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시리즈 목록)] ---- ||<-5><#fff><:>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30]]]] [br] '''[[일본시리즈|{{{#FF2400 역대 일본시리즈 우승팀}}}]]''' || ||<:> [[1978년 일본시리즈|1978년]] [br] [[야쿠르트 스왈로즈]] ||<:> {{{+1 ←}}} ||<:><#fff> '''1979년 [br] [[히로시마 도요 카프]]''' ||<:> {{{+1 →}}} ||<:> [[1980년 일본시리즈|1980년]] [br] [[히로시마 도요 카프]]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love.ap.teacup.com/1468899822.jpg|width=600]]}}} || ||||<:><#87CEEB> '''{{{#ff0000 1979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ff0000>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 || ||<:> '''{{{#ff0000 MVP}}}''' || '''[[타카하시 요시히코|{{{#ff0000 타카하시 요시히코}}}]]''' || [목차] == 개요 == ||<-2>
<:> {{{+2 {{{#ffca18 '''NIPPON SERIES 1979'''}}}}}} || || [[파일:히로시마 카프 네이비 심볼.svg|width=140]] ||<:> [[파일:킨테츠 버팔로즈 네이비 로고.svg|width=100]]||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0000 {{{+1 '''히로시마 도요 카프'''}}}}}}]] ||<:>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1 '''킨테츠 버팔로즈'''}}}}}}]]|| 1979년 시즌 [[센트럴리그]] 우승팀인 [[히로시마 카프]]와 [[퍼시픽리그]] 우승팀 [[킨테츠 버팔로즈]]가 맞붙은 [[일본시리즈]] 역사적인 명승부. 그 해 일본시리즈 6차전까지 3승 3패로 팽팽하게 맞서던 상황에서 7차전 9회말에 히로시마의 [[마무리 투수]]이던 '''[[에나츠 유타카]]'''가 상대방의 스퀴즈 작전을 간파하고 멋지게 저지하며 팀의 창단 첫 일본시리즈 우승을 실현시킨 일명 '''에나츠의 21구'''는 [[NPB|일본프로야구]] 역사에 길이 남을 명 장면 중 하나이다. 당시 에나츠의 활약을 소설가인 야마기와 준지(1948~1995)가 논픽션 소설로 엮으면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 1~6차전 결과 == === 1차전 : 10월 27일, [[오사카 구장]] === ||
<-30>
'''1979.10.27(土) 13:00 | [[오사카 구장|{{{#ffffff 오사카 구장}}}]]''' : '''25,121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広島}}}]]''' || [[키타벳푸 마나부]] || 0 || 1 || 0 || 0 || 0 || 0 || 0 || 0 || 1 || '''2''' || 4 || 1 || ||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近鉄}}}]]''' || 이모토 타카시 || 2 || 0 || 0 || 1 || 0 || 2 || 0 || 0 || X || '''5''' || 7 || 0 || * 승리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252b; font-size: 0.8em"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2 近鉄}}}}}}]]}}} 이모토 타카시(1승) * 패전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키타벳푸 마나부]](1패) 1회말 히로시마의 [[유격수]] [[타카하시 요시히코]]의 실책을 시작으로 만든 2사 만루 찬스에서 '''하타 코이치'''의 중전 적시타로 킨테츠가 2점을 선취했고, 2회초에 히로시마는 바로 1점을 따라 붙었지만 4회말, 6회말에 킨테츠가 3점을 뽑으며 5-1로 달아났다. 히로시마는 9회초에 1점을 만회 하였지만 승부를 뒤집지 못하면서 선발 이모토가 완투한 킨테츠가 먼저 1승을 거두었다. === 2차전 : 10월 28일, [[오사카 구장]] === ||
