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시리즈 목록)] ---- ||<-5><#fff><:>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30]]]] [br] '''[[일본시리즈|{{{#FF2400 역대 일본시리즈 우승팀}}}]]''' || ||<:> [[1974년 일본시리즈|1974년]] [br] [[롯데 오리온즈]] ||<:> {{{+1 ←}}} ||<:><#fff> '''1975년 [br] [[한큐 브레이브스]]''' ||<:> {{{+1 →}}} ||<:> [[1976년 일본시리즈|1976년]] [br] [[한큐 브레이브스]]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logimg.goo.ne.jp/de2ae96c0cfebabd0d7f08c5564ecaa1.jpg|width=600]]}}} || ||||<:> '''{{{#000000 1975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맨 앞줄의 배번호 30은 [[우에다 토시하루]] 당시 감독이다.]|| ||||<:> [[한큐 브레이브스|'''{{{#ec1c24 한큐 브레이브스}}}''']] || ||<:> '''{{{#000000 MVP}}}''' || '''[[야마구치 타카시|{{{#000000 야마구치 타카시}}}]]''' || [목차] == 개요 == ||<-2>
<:> {{{+2 {{{#ffca18 '''NIPPON SERIES 1975'''}}}}}} || || [[파일:히로시마 카프 네이비 심볼.svg|width=140]] ||<:> [[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width=100]]||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0000 {{{+1 '''히로시마 도요 카프'''}}}}}}]] ||<:> [[오릭스 버팔로즈|{{{#000000 {{{+1 '''한큐 브레이브스'''}}}}}}]]|| [[1975년]] [[10월 25일]]부터 [[11월 2일]]까지 개최되었으며, 이 해 드디어 첫 리그 우승에 성공한 [[센트럴 리그]] 우승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 [[퍼시픽 리그]] 우승팀[* 당시 [[전후기 리그]]로 운영되던 [[퍼시픽리그]]에서 이 해 전기 우승을 달성. 그 뒤 플레이오프에서 당시 한큐 감독 [[우에다 토시하루]]의 전임 감독이었던 [[니시모토 유키오]] 지휘하에 구단 창단 후 최초로 후기 우승을 달성한 [[킨테츠 버팔로즈]]를 누르고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참고로 이 해 리그 승률 1위가 바로 [[킨테츠 버팔로즈]]였고 [[한큐 브레이브스]]는 8경기차 2위였다. '''근데 이건 반대로 말하자면 만약 전후기리그가 아닌 평범한 페넌트레이스 제도로 운영했을 시 킨테츠 버팔로즈가 [[1979년]]보다 4년 먼저 첫 리그 우승을 결정지었을 거란 것이다(...)''' 킨테츠의 암울함을 보여주는 또다른 예시. 단 이 시즌 한큐는 전기 1위(.603)/'''후기 6위(.433)'''를 기록했다. 어떻게 보면 전기 우승, 그러니까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미 확정지었기 때문에 후기리그를 설렁설렁 뛰었다고 볼 수도 있다.] [[한큐 브레이브스]]가 맞붙어, [[한큐 브레이브스]]가 4승 2무로 히로시마를 압살하며 과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게 5번 나간 [[일본시리즈]]에서 전부 우승을 내줘야 했던 가슴아픈 흑역사'''를 극복[* 참고로 이 1975년에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구단 사상 처음으로 리그 꼴찌를 기록했다(...) 거기다 이 해 10월 15일엔 홈구장 [[고라쿠엔 구장]]에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게 첫 리그 우승을 허용했다(...) 양팀 팬들 입장에선 아주 통쾌했던 상황.]하고 첫 [[일본시리즈]] 우승에 성공했다. 