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월드 시리즈 목록)] ||<-5> '''[[월드 시리즈]] 일람''' || || [[1965년 월드 시리즈]] || {{{+1 ←}}} || '''1966년 월드 시리즈''' || {{{+1 →}}} || [[1967년 월드 시리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66 world series.jpg|width=100%]]}}} || ||<-2> [[파일:1966오리올스우승로고.gif|width=312]] || ||<-2> '''{{{#ffffff 1966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 ||<-2> '''[[볼티모어 오리올스|{{{#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 || '''{{{#df4601 MVP}}}''' || '''[[프랭크 로빈슨|{{{#df4601 프랭크 로빈슨}}}]]''' || [목차] == 개요 == 로스터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짐 바비에리]], [[짐 브루어]], [[웨스 코빙턴]], [[토미 데이비스]], [[윌리 데이비스]], [[돈 드라이스데일]], [[론 페얼리]], [[알 페라라]], [[짐 길리엄]], [[루 존슨]], [[존 케네디]], [[샌디 코팩스]], [[짐 르피버]], [[밥 밀러]], [[조 모엘러]], [[네이트 올리버]], [[클로드 오스틴]], [[웨스 파커]], [[론 페라노스키]], [[필 리건]], [[존 로즈브로]], [[딕 스튜어트]], [[모리 윌스]], [[제프 토버그]], [[돈 서튼]] [[볼티모어 오리올스]]:[[루이스 아파리시오]], [[폴 블레어]], [[커트 블레파리]], [[월리 벙커]], [[모 드라보스키]], [[앤디 에체바렌]], [[데이비 존슨]], [[데이브 맥널리]], [[짐 파머]], [[부그 파웰]], [[브룩스 로빈슨]], [[프랭크 로빈슨]], [[러스 스나이더]], [[샘 보웬스]], [[래리 하니]], [[우디 헬드]], [[밥 존슨]], [[빅 로즈노브스키]], [[프랭크 버타이나]], [[진 브라벤더]], [[에디 피셔]], [[딕 홀]], [[존 밀러]], [[스튜 밀러]], [[에디 와트]] == 경기 진행 == === 1차전 === ||<-2>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 '''구분''' ||<-2>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타순''' || '''{{{#005a9c 선수}}}''' || '''{{{#005a9c 포지션}}}''' || || [[루이스 아파리시오]] || [[유격수|SS]] || '''1''' || 모리 윌스 || [[유격수|SS]] || || [[러스 스나이더]] || [[중견수|CF]] || '''2''' || 윌리 데이비스 || [[중견수|CF]] || || [[프랭크 로빈슨]] || [[우익수|RF]] || '''3''' || [[루 존슨]] || [[우익수|RF]] || || [[브룩스 로빈슨]] || [[3루수|3B]] || '''4''' || 토미 데이비스 || [[좌익수|LF]] || || [[부그 파웰]] || [[1루수|1B]] || '''5''' || 짐 레피버 || [[2루수|2B]] || || [[커트 블레파리]] || [[좌익수|LF]] || '''6''' || 웨스 파커 || [[1루수|1B]] || || [[데이비 존슨]] || [[2루수|2B]] || '''7''' || [[짐 길리엄]] || [[3루수|3B]] || || [[앤디 에체바렌]] || [[포수|C]] || '''8''' || 존 로즈브로 || [[포수|C]] || || [[데이브 맥널리]] || [[투수|P]] || '''9''' || [[돈 드라이스데일]] || [[투수|P]] || ||<-14> {{{#ffffff 1966년 10월 5일 [[다저 스타디움|{{{#ffffff 다저 스타디움}}}]]}}}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볼티모어 오리올스|{{{#ffffff BAL}}}]]''' || [[데이브 맥널리]] || 3 || 1 || 0 || 1 || 0 || 0 || 0 || 0 || 0 || '''5''' || 9 || 0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LAD}}}]]''' || [[돈 드라이스데일]] || 0 || 1 || 1 || 0 || 0 || 0 || 0 || 0 || 0 || '''2''' || 3 || 0 || 승:[[모 드라보스키]](1승) 패:[[돈 드라이스데일]](1패) 첫 우승에 도전하는 오리올스는 [[데이브 맥널리]]를, 디펜딩 챔피언 다저스는 [[돈 드라이스데일]]을 각각 선발로 내세웠으나 두 명 다 만족스럽지 못했다. 