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목차] == 개요 == 1998 프랑스 월드컵 아시아 지역예선의 2차 예선 B조 경기를 다루는 문서이다. 이 조에 속한 팀들은 다음과 같다. * 아랍에미리트(3조 1위) * 일본(4조 1위) * 우즈베키스탄(5조 1위) * 대한민국(6조 1위) * 카자흐스탄(9조 1위) 서아시아 지역 1개 국가(아랍에미리트), 중앙아시아 지역 2개 국가(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동아시아 지역 2개 국가(한국, 일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순위표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진출여부''' || || 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8 || 6 || 1 || 1 || 19 || 7 || +12 || 19 || '''본선 진출''' || || 2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8 || 3 || 4 || 1 || 17 || 9 || +8 || 13 || '''플레이오프 진출''' || || 3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30]]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 || 8 || 2 || 3 || 3 || 9 || 12 || -3 || 9 || '''예선 탈락''' || || 4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 8 || 1 || 3 || 4 || 13 || 18 || -5 || 6 || '''예선 탈락''' || || 5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30]] ||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카자흐스탄]] || 8 || 1 || 3 || 4 || 7 || 19 || -12 || 6 || '''예선 탈락''' || 조 1위 대한민국은 본선 직행, 조 2위 일본은 A조 2위 이란과의 플레이오프를 치루게 되며, 일본이 이란과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본선에 직행하게 되었다. == 경기 진행 == === 1차전 === || 경기 일자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 지역 || || 1997. 9. 6. (토) || 대한민국 || '''3 : 0''' || 카자흐스탄 || 홈 || 서울 || || 1997. 9. 7. (일) || 일본 || '''6 : 3''' || 우즈베키스탄 || 홈 || 도쿄 || ||<-6> '''휴식팀 : 아랍에미리트''' || * 대한민국 vs 카자흐스탄: 서울에서 열린 카자흐스탄과의 홈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최용수의 [[해트트릭]]으로 3:0 완승을 거두었다.[* 참고로, 현재까지 [[A매치]]에서 [[카자흐스탄]]을 상대로 해트트릭을 기록한 선수는 단 2명이 있는데, 그 선수가 다름아닌 프랑스의 슈퍼스타 [[킬리안 음바페]]다.[[https://youtu.be/1slUHlw3iFk?t=305|#]] 그래서, [[최용수]]와 음바페. 2명이다.] * 일본 vs 우즈베키스탄: 일본이 우즈벡과의 홈 경기에서 미우라가 무려 4골을 집어넣으며 6:3 대승을 거두었다. 즉, B조 1차전에서는 모든 경기에서 해트트릭이 나왔다. === 2차전 === || 경기 일자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 지역 || || 1997. 9. 12. (금) || 대한민국 || '''2 : 1''' || 우즈베키스탄 || 홈 || 서울 || || 1997. 9. 12, (금) || 아랍에미리트 || '''4 : 0''' || 카자흐스탄 || 홈 || 아부다비