<-30>
'''1979.10.28(日) 13:00 | [[오사카 구장|{{{#ffffff 오사카 구장}}}]]''' : '''27,848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広島}}}]]''' || 야마네 카즈오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6 || 2 || ||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近鉄}}}]]''' || [[스즈키 케이시]] || 0 || 0 || 0 || 0 || 0 || 0 || 4 || 0 || X || '''4''' || 4 || 0 || * 승리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252b; font-size: 0.8em"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2 近鉄}}}}}}]]}}} [[스즈키 케이시]](1승) * 패전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야마네 카즈오(1패) 양 팀이 7회까지 숨막히는 투수전을 전개했고, 특히 히로시마의 선발 야마네가 5회까지 킨테츠 타선을 퍼펙트로 틀어 막았지만 정작 히로시마 타선이 3~5회 연속으로 번트 작전 실패에 [[병살타]]가 이어지는 통에 다소 맥이 빠진 상태였다. 반격에 나선 킨테츠가 7회말 대타 '''크리스 아놀드'''의 중견수 [[희생플라이]], '''하타 코이치'''의 중전 적시타, '''아리타 슈조'''의 투런 [[홈런]]을 묶어 대거 4점을 뽑아냈고, 선발 [[스즈키 케이시]]가 완봉으로 경기를 매조지면서[* 킨테츠로선 전날에 이어 두 게임 연속 완투승 이었다.] 킨테츠는 홈에서 2승을 거두며 기분 좋게 적지 [[히로시마시|히로시마]]로 이동할 수 있었다. 반면 2연패를 당한 히로시마는 침체된 분위기에서 홈 3연전에 돌입해야 했다. === 3차전 : 10월 30일, [[히로시마 시민 구장]] === ||
<-30>
'''1979.10.30(火) 13:00 | [[히로시마 시민 구장|{{{#ffffff 히로시마 시민 구장}}}]]''' : '''29,032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近鉄}}}]]''' || 무라타 타츠미 || 2 || 0 || 0 || 0 || 0 || 0 || 0 || 0 || 0 || '''2''' || 6 || 0 ||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広島}}}]]''' || 이케가야 코지로 || 0 || 1 || 0 || 0 || 0 || 0 || 2 || 0 || X || '''3''' || 7 || 0 || * 승리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이케가야 코지로(1승) * 패전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252b; font-size: 0.8em"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2 近鉄}}}}}}]]}}} 야나기다 유타카(1패) * 세이브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에나츠 유타카]](히로시마, 1세이브)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었던 히로시마는 시리즈 들어 부진에 늪에 빠진 [[기누가사 사치오]]와 [[외국인 선수]] '''애드리언 개럿'''을 선발에서 빼는 초강수를 뒀지만, 1회초부터 킨테츠에 [[밀어내기(야구)|밀어내기]] 볼넷과 내야 땅볼로 2점을 허용하며 경기를 어렵게 시작했다. 그러나 히로시마는 2회말 '''미즈타니 지츠오'''의 솔로 홈런과 선발 투수 이케가야의 호투로 반격을 시작했고, 결국 7회말 1사 1, 3루 상황에서 대타 '''우치다 준조'''의 동점타, 경기 중반 교체출장한 '''애드리언 개럿'''이 역전 적시타를 날리며 3대 2 역전에 성공했다. 히로시마는 8회부터 구원 등판한 [[에나츠 유타카]]가 2이닝을 틀어막으며 시리즈 첫 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이 승리는 히로시마 창단 후 일본시리즈 에서 거둔 최초의 승리였다. 구단 사상 처음으로 진출한 [[1975년 일본시리즈]]에선 단 1승도 거두지 못한 채 [[한큐 브레이브스]]에 2무 4패로 패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리즈 전적은 여전히 킨테츠가 2승 1패로 앞서고 있었다. === 4차전 : 10월 31일, [[히로시마 시민 구장]] === ||