드라이스데일은 1회부터 [[러스 스나이더]]를 볼넷으로 출루시킨 후 [[프랭크 로빈슨]]과 [[브룩스 로빈슨]]에게 백투백 홈런을 맞았고, 2회초에도 [[앤디 에체바렌]]에게 선두타자 볼넷을 허용하더니 [[데이브 맥널리]]가 번트로 2루를 만든 후 [[러스 스나이더]]에게 적시타를 맞고 2회말 타석에서 대타 [[딕 스튜어트]]와 교체되며 2이닝 4실점으로 쓸쓸히 강판당했다. 한편 오리올스의 선발 [[데이브 맥널리]]도 헤맨건 마찬가지였다. 2회말 선두타자 짐 레피버에게 홈런을 맞았고, 웨스 파커의 2루타와 [[짐 길리엄]]의 볼넷으로 맞은 무사 1, 2루 위기는 실점없이 잘 넘겼지만 3회말 1사에서 갑자기 [[루 존슨]], 토미 데이비스, 짐 레피버에게 모두 볼넷을 내주고 만루를 채운채로 강판됐다. 뒤이어 올라온 [[모 드라보스키]]는 웨스 파커를 삼진으로 처리, [[짐 길리엄]]에게 밀어내기 볼넷을 내줬지만 존 로즈브로를 포수 파울플라이로 잡으며 위기를 넘겼다. 4회초 오리올스는 3회초부터 올라와있던 조 모엘러에게서 [[데이비 존슨]]의 선두타자 2루타가 나왔고, 이후 1사 1, 3루에서 [[루이스 아파리시오]]가 땅볼로 타점을 올렸다. 이후 다저스는 5회부터 밥 밀러와 [[론 페라노스키]]가 남은 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지만 오리올스의 [[모 드라보스키]]가 6.1이닝동안 탈삼진 11개를 잡아내는 압도적인 투구로 다저스의 타선을 무력화시키며 오리올스가 1차전을 승리했다. === 2차전 === ||<-2>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 '''구분''' ||<-2>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타순''' || '''{{{#005a9c 선수}}}''' || '''{{{#005a9c 포지션}}}''' || || [[루이스 아파리시오]] || [[유격수|SS]] || '''1''' || 모리 윌스 || [[유격수|SS]] || || [[커트 블레파리]] || [[좌익수|LF]] || '''2''' || [[짐 길리엄]] || [[3루수|3B]] || || [[프랭크 로빈슨]] || [[우익수|RF]] || '''3''' || 윌리 데이비스 || [[중견수|CF]] || || [[브룩스 로빈슨]] || [[3루수|3B]] || '''4''' || 론 페얼리 || [[우익수|RF]] || || [[부그 파웰]] || [[1루수|1B]] || '''5''' || 짐 레피버 || [[2루수|2B]] || || [[데이비 존슨]] || [[2루수|2B]] || '''6''' || [[루 존슨]] || [[좌익수|LF]] || || [[폴 블레어]] || [[중견수|CF]] || '''7''' || 존 로즈브로 || [[포수|C]] || || [[앤디 에체바렌]] || [[포수|C]] || '''8''' || 웨스 파커 || [[1루수|1B]] || || [[짐 파머]] || [[투수|P]] || '''9''' || [[샌디 코팩스]] || [[투수|P]] || ||<-14> {{{#ffffff 1966년 10월 6일 [[다저 스타디움|{{{#ffffff 다저 스타디움}}}]]}}}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볼티모어 오리올스|{{{#ffffff BAL}}}]]''' || [[짐 파머]] || 0 || 0 || 0 || 0 || 3 || 1 || 0 || 2 || 0 || '''6''' || 8 || 0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LAD}}}]]''' || [[샌디 코팩스]]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4 || 6 || 승:[[짐 파머]](1승) 패:[[샌디 코팩스]](1패) [[짐 파머]]와 [[샌디 코팩스]]의 맞대결에서 먼저 기회를 잡은건 다저스였다. 