덤으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 구단 사상 최초의 [[일본시리즈]]였으며 마찬가지로 [[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 처음으로 열린 일본시리즈였다. == 경기결과 == 홀수 해이기 때문에 이 해 [[일본시리즈]]는 [[퍼시픽 리그]] 구단인 [[한큐 브레이브스]]가 [[홈 어드밴티지]]를 가졌다. === 1차전 : [[10월 25일]],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R''' || || '''[[히로시마 카프|히로시마]]''' || 1 || 0 || 0 || 0 || 1 || 0 || 0 || 1 || 0 || 0 || 0 || '''3''' || || '''[[한큐 브레이브스|한큐]]''' || 3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1회 초 [[히로시마]]의 [[게일 홉킨스]]가 중전안타로 선제점을 따내는데 성공하나, 곧바로 1회 말 [[한큐]]의 [[오오쿠마 타타요시]]가 동점 홈런을 터뜨리고 뒤이어 [[바비 마르카노]]가 2점 홈런을 터뜨리면서 한큐가 역전에 성공. 2점 우세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5회 초 [[히로시마]]의 [[미무라 토시유키]]가 [[희생 플라이]]로 1점을 만회, 뒤이어 8회 초 [[게일 홉킨스]]의 좌월 2루타에 뒤이어 [[야마모토 코지]]가 우월 3루타를 때리면서 동점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 뒤로 양측 전혀 점수를 내지 못하면서 연장 11회까지 계속된 끝에 [[무승부]]로 경기 종료. 양측 모두 1승을 따지 못한 채 2차전으로 가게 되었다. 이 날 경기시간은 4시간 29분으로, 이 해 일본시리즈 1차전은 '''[[일본시리즈]] 최초의 4시간 경과시합''' 기록을 획득함과 동시에 시리즈 최장 경기시간을 [[1966년]] 이래[* 당시 일본시리즈 5차전이 가지고 있던 최장 경기시간인 3시간 50분을 갱신했다.] 9년만에 갱신했다..지만 '''일주일도 채 안 지나''' 하단에 나오다시피 4차전에서 이 기록을 또 갱신해버린다. === 2차전 : [[10월 26일]],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 '''[[히로시마 카프|히로시마]]''' || 0 || 0 || 0 || 0 || 0 || 0 || 0 || 1 || 0 || '''1''' || || '''[[한큐 브레이브스|한큐]]''' || 1 || 0 || 0 || 0 || 4 || 0 || 0 || 0 || X || '''5''' || * 승리투수 : [[야마다 히사시]](한큐, 1승) * 패전투수 : 사에키 카즈시(히로시마, 1패) 이번엔 [[한큐]]가 1회 말부터 [[나가이케 토쿠지]]의 중전안타로 선제점을 얻는데 성공한다. 이 후 1점 차의 팽팽한 상태로 4회까지 경기가 진행되었으나, 5회 말 [[한큐]]가 [[후쿠모토 유타카]]의 좌측 2루타, [[오오쿠마 타다요시]]의 우전안타, [[보비 마르카노]]의 우전안타로 4점을 얻으며 크게 앞서나갔다. [[히로시마]]는 8회 말 [[릿치 셰인블럼]]의 우월 홈런으로 겨우 점수를 따냈으나, 이 이상 점수를 내지 못하면서 결국 [[한큐]]가 1승을 먼저 얻게 된다. [[야마다 히사시]]가 완투승을 차지한 건 덤. === 3차전 : [[10월 28일]], [[히로시마 시민 구장]]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 '''[[한큐 브레이브스|한큐]]''' || 0 || 3 || 1 || 0 || 0 || 0 || 0 || 0 || 3 || '''7''' || || '''[[히로시마 카프|히로시마]]''' || 0 || 0 || 0 || 0 || 0 || 2 || 2 || 0 || 0 || '''4''' || * 승리투수 : 야마구치 타카시(한큐, 1승) * 패전투수 : 미야모토 유키노부(히로시마, 1패) [[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 최초로 열리는 [[일본시리즈]]의 3차전. [[한큐]]가 2회 초 [[후쿠모토 유타카]], [[오오쿠마 타다요시]], [[카토 히데지]]의 3타자 연속 안타로 3점을 얻으며 크게 앞서나갔고, 3회 초 [[오오하시 유타카]]의 3루 쪽으로 향하는 2루타로 또다시 1점을 얻으며 4점이나 앞서는 유리한 상황이 되었다. 그러나 6회 말, [[히로시마]]가 [[야마모토 코지]]의 2점 홈런으로 점수차를 2점으로 줄이고 이어 7회 말 [[미무라 토시유키]]의 좌전 안타로 2점을 얻으며 동점에 성공한다. 다만 이럼에도 불구하고 [[한큐]]는 4실점을 하며 동점을 만들어버린 선발투수 [[야마구치 타카시]]를 속투시키는 쪽을 선택하였는데, 이 배려(?) 덕택에 야마구치는 시리즈 1승에 성공하게 된다. 9회 초, [[한큐]]가 [[나카자와 신지]]의 2점 홈런, [[오오하시 유타카]]의 솔로 홈런으로 3점을 획득하며 다시 우세에 성공한 것. 