<-30>
'''1979.10.31(水) 13:00 | [[히로시마 시민 구장|{{{#ffffff 히로시마 시민 구장}}}]]''' : '''29,057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近鉄}}}]]''' || 이모토 타카시 || 0 || 0 || 2 || 0 || 0 || 0 || 0 || 0 || 1 || '''3''' || 6 || 2 ||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広島}}}]]''' || [[장명부|후쿠시 아키오]] || 0 || 0 || 0 || 3 || 0 || 0 || 2 || 0 || X || '''5''' || 7 || 0 || * 승리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장명부|후쿠시 아키오]](1승) * 패전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252b; font-size: 0.8em"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2 近鉄}}}}}}]]}}} 이모토 타카시(1승 1패) 킨테츠는 1차전 승리 투수인 이모토를, 히로시마는 [[장명부|후쿠시 아키오]]를 선발 투수로 등판 시켰다. 3회초 [[찰리 매뉴얼]]이 후쿠시를 상대로 투런 홈런을 날리며 킨테츠가 선제점을 뽑았지만, 4회말 무사 1, 3루 상황에서 [[야마모토 코지]]의 얕은 외야 플라이를 잡은 우익수 매뉴얼의 홈 송구가 빗나가며 1점을 허용하고 그 사이에 1루 주자가 2루로 진루한 것에 이어 후속 타자 '''미즈타니 지츠오'''가 자신의 시리즈 두번째 홈런을 뽑으며 히로시마는 3대 2 역전. 그리고 7회말에 [[타카하시 요시히코]]의 쐐기 투런 홈런이 터지며 9회초 '''아리타 슈조'''의 솔로포로 1점을 만회한 킨테츠를 5대 3으로 누르고 드디어 시리즈 전적은 2승 2패 동률이 되었다. 이날 히로시마의 선발 [[장명부|후쿠시 아키오]]는 완투승으로 마운드에서 큰 공을 세웠다. === 5차전 : 11월 1일, [[히로시마 시민 구장]] === ||
<-30>
'''1979.11.01(木) 13:00 | [[히로시마 시민 구장|{{{#ffffff 히로시마 시민 구장}}}]]''' : '''29,090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近鉄}}}]]''' || [[스즈키 케이시]]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 ||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広島}}}]]''' || 야마네 카즈오 || 0 || 0 || 0 || 0 || 0 || 1 || 0 || 0 || X || '''1''' || 7 || 0 || * 승리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야마네 카즈오(1승 1패) * 패전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252b; font-size: 0.8em"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2 近鉄}}}}}}]]}}} [[스즈키 케이시]](1승 1패) 2차전에 선발로 맞대결 했던 스즈키와 야마네가 재격돌했다. 2차전과 같이 투수전으로 일관하던 이날의 승부는 6회말에 명암이 갈렸다. 선두 타자인 투수 야마네가 [[답답해서 내가 친다|중전 안타로 출루하며]] 만들어진 2사 2루의 찬스에서 [[미무라 토시유키]]가 우측 담장 쪽으로 큼지막한 타구를 날렸고, 우익수 [[찰리 매뉴얼]]이 열심히 쫓아가 보았지만 타구는 우월 2루타가 되면서 2루 주자 야마네가 홈을 밟은 것이 그날의 결승점이 되었다. 결승 득점을 올린 야마네는 마운드에서도 킨테츠 타선을 2안타로 틀어막으며 완봉승, 2차전의 패배를 톡톡히 앙갚음 했다. 그리고 3연승을 올린 히로시마는 시리즈 전적 3승 2패로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다. === 6차전 : 11월 3일, [[오사카 구장]] === ||
<-30>