2회말 다저스는 론 페얼리가 볼넷으로 걸어나갔고, 짐 레피버가 삼진으로 물러났지만 [[루 존슨]]이 2루타를 치며 1사 2, 3루의 기회를 잡았다. 그러나 존 로즈브로가 유격수 팝플라이로 허무하게 물러났고, 웨스 파커가 고의4구로 만루를 채웠지만 하필 투수 [[샌디 코팩스]]의 타석. 코팩스는 2루수 팝플라이로 물러났고, 이게 다저스의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가 되고 말았다. 한편 [[샌디 코팩스]]의 압도적인 투구에 꼼짝 못하던 오리올스 타선은 5회초부터 일어나기 시작했다. [[부그 파웰]]이 안타를 쳤으나 [[데이비 존슨]]의 번트 플라이로 1사 1루가 된 상황, 다음 타자 [[폴 블레어]]의 타구에 중견수 윌리 데이비스가 실책을 저지르며 2, 3루가 되었고, 다음 타자 [[앤디 에체바렌]]의 타구에 중견수 데이비스가 또 실책을 저지르며 2실점, 주자 3루가 되었다. [[루이스 아파리시오]]의 2루타로 한 점 더 뽑아낸 오리올스는 6회초에도 [[프랭크 로빈슨]]이 선두타자 3루타를 터트리고 [[부그 파웰]]의 안타로 4:0을 만든다. [[샌디 코팩스]]는 이후 [[데이비 존슨]]의 안타(우익수 실책으로 2, 3루)와 [[폴 블레어]]의 고의4구로 맞은 만루 위기를 [[앤디 에체바렌]]을 병살로 처리해 넘겼지만, 6이닝 4실점(1자책)이라는 코팩스답지 않은 투구를 하고 내려갔다.[* 그리고 이 경기는 [[샌디 코팩스]]의 커리어 마지막 경기가 되고 말았다.] 코팩스의 뒤를 이어 등판한 [[론 페라노스키]]는 7회초를 삼자범퇴로 넘겼지만 8회초 [[프랭크 로빈슨]]의 볼넷, [[브룩스 로빈슨]]의 안타, [[부그 파웰]]의 희생번트로 1사 2, 3루의 위기를 맞았고, 여기서 [[데이비 존슨]]의 타구에 송구실책을 저지르며 점수는 6:0까지 벌어진다. 이후 다저스는 [[필 리건]]과 [[짐 브루어]]가 8회와 9회를 각각 막았지만 오리올스의 [[짐 파머]]가 완봉승을 거두며 오리올스가 2연승에 성공하고 홈구장인 메모리얼 스타디움으로 향했다. 반면 다저스는 [[샌디 코팩스]]라는 최고의 카드를 내고도 수비가 무려 '''6개의 실책'''을 저지르며 자멸하고 말았다. === 3차전 === ||<-2>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구분''' ||<-2>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 || '''{{{#005a9c 선수}}}''' || '''{{{#005a9c 포지션}}}''' || '''타순'''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 모리 윌스 || [[유격수|SS]] || '''1''' || [[루이스 아파리시오]] || [[유격수|SS]] || || 웨스 파커 || [[1루수|1B]] || '''2''' || [[커트 블레파리]] || [[좌익수|LF]] || || 윌리 데이비스 || [[중견수|CF]] || '''3''' || [[프랭크 로빈슨]] || [[우익수|RF]] || || 론 페얼리 || [[우익수|RF]] || '''4''' || [[브룩스 로빈슨]] || [[3루수|3B]] || || 짐 레피버 || [[2루수|2B]] || '''5''' || [[부그 파웰]] || [[1루수|1B]] || || [[루 존슨]] || [[좌익수|LF]] || '''6''' || [[데이비 존슨]] || [[2루수|2B]] || || 존 로즈브로 || [[포수|C]] || '''7''' || [[폴 블레어]] || [[중견수|CF]] || || 존 케네디 || [[3루수|3B]] || '''8''' || [[앤디 에체바렌]] || [[포수|C]] || || [[클로드 오스틴]] || [[투수|P]] || '''9''' || [[월리 벙커]] || [[투수|P]] || ||<-14> {{{#ffffff 1966년 10월 8일 메모리얼 스타디움}}}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LAD}}}]]''' || [[클로드 오스틴]]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6 || 0 || || '''[[볼티모어 오리올스|{{{#ffffff BAL}}}]]''' || [[월리 벙커]] || 0 || 0 || 0 || 0 || 1 || 0 || 0 || 0 || - || '''1''' || 3 || 0 || 승:[[월리 벙커]](1승) 패:[[클로드 오스틴]](1패) 5회말 2사에서 [[폴 블레어]]의 뜬금포가 터졌고, 이게 결승점이 되어 그대로 오리올스가 0:1로 승리했다. 