그리고 9회 말 야마구치는 [[볼넷]] 1개만 내주며 완투승에 성공. 한큐가 2승으로 앞서나가게 된다. 그 후 다음날인 10월 29일에 4차전이 열릴 예정이었으나, 우천으로 인해 경기가 하루 연기되었다. === 4차전 : [[10월 30일]], [[히로시마 시민 구장]]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R''' || || '''[[한큐 브레이브스|한큐]]''' || 0 || 1 || 0 || 0 || 0 || 0 || 2 || 0 || 0 || 0 || 0 || 0 || 1 || '''4''' || || '''[[히로시마 카프|히로시마]]''' || 0 || 2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4''' || 우천으로 인해 [[10월 29일]]에서 하루 연기된 [[일본시리즈]] 4차전. 이번에도 [[한큐]]가 2회 초 [[모리모토 키요시]]의 솔로 홈런으로 선제점 획득에 성공한다. 하지만 곧바로 2회 말, [[히로시마]]가 [[야마모토 코지]], [[야마모토 카즈요시]]의 솔로 홈런으로 역전에 성공. 뒤이어 3회 말에도 [[야마모토 코지]]가 좌전안타로 또다시 1점을 따내면서 [[히로시마]]가 2점 앞서나가는 상황이 된다. 그러나 7회 초, [[카토 히데지]]의 1루쪽 희생땅볼에 뒤이어 [[나가이케 토쿠지]]의 좌전안타로 [[한큐]]가 2점을 얻으며 동점에 성공한다. 하지만 이 뒤로 연장 12회가 되도록 양팀 다 점수를 따내지 못하다가 연장 13회 초, 7회부터 구원등판한 투수 [[야마구치 타카시]]가 좌전안타로 1점을 따내면서 [[한큐]]가 재역전에 성공한다. 13회 말이 되자, [[한큐]]는 [[야마구치 타카시]]를 2차전처럼 속투시키는 길을 선택했는데.. 이번엔 그 방법이 통하지 않았다. 13회 말, [[야마구치 타카시]]가 2사 만루지만 [[아웃]]카운트 1개만 더 잡으면 [[한큐]]가 2승을 챙기는 상황에서 [[대타]] [[사노 요시유키]]에게 동점 중전안타를 허용하며 [[블론세이브]]를 저지르고 만 것(...) 하지만 중견수 [[후쿠모토 유타카]]가 2루주자를 홈에서 잡아내면서 역전까지는 가지 않았고, 결국 이렇게 4-4 무승부로 끝나면서 한큐는 2승 2무, 히로시마는 2무 2패가 된다. 이 날 경기 진행시간은 무려 4시간 49분으로, '''2차전에서 세운 최고기록을 또다시 갱신해 버렸다(...)''' 이 기록은 [[2010년 일본시리즈]] 6차전(5시간 43분) 개최 이전까지 역대 [[일본시리즈]] 최장 경기 진행시간으로 남게 된다. 덤으로 [[일본시리즈]] 최초로 [[무승부]]가 복수(2전 이상) 기록된 시리즈가 되었으며, 이 복수 무승부 기록은 현재까지 [[1975년 일본시리즈]]가 혼자 가지고 있다. === 5차전 : [[10월 31일]], [[히로시마 시민 구장]]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 '''[[한큐 브레이브스|한큐]]''' || 0 || 0 || 1 || 1 || 0 || 0 || 0 || 0 || 0 || '''2''' || || '''[[히로시마 카프|히로시마]]''' || 0 || 1 || 0 || 0 || 0 || 0 || 0 || 0 || 0 || '''1''' || * 승리투수 : [[야마다 히사시]](한큐, 2승) * 패전투수 : 사에키 카즈시(히로시마, 2패) * 세이브 : 야마구치 타카시(한큐, 1승 1세이브) 이번엔 [[히로시마]]가 2회 말 [[기누가사 사치오]]의 솔로 홈런으로 선제점을 얻는데 성공한다다. 하지만 뒤이어 3회 초 [[한큐]]가 [[오오쿠마 타다요시]]의 2루 쪽 안타로 동점에 성공, 뒤이어 4회 초에 [[오오하시 유타카]]가 투수 쪽 희생타로 1점을 따내며 한큐가 역전에 성공. 이후 양측 다 점수를 내지 못하면서 그대로 한큐가 3승을 획득. 1승만 더하면 바라고 바라던 첫 [[일본시리즈]] 우승을 얻는 상황이 된다. === 6차전 : [[11월 2일]],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 '''[[히로시마 카프|히로시마]]''' || 0 || 2 || 0 || 0 || 0 || 0 || 0 || 1 || 0 || '''3''' || || '''[[한큐 브레이브스|한큐]]''' || 0 || 1 || 0 || 5 || 0 || 0 || 0 || 1 || X || '''7''' || * 승리투수 : 토다 요시노리(한큐, 1승) * 패전투수 : 이케가야 코지로(히로시마, 1패) * 세이브 : 야마구치 타카시(한큐, 1승 2세이브) [[히로시마]]가 2회 초 [[미치하라 히로유키]]의 좌전안타로 선제점 2점을 획득하며 [[한큐]]의 선발 [[아다치 미츠히로]]를 강판시키는 쾌거를 발휘한다. 