'''1979.11.03(土) 13:00 | [[오사카 구장|{{{#ffffff 오사카 구장}}}]]''' : '''27,813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広島}}}]]''' || 이케가야 코지로 || 1 || 0 || 0 || 0 || 0 || 0 || 0 || 0 || 1 || '''2''' || 6 || 0 || ||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近鉄}}}]]''' || 이모토 타카시 || 0 || 1 || 3 || 1 || 0 || 1 || 0 || 0 || X || '''6''' || 9 || 0 || * 승리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252b; font-size: 0.8em"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2 近鉄}}}}}}]]}}} 이모토 타카시(2승 1패) * 패전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이케가야 코지로(1승 1패) 2승을 먼저 따놓고 3연패를 당한 채 홈구장으로 돌아온 킨테츠, 그리고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으로서는 절대로 질 수 없는 6차전 이었다. 4차전에 등판했다가 KO당한 이모토가 이틀만에 선발 등판을 자청했고, 히로시마는 3차전 승리투수인 이케가야를 내보냈다. 킨테츠 선발 이모토가 1회초 [[미무라 토시유키]] 에게 우월 솔로포를 허용하며 불안한 출발을 보였으나, 2회말 1사 1, 3루 상황에서 '''히라노 미츠야스'''가 1루 땅볼로 동점을 만들고 3회말 [[찰리 매뉴얼]]의 적시타와 [[나시다 마사타카]]의 투런포를 묶어 3득점, 4회말 히라노의 1타점 [[희생플라이]]로 5대 1, 전세를 뒤집었다. 6회말에도 킨테츠는 히라노의 스퀴즈 번트로 1점을 추가하여 6대 1로 달아났으며 9회초 히로시마는 [[야마모토 코지]]의 홈런으로 1점을 뽑았지만 승부에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이모토가 완투승을 거둔 킨테츠가 6차전을 6대 2로 가져가면서 전적은 3승 3패, 이제 1979년 일본시리즈 패권의 향방은 7차전 결과로 갈리게 되었다. == 운명의 일본시리즈 7차전 : 11월 4일, [[오사카 구장]] == 다음 날 [[오사카]] 구장에서 열린 일본시리즈 7차전. 5차전에서 맞붙었던 킨테츠의 [[스즈키 케이시]]와 히로시마의 야마네 카즈오 모두 이틀만 쉬고 선발로 마운드에 올랐다. 이번 시리즈 들어 세번째 맞대결 이었다. === 1회초~9회초 === 1회초 선두 타자인 [[타카하시 요시히코]]의 우전 안타성 타구를 우익수 [[찰리 매뉴얼]]이 뒤로 빠뜨리는 바람에 무사 3루의 위기를 자초했고, 오랫만에 스타팅 멤버로 복귀한 [[기누가사 사치오]]의 적시타로 선취 1득점을 뽑았다. 3회초 '''미즈타니 지츠오'''의 적시타로 1점을 추가하여 히로시마가 2대 0 리드를 잡았으나 5회말 히로시마 선발 야마네가 21타석 연속 무안타의 부진에 시달리던 킨테츠의 '''히라노 미츠야스''' 에게 불의의 좌월 투런포를 두들겨 맞고 2대 2 동점을 허용했다. 그러나 이어진 히로시마의 6회초 공격에서 2사 후 '''하기와라 야스히로'''가 안타로 출루한 후 '''미즈누마 시로'''가 다시 전세를 뒤집는 좌월 2점 [[홈런]]을 뽑아내며 4대 2로 다시 앞서나갔다. 킨테츠는 6회말에 1사 2, 3루의 기회를 잡았지만 '''하타 코이치'''의 3루 땅볼로 3루 주자가 홈을 밟으며 1점을 얻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4대 3으로 앞서고 있던 히로시마의 [[고바 타케시]] 감독은 승리를 굳히고자 6회말에 등판하여 1이닝 1실점 한 [[장명부|후쿠시 아키오]] 대신 [[마무리 투수]]인 '''[[에나츠 유타카]]'''를 마운드에 올리는 초 강수를 두었다. 에나츠는 7, 8회 킨테츠의 공격을 잘 막아내었지만... === 9회말, '''에나츠의 21구'''[anchor(에나츠의 21구)] === 킨테츠의 9회말 정규이닝 마지막 공격, 마운드에 오른 에나츠는 선두타자 '''하타 코이치'''에게 초구부터 중전 안타를 얻어맞으며 조금씩 불안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고 급기야 후속타자 '''크리스 아놀드''' 타석 때 대주자인 '''후지세 시로'''[* 주로 [[대주자]]로만 출장했지만 통산 105[[도루]]를 기록, 201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스즈키 타카히로'''가 갱신하기 전까지 대주자 전문 선수 통산 최다 도루 기록 보유자였다. [[일본프로야구]] 판 [[강명구]]로 봐도 좋을 것이다. 1984년 은퇴 후 1995년 까지 킨테츠의 주루 코치로 재임했으며, 1996년엔 프런트로 전업하여 구단 관리부장 까지 올라갔지만 2004년 시즌을 끝으로 킨테츠가 [[오릭스 버팔로즈]]로 흡수통합 되자 사표를 제출했다. 