아 || {{{-2 예선 3조 1위}}} || 4회 || 1956 || {{{#d7995b '''동메달'''}}} ||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25]] || 유고슬라비아 || {{{-2 예선 4조 1위}}} || 7회 || 1956 || {{{#c0c0c0 '''은메달'''}}}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 영국 || {{{-2 예선 5조 1위}}} || 8회 || 1956 || {{{#ffd700 '''금메달'''}}}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프랑스 || {{{-2 예선 6조 1위}}} || 7회 || 1952 || 4위 ||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 헝가리 || {{{-2 예선 7조 1위}}} || 5회 || 1952 || {{{#ffd700 '''금메달'''}}} || ||<|3> {{{-1 [[남미 축구 연맹|{{{#9c9c9c 남미(CONMEBOL)}}}]]}}} [br] {{{-1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9c9c9c 북미(NAFC) [br] 중미/카리브 (CCCF)}}}]]}}}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 아르헨티나 ||<|3> {{{-1 1960 로마 올림픽 [br] 아메리카 예선}}} || 우승 ||<|3> 3장 || 2회 || 1960 || {{{#c0c0c0 '''은메달'''}}} || || [[파일:페루 국기.svg|width=20]] || 페루 || 준우승 || 2회 || 1936 || 8강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 브라질 || 3위 || 2회 || 1952 || 8강 || ||<|2> [[아프리카 축구 연맹|{{{#9c9c9c 아프리카[br](CAF)}}}]]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25]] || 아랍연합공화국[* 당시 이집트, 시리아 연합] ||<|2> 1960 로마 올림픽 [br]아프리카 지역예선 || {{{-1 최종예선 우승}}} ||<|2> 2장 || 7회 || 1952 || 4위 ||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20]] || 튀니지 || {{{-2 최종예선 2위}}} || 첫 출전 || - || - || ||<|3> {{{-2 [[아시아 축구 연맹|{{{#9c9c9c 아시아 [br] 오세아니아 (AFC)}}}]]}}}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5]] || 중화민국[* 당시 본토의 중화인민공화국은 정식 인가를 받지 못한 국가였고 타이완 섬의 중화민국이 유일 합법 중국정부로 인정받고 있었기에 국호를 그대로 쓰면서 올림픽에 나올 수 있던 시절이었다.] ||<|3> 1960 로마 올림픽 [br]{{{-2 아시아 - 오세아니아 지역예선}}} ||<|3> {{{-2 최종예선 승자}}}[* 홈 앤드 어웨이의 완전 토너먼트로 치러졌다.] ||<|3> 3장 || 3회[* 중화민국의 국부천대 이후로는 첫 진출] || 1936 || 1R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5]] || 인도 || 4회 || 1956 || 4위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5]] || 터키 || 6회 || 1952 || 8강 || * 영국 아마추어 대표팀이 유럽 예선을 뚫어낸 마지막 대회다. 이 대회 이후 영국은 1972 뮌헨 올림픽 지역예선까지 참가했다가 76년 대회부턴 단일팀 구성을 포기하고 참가를 안했다. 그러다 2012년 자국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면서야 40년만에 영국 대표팀이 다시 조직된다. * 남미와 북중미가 함께 예선을 치른 마지막 대회다. 총 3장이 걸린 아메리카 통합예선에서 남미 3개국이 티켓을 모두 쓸어갔으며 북중미는 결국 한 국가도 본선에 오르지 못했다. * 현재 차이니즈 타이페이라는 이름으로 국기를 걸지 못하고 나오는 대만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국제 축구 대회 본선에 진출한 대회다. 당시 중화민국은 아시아 최종예선에서 대한민국을 만나 홈에서 두 경기를 모두 치를 수 있게 된 유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1차전을 1-2로 졌다. 그리고 2차전에서 이른 시간 선제골을 넣고 균형을 맞춘 뒤 심판이 중화민국의 페널티킥까지 선언하면서 역전 찬스를 맞이했다. 경기 내내 편파판정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한 대한민국 선수들이 심판 판정에 격분해 심판을 '''공격(!!)'''하는 상황이 발생했고, 그대로 경기는 종료되어 후일 대한민국에게 몰수패가 선언되어 중화민국이 우여곡절끝에 본선에 진출했다. 1948년 런던 올림픽 이후 12년만의 본선 진출이자 [[국부천대]] 이후로는 첫 진출이었다. * 또한 터키가 아시아 예선을 치르고 본선에 올라간 처음이자 마지막 대회다. 터키는 중동 국가들이 모인 아시아 3조에서 이라크, 레바논을 누르고 본선에 진출했다. 