그러나 2회 말, [[한큐]]의 [[바비 마르카노]]의 [[유격수]] 쪽 땅볼을 [[유격수]]로 선발 출장한 [[미무라 토시유키]]가 수비실책을 저지르며 출루를 허용하고 말았고, 뒤이어 [[오오하시 유타카]]가 좌전안타를 터뜨리며 1점을 만회한다. 그 후 4회 말, [[나카자와 신지]]의 2점 홈런, [[후쿠모토 유타카]]의 1점짜리 우측 2루타, [[카토 히데지]]의 2점짜리 투수 쪽 안타로 [[한큐]]가 5점을 대량득점하며 역전에 성공한다. [[히로시마]]는 8회 초 [[게일 홉킨스]]가 솔로홈런을 터뜨리며 점수차를 3점으로 줄였지만, 바로 8회 말 또 다시 5회부터 등판한 [[한큐]]의 구원투수 [[야마구치 타카시]]가 좌월 안타로 또다시 1점을 얻으며 사실상 [[한큐]]의 우승으로 경기가 기울어졌으며, 결국 9회 초 히로시마가 득점에 실패하면서.. '''[[한큐 브레이브스]]가 6번의 도전 끝에 드디어 첫 [[일본시리즈]] 우승을 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단 각주에 나오다시피 이해 [[한큐 브레이브스]]의 페넌트레이스 순위 자체는 2위였기에, [[한큐 브레이브스]]는 최초의 페넌트레이스 1위가 아닌 [[일본시리즈]] 우승팀이 되었다.[* 페넌트레이스 1위가 아닌 팀이 [[일본시리즈]]에 진출한 사례는 1973년의 [[난카이 호크스]](3위)가 최초다.] == 타이틀 시상 == * 최우수선수([[MVP]]) : 야마구치 타카시([[한큐 브레이브스]]) * 감투상 : [[야마모토 코지]]([[히로시마 도요 카프]]) * 타격상 : 오오하시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 * 최우수투수 : [[야마다 히사시]]([[한큐 브레이브스]]) * 기능상 : [[후쿠모토 유타카]]([[한큐 브레이브스]]) * 우수선수 : 나카자와 신지([[한큐 브레이브스]]), 소토코바 요시로([[히로시마 도요 카프]])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오릭스 버팔로즈)] == 기타 == * 만약 이 해 [[일본시리즈]]에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가 우승했을 경우, 카프의 모기업인 [[마쓰다주식회사|도요 공업]]에서 자사 [[자동차]]를 최우수상으로, [[토요타]] 쪽에서 상금을 줄 예정이었으나, [[한큐 브레이브스]]가 우승하면서 [[토요타]]의 [[자동차]]를 상으로 주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한큐 브레이브스]]가 유일하게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에서 [[일본시리즈]] 우승기를 들어올린 시리즈이다. 이후 한큐 시대의 일본시리즈 우승기는 전부 당시 상대팀이었던 ~~과거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 시절 자신들을 5번이나 조져댄 웬쑤~~[[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고라쿠엔 구장]]에서 들어올려야 했다. * 2차전 당시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마지막 투수로 등판했던 [[와코 토모오]]는 과거 [[한신 타이거스]]에서 뛰던 시기인 [[1964년 일본시리즈]] 6차전에서 [[패전처리 투수]]로 등판한 이후 무려 11년 만에 [[일본시리즈]] 등판을 이뤘다. 이 11년간의 공백기 이후 [[일본시리즈]] 재등판은 역대 최장기 기록이다. * 사실 이 해 일본시리즈는 규칙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었는데, 당시 일본시리즈 개최조건은 '''관객수용량이 3만명 이상이고 야간경기 시설을 갖춘 구장'''이었다. 그러나 [[히로시마 시민 구장]]은 당시 관객수용량이 24,500명에 그쳐서 본래대로라면 일본시리즈가 개최될 수가 없었으나, 이 해 일본시리즈에서 히로시마 측의 홈경기는 페넌트레이스 때처럼 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 치뤘다. 아무래도 일단 야간경기와 올스타전 개최가 가능할 정도의 최신 시설은 어느 정도 갖춘 데다, 당시 [[히로시마]] 현에 이 구장보다 큰 야구장이 없었기 때문인 것 같다. * 2021년 현재까지 유일하게 무승부 경기가 두 번 나온 시리즈이다. [[분류:일본시리즈]][[분류:오릭스 버팔로즈]][[분류:히로시마 도요 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