현재는 모교인 오사카 체육대학 산하 나미쇼 학원의 운동부 강화 센터장으로 재직 중.]가 2루 도루[* 니시모토 감독이 생전에 회고한 바에 따르면 '''히트앤드런''' 사인을 냈는데 에나츠의 피칭이 볼이 되고, 아놀드가 스윙하지 않는 바람에 단독 도루의 모양새가 나왔다고 한다.]를 시도하자 포수인 '''미즈누마 시로'''가 2루에 송구한다는 것이 유격수 앞에서 원바운드 되며 중견수 쪽으로 빠지는 사이에 후지세가 3루까지 질주하면서 무사 3루라는 위기가 찾아왔다. 어쩔수 없이 에나츠는 아놀드를 볼넷으로 거르며 무사 1, 3루. 8번 타자 '''히라노 미츠야스''' 타석 때 아놀드를 대신하여 1루 대주자로 나온 '''후키이시 토쿠이치'''가 2루 도루에 성공, 무사 2, 3루로 위기는 더 커졌고 [[고바 타케시]] 감독이 투수를 교체하려는 낌새를 보이자 에나츠는 불만스러운 표정을 지었다. 이를 눈치 챈 1루수 [[기누가사 사치오]]는 마운드로 올라가서 에나츠를 다독였다.[* 이 장면은 아래 [[유튜브|동영상]]의 1:55 부터.] >네 기분은 나도 잘 안다. >네가 강판당한다면 나도 더 이상 안 뛰고 그라운드에서 나올거야. >그런데 이 상황을 너 말고 정리할 녀석이 어디 있냐?! >아무 생각 말고 타자한테만 집중해. 힘내라! 흔들리던 에나츠는 [[기누가사 사치오|절친]]의 격려에 안정을 찾았고, 고바 감독도 투수 교체 의사를 철회하면서 에나츠에게 한번 더 기회를 주었다. 마음을 가다듬은 에나츠는 히라노까지 고의 사구를 내주며 무사 만루라는 [[배수진]]을 쳤고, [[콩라인]] 탈출 일보 직전에서 마음이 달아오른 킨테츠의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은 강타자 '''사사키 쿄스케'''[* 1978년 시즌 타격왕. 은퇴 후에 1996~1999년 [[킨테츠 버팔로즈]]의 감독으로 재임했고, [[주니치 드래곤즈]] 1군 수석 겸 타격 코치이던 2003년 시즌 도중 [[야마다 히사시]]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퇴진하자 감독 권한대행으로 잔여 시즌을 지휘하여 정규시즌 순위를 5위에서 2위로 올려놓는 수완을 발휘했지만, 이듬해 [[오치아이 히로미츠]]가 감독으로 취임하며 주니치에서 퇴단했다.]를 대타로 냈지만 에나츠는 사사키를 헛스윙 삼진으로 돌려세웠다.[* 여기서 킨테츠로서는 통한의 장면이 나왔는데, 카운트 1-1에서 에나츠가 던진 14번째 투구를 사사키가 잡아당겨 3루수 [[미무라 토시유키]]의 글러브를 스치며 외야 파울지역으로 날아가는 2루타성 타구를 만들었으나, 3루심이 타구가 미무라의 글러브를 스치지 않았다며 파울로 판정하면서 끝내기 안타가 물거품으로 돌아갔다.]그럼에도 여전히 1사 만루의 중대한 핀치였고, 오사카의 킨테츠 팬들은 끝내기 안타를 기대하며 한창 들끓고 있었다. 후속타자는 1번 '''이시와타 시게루'''. 에나츠는 몸쪽 커브로 초구 스트라이크를 잡았고, 2구를 던지려는 순간 '''3루 주자 후지세가 스타트를 끊고 이시와타는 스퀴즈 번트 자세로 돌아서자 에나츠는 순간 당황하였지만 바로 자세를 가다듬고 침착하게 공을 멀찌감치 피치아웃 시켰다. 벌떡 일어서서 포구한 포수 미즈누마는 거의 홈까지 와있던 후지세를 태그아웃 시키며 상황은 2사 2, 3루로 급변.'''[* 이 대목에서 흥미로운 점은 [[니시모토 유키오]]가 [[다이마이 오리온즈]] 감독 시절 처음으로 진출한 1960년 일본시리즈에서 [[다이요 훼일즈]]에게 밀려 준우승에 그친 가장 큰 원인이 2차전 때 스퀴즈 번트 실패였다는 것이다. 즉 니시모토는 스퀴즈 번트 무산으로 두 번이나 [[콩라인]] 탈출의 기회를 날려버린 셈...][* 에나츠가 훗날 술회하기를 1루주자의 눈빛이 유독 빛났고 시선이 불안정했다고 한다. 스퀴즈를 간파한 순간 커브볼 그립을 쥐고 있었고 그립을 순간적으로 바꿀수도 없었으며 투구를 멈추면 보크가 되기 때문에 최대한 회전을 죽여 포수에게 투구했으며 잡아만 달라는 심정이었다고 한다.] [[파일:external/blogimg.goo.ne.jp/7d1365e7f8bc8c6db54c0b8c4ed05563.jpg]] 스퀴즈 번트를 시도하는 이시와타 시게루. [[파일:external/blog-imgs-48-origin.fc2.com/197901.jpg]] 스퀴즈 번트 실패로 미즈누마 시로에게 아웃당하고 만 후지세 시로. ~~[[잡았다 요놈]]~~ 그래도 여전히 끝내기 찬스였지만 에나츠는 이시와타에게 몸쪽 떨어지는 커브를 던져 헛스윙 삼진으로 낚으며 한편의 드라마 같던 승부에 종지부를 찍고 미즈누마와 뜨거운 감격의 [[포옹]]을 나누었다. 