다저스 선발 [[클로드 오스틴]]은 7이닝동안 단 한번도 오리올스에게 득점권 찬스를 제공하지 않는 굉장한 투구를 펼쳤고, [[필 리건]] 역시 8회말을 삼자범퇴로 막았지만 오리올스의 선발 [[월리 벙커]]의 완봉승으로 시리즈 3패를 당하며 수세에 몰리게되었다. === 4차전 === ||<-2>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구분''' ||<-2> '''{{{#ffffff 볼티모어 오리올스}}}''' || || '''{{{#005a9c 선수}}}''' || '''{{{#005a9c 포지션}}}''' || '''타순''' || '''{{{#ffffff 선수}}}''' || '''{{{#ffffff 포지션}}}''' || || 모리 윌스 || [[유격수|SS]] || '''1''' || [[루이스 아파리시오]] || [[유격수|SS]] || || 윌리 데이비스 || [[중견수|CF]] || '''2''' || [[러스 스나이더]] || [[중견수|CF]] || || [[루 존슨]] || [[우익수|RF]] || '''3''' || [[프랭크 로빈슨]] || [[우익수|RF]] || || 토미 데이비스 || [[좌익수|LF]] || '''4''' || [[브룩스 로빈슨]] || [[3루수|3B]] || || 짐 레피버 || [[2루수|2B]] || '''5''' || [[부그 파웰]] || [[1루수|1B]] || || 웨스 파커 || [[1루수|1B]] || '''6''' || [[커트 블레파리]] || [[좌익수|LF]] || || 존 로즈브로 || [[포수|C]] || '''7''' || [[데이비 존슨]] || [[2루수|2B]] || || 존 케네디 || [[3루수|3B]] || '''8''' || [[앤디 에체바렌]] || [[포수|C]] || || [[돈 드라이스데일]] || [[투수|P]] || '''9''' || [[데이브 맥널리]] || [[투수|P]] || ||<-14> {{{#ffffff 1966년 10월 9일 메모리얼 스타디움}}}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LAD}}}]]''' || [[돈 드라이스데일]]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4 || 0 || || '''[[볼티모어 오리올스|{{{#ffffff BAL}}}]]''' || [[데이브 맥널리]] || 0 || 0 || 0 || 1 || 0 || 0 || 0 || 0 || - || '''1''' || 4 || 0 || 승:[[데이브 맥널리]](1승) 패:[[돈 드라이스데일]](2패) 실망스러웠던 1차전 선발들이 다시 나선 경기에서 경기의 결과는 3차전에 이어 또 다시 홈런 한 방으로 갈렸다. 이날 결승포의 주인공은 4회말 1사에서 홈런을 터트린 [[프랭크 로빈슨]]이었다. 다저스는 마지막 9회초, 대타 [[딕 스튜어트]]가 삼진으로 물러났지만 대타 [[알 페라라]]의 안타가 나오자 페라라를 대주자 네이트 올리버로 교체, 다음타자 모리 윌스의 볼넷으로 1, 2루를 만들며 기적을 꿈꿔봤지만 윌리 데이비스가 좌익수 직선타, [[루 존슨]]이 중견수 플라이로 아웃되었고, 그렇게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구단 역사상 첫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데이브 맥널리]]는 완봉승을 거두었고, [[돈 드라이스데일]]은 8이닝을 완투했으나 결국 타선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시리즈 2패째를 떠안고 말았다. 시리즈 MVP는 14타수 4안타 2홈런 3타점 2볼넷, 1차전과 4차전 결승홈런을 터트린 [[프랭크 로빈슨]]이 선정되었다. == 여담 == * 월드시리즈에서 패한 팀이 가장 최저 득점을 냈던 시리즈다.(2점) , 그리고 [[2016년 한국시리즈|50년 뒤 다른 곳에서 재현된다.]] [[분류:월드 시리즈]][[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분류:볼티모어 오리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