이후 터키는 1962년부터 [[UEFA]]에 가입해 유럽 예선을 치르고 있다. == 조 편성 == === 조 편성 결과 === == 선수 명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960 로마 올림픽/축구/참가팀 정보)] == 대회 진행 == === 조별리그 === ==== [[1960 로마 올림픽/축구/A조|A조]] ==== || '''{{{#fff 순위}}}''' ||<-2> '''{{{#fff 팀명}}}'''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 '''1'''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30]] || 유고슬라비아 || 2 || 1 || 0 || 13 || 4 || +9 || 5 || || '''2''' ||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48-1967).svg|width=30]] || 불가리아 || 2 || 1 || 0 || 8 || 3 || +5 || 5 || || '''3'''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30]] || 아랍연합공화국 || 0 || 1 || 2 || 4 || 11 || -7 || 1 || || '''4'''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터키 || 0 || 1 || 2 || 3 || 10 || -7 || 1 || ||<-11><:>{{{#8E8 '''■'''}}} 결선 진출 | {{{#FBB '''■'''}}} 탈락 || ==== [[1960 로마 올림픽/축구/B조|B조]] ==== || '''{{{#fff 순위}}}''' ||<-2> '''{{{#fff 팀명}}}'''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 '''1'''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이탈리아 || 2 || 1 || 0 || 9 || 4 || +5 || 5 || || '''2'''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브라질 || 2 || 0 || 1 || 10 || 6 || +4 || 4 || || '''3'''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 영국 || 1 || 1 || 1 || 8 || 8 || 0 || 3 || || '''4''' ||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 중화민국 || 0 || 0 || 3 || 3 || 12 || -9 || 0 || ||<-11><:>{{{#8E8 '''■'''}}} 결선 진출 | {{{#FBB '''■'''}}} 탈락 || ==== [[1960 로마 올림픽/축구/C조|C조]] ==== || '''{{{#fff 순위}}}''' ||<-2> '''{{{#fff 팀명}}}'''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 '''1'''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 덴마크 || 3 || 0 || 0 || 8 || 4 || +4 || 6 || || '''2'''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아르헨티나 || 2 || 0 || 1 || 6 || 4 || +2 || 4 || || '''3'''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폴란드 || 1 || 0 || 2 || 7 || 5 || +2 || 2 || || '''4'''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 || 튀니지 || 0 || 0 || 3 || 3 || 11 || -8 || 0 || ||<-11><:>{{{#8E8 '''■'''}}} 결선 진출 | {{{#FBB '''■'''}}} 탈락 || ==== [[1960 로마 올림픽/축구/D조|D조]] ==== || '''{{{#fff 순위}}}''' ||<-2> '''{{{#fff 팀명}}}'''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득실차}}}''' || '''{{{#fff 승점}}}''' || || '''1'''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 헝가리 || 3 || 0 || 0 || 15 || 3 || +12 || 6 || || '''2'''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프랑스 || 1 || 1 || 1 || 3 || 9 || -6 || 3 || || '''3''' || [[파일:페루 국기.svg|width=30]] || 페루 || 1 || 0 || 2 || 6 || 9 || -3 || 2 || || '''4''' || [[파일:인도 국기.svg|width=30]] || 인도 || 0 || 1 || 2 || 3 || 6 || -3 || 1 || ||<-11><:>{{{#8E8 '''■'''}}} 결선 진출 | {{{#FBB '''■'''}}} 탈락 || === 토너먼트 === [include(틀:1960 로마 올림픽 축구/결선 토너먼트)] ==== [[1960 로마 올림픽/축구/결선 토너먼트|결선 토너먼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1960 로마 올림픽/축구/결선 토너먼트)] == 최종 순위 == ||
'''{{{+2 1960 로마 올림픽 남자축구 우승국}}}''' ||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300]] || || '''유고슬라비아''' || || 두번째 우승 || == 여담 == * 처음으로 올림픽 축구에 조별리그가 도입되었다. 1908년 처음 국가대항전으로 올림픽 축구가 치러진 이래 52년만의 대회 방식 변화인데, 다만 일정의 타이트함을 고려해 16강 조별리그 이후 각 조 1위만 4강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4년 뒤 대회에서는 각 조 2위까지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보편적인 8강 토너먼트 체제가 도입된다. [[분류:1960 로마 올림픽]][[분류:올림픽 축구]][[분류:1960년 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