히로시마의 창단 첫 일본시리즈 제패의 순간이었다.[* 1979년 일본시리즈는 히로시마나 킨테츠 모두 사상 첫 우승을 노리고 있었다. 더구나 킨테츠의 감독 [[니시모토 유키오]]는 리그 우승 경력은 화려했지만 정작 시리즈에선 준우승만 6번을 기록하고 있었던 바 누구보다도 7차전의 승리가 절실한 상황이었다. 결국 에나츠의 벽을 넘지 못한 니시모토는 이듬해인 1980년에도 지난해와 같이 [[히로시마 카프]]에게 시리즈 패권을 내주고 준우승에 그치며 [[콩라인]] 탈출에 실패한 채 1981년 시즌을 끝으로 영원히 그라운드를 떠났다(...).] [[파일:external/smtgvs.weathernews.jp/06_01_pc.jpg]] 7차전 종료 후 팀의 우승이 결정되면서 환호하는 [[투수]] [[에나츠 유타카]]와 [[포수]] 미즈누마 시로. 그리고 [[삼진(야구)|삼진]]으로 팀의 패배를 결정짓고 만 킨테츠의 마지막 타자 이시와타 시게루. [youtube(m1E4dTGyECM)] 일본야구사의 전설이 된 명장면의 실황 중계 영상[* 결정적인 스퀴즈 번트 실패 장면은 6:50 부터.] 9회말에 에나츠가 던진 공의 개수는 21개였고, 그래서 이날의 명승부가 '''"에나츠의 21구"'''로 명명된 것이다. ||
<-30>
'''1979.11.03(土) 13:00 | [[오사카 구장|{{{#ffffff 오사카 구장}}}]]''' : '''27,813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広島}}}]]''' || 야마네 카즈오 || 1 || 0 || 1 || 0 || 0 || 2 || 0 || 0 || 0 || '''4''' || 10 || 1 || ||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近鉄}}}]]''' || [[스즈키 케이시]] || 0 || 0 || 0 || 0 || 2 || 1 || 0 || 0 || 0 || '''3''' || 9 || 1 || * 승리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야마네 카즈오(히로시마, 2승 1패) * 패전투수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252b; font-size: 0.8em"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2 近鉄}}}}}}]]}}} 야나기다 유타카(킨테츠, 2패) * 세이브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에나츠 유타카]](히로시마, 2세이브) 이 해 일본시리즈 최우수선수상([[MVP]])는 시리즈 7경기에서 전부 안타를 치며 타율 0.444를 기록한 히로시마의 [[유격수]] '''[[타카하시 요시히코]]'''가 차지하였다. == 타이틀 시상 == * 최우수선수상([[MVP]])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타카하시 요시히코]] * 감투상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a252b; font-size: 0.8em"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2 近鉄}}}}}}]]}}} 이모토 타카시 * 최우수투수상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야마네 카즈오 * 기능상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미무라 토시유키]] * 우수선수상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8em" [[히로시마 도요 카프|{{{#ffffff {{{-2 広島}}}}}}]]}}} 미즈타니 지츠오 그리고 이듬해 일본시리즈부터 최우수투수상, 기능상, 우수선수상은 전부 우수선수상으로 통합되었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히로시마 도요 카프)] == 기타 == * 이 시리즈 당시 오사카에서 열린 킨테츠의 홈경기는 킨테츠의 메인 홈구장인 [[후지이데라 구장]]이 아니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난카이 호크스]]의 홈구장인 '''[[오사카 구장]]'''에서 개최되었다. 그 이유는 후지이데라 구장이 오사카 교외인 후지이데라 시의 [[리글리 필드|주택가 한가운데에 위치한 입지조건 때문에 야간경기를 할 경우 소음과 조명으로 인한 광공해로 생활에 지장을 받는다는 주변 주민들의 항의 때문에 조명탑을 설치할 수가 없어서 야간경기 개최가 불가했기 때문이었다.]][* 리글리 필드보다 더 문제인 건 리글리 필드는 주변 주민들의 항의를 핑계삼아 평일에도 낮경기를 하면서 조명탑 설치비용을 아끼는 꼼수를 부렸지만 후지이데라 구장은 돈들여서 조명탑까지 건설해놓고도 정작 주변 주민들의 항의로 조명시설을 설치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그 때문에 정규시즌 때 후지이데라 구장은 주말이나 휴일 낮 경기만 개최하고 야간 경기는 [[오사카]] [[모리노미야]]에 있는 [[일본생명구장]][*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생명보험]] 건설-소유의 야구장으로, 산하에 있던 [[사회인야구]]팀의 홈구장이었다. ~~프로팀이 자기네 홈구장을 쓸 수가 없어서 사회인 야구팀 홈구장을 빌려썼다는 얘기다.~~ 킨테츠가 1984년 다시 [[후지이데라 구장]]을 본격적으로 홈구장으로 쓰게 된 이후엔 제2홈구장으로 사용되다가 1996년을 끝으로 프로야구 경기 개최를 중단. 이후 1997년을 끝으로 철거했다. 여담으로 근처에 [[모리노미야역]]이 있었으며, 1996년 5월 9일 이 구장에서 마지막으로 열린 프로야구 경기인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VS [[킨테츠 버팔로즈]] 戰은 다이에가 2-3으로 역전패하면서 경기 종료 후 당시 다이에가 이날 경기까지 포함해 9승 22패로 3할이나 겨우 넘나드는 단독 최하위라는 것과 이날 패전으로 4연패에 빠진것에 빡친 [[오사카]]의 다이에 팬들이(당연히 [[오사카]]에 있었던 전신 [[난카이 호크스]] 팬들도 포함) 경기 종료 후 다이에 선수단 버스를 둘러싸고 날[[계란]]을 던지며 격하게 항의한 '''날달걀 사건(生卵事件)'''으로 유명하다.(...)]을 써야만 했다. 게다가 [[일본생명구장]]의 수용관중 수가 2만여명 밖에 안 되는 바람에 일본시리즈 개최요건(수용능력이 최소 3만명 이상)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일본시리즈]]에서 열리는 홈경기를 [[난카이 호크스|남의 팀]] [[오사카 구장|홈구장]]에서 열 수 밖에 없었다. [[후지이데라 구장]]에서 [[일본시리즈]]를 개최된 것은 [[1989년 일본시리즈]] 단 한 차례 이며 그 때는 [[일본시리즈]]가 전 경기 낮경기[* 심지어 평일 경기마저 낮경기로 치뤘다. 일본시리즈가 다시 야간경기로 환원된 것은 [[1994년 일본시리즈]]에 들어와서였다.]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그제서야 비로소 킨테츠는 자기 홈구장에서 [[일본시리즈]]를 개최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일본시리즈에서 킨테츠는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상대로 [[리버스 스윕|3연승 후 4연패로 역관광(...)]]이라는 저조한 기록을 세우며 눈물을 흘려야만 했다(...)''' 특히 일본시리즈 패전이 확정된 최종 7차전이 열린 곳이 바로 홈구장인 [[후지이데라 구장]]이었다. 결국 [[킨테츠 버팔로즈]]는 경영 악화로 2004년, 단 1번도 [[일본시리즈]] 우승을 이루지 못하고 [[오릭스 블루웨이브]]에게 합병당했다. 위와 같은 문제로 [[올스타전]]도 개최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홈구장으로 사용하게 된 1985년이 되어서야 겨우 첫 [[올스타전]]을 열 수 있었다. 그러나 이후 1989년 딱 1번 열린 후로는 역시나 개최를 안했다.(...) * 이날의 명승부를 본따서 [[마무리 투수]]들의 활약상에 따라 '''"OO의 OO구"'''로 자주 [[패러디]] 되곤 한다. 그 중에서 특히 유명한 것은 2009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 이글스]]의 클로저이던 '''후쿠모리 카즈오'''의 이른바 '''후쿠모리의 21구''', '''[[2021년 일본시리즈]] 1차전의 [[스캇 맥거프|맥거프]]의 21구'''와 2011년 일본시리즈 4차전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모리후쿠 마사히코]]'''가 기록한 '''모리후쿠의 11구'''. 그리고 이 둘의 활약은 '''이름의 순서만큼이나 극단적으로 대조'''를 이루었다. * 창단 후 최초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하여 스테이지 1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꺾고 스테이지 2에 진출, 한창 기세를 올리고 있던 라쿠텐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를 맞이한 1차전에서 9회초까지 8-4로 리드하고 있었다. 그러나 9회말에 마무리로 등판한 후쿠모리가 정확히 '''21번째 투구'''만에 터멜 슬레지에게 극적인 역전 끝내기 만루홈런을 두들겨 맞고 8-9로 대역전패(...). 결국 라쿠텐은 1차전의 충격을 극복하지 못하고 일본시리즈 문턱에서 주저앉고 말았다. 경기의 중요성과 극적 요소 등의 요소가 위의 에나츠의 사례 못지 않은데, 결과는 완전 정반대 였다는 점, 그리고 하필이면 투구수가 21개로 딱 맞아 떨어지는 바람에 후쿠모리의 이 구원 실패는 [[블론세이브|불쇼]]의 대명사로서 또다른 의미로 전설이 되고 말았다(...). * 그와는 대조적으로 모리후쿠의 케이스는, 시리즈의 흐름을 바꿔서 팀의 우승에 공헌한 경우이다. 2011년 일본시리즈에서 [[주니치 드래곤즈]]와 맞붙은 소프트뱅크는 홈인 후쿠오카 돔에서 벌어진 1, 2차전을 연장 접전 끝에 클로저 마하라 타카히로의 이틀 연속 [[블론세이브|불쇼]]로 내리 내주고 말았다. 최악의 상황에서 [[나고야시]] 원정에 나선 호크스는 3차전을 승리하고 4차전에서도 2대 1의 박빙의 리드를 지키고 있었다. 그러나 선발투수인 [[D.J. 홀튼]]이 6회말에 안타-2루타-볼넷으로 무사 만루를 만들어 놓고 마운드에서 내려오고 말았다. 안타 한방이면 역전, 타자를 병살타로 잡아도 운이 없으면 최소 동점인 절체 절명의 상황. 소뱅 팬들이 최소 동점이라고 거의 체념하고 있던 상황에 등판한 모리후쿠는 단 11구만으로 타자 3명을 처리하고 무사 만루의 위기를 탈출했다. 투구 내용은 - 6번 코이케: 4구만에 헛스윙 삼진 - 7번 히라타: 2구만에 짧은 좌익수 플라이 (너무 짧아서 3루주자가 홈으로 들어오지 못함) - 8번 [[타니시게 모토노부|타니시게]]: 5구만에 유격수 땅볼로 1루주자 포스아웃 덤으로 모리후쿠의 11구도 감상해보자. [youtube(yBwXUYl7r_U)] 만약 이 경기를 내줬으면 소프트뱅크는 1승 3패의 위기에 몰릴 상황이었으나 모리후쿠의 신들린 듯한 투구로 위기를 모면하고 4차전을 가져오면서 시리즈를 2승 2패로 끌고 갔다. 결국 원정 3연전을 모두 쓸어담은 소프트뱅크는 홈에서 벌어진 6차전을 다시 주니치에게 내줬지만, 최종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8년만에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다. 7차전 9회말 마지막 상황이 아니었기 때문에 극적인 요소는 에나츠의 21구 보다 덜할 수도 있지만, 게임 당시의 긴장감과 시리즈의 향방을 좌우하는 키플레이라는 점에서 모리후쿠의 11구는 야구 팬들과 평론가들의 갈채를 받기에 부족함이 없는 명승부였다. [[2011 아시아 시리즈|그렇게 가을의 저주를 겨우 풀었건만...]] * 실제 경기와는 상관없지만 만화 [[그라제니]]에서도 주인공 본다 나츠노스케의 XX구 식으로 패러디된다.주인공이 불펜투수[* 중반 이후 셋업맨으로 정착]다 보니 가능한 일로 만화 내에서도 본다가 등판해서 불을 끄거나 분위기를 환기시키고 내려가면 그걸 본다의 XX구로 부르는 식. * 카프가 구단 첫 우승했던 이해에 미국의 [[피츠버그 파이리츠]]는 구단의 5번째이자 현재까지 구단의 마지막 월드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 * [[장명부|4차전에서의 히로시마의 선발 투수]]는 훗날 한국의 [[삼미 슈퍼스타즈|인천 연고의 약체 구단]]으로 가서 한시즌 30승이라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세우게 된다. 그는 에나츠의 21구가 나온 최종 7차전에서도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그것도 에나츠가 마무리로 나오기 바로 직전의 투수로. [[분류:일본시리즈]][[분류: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분류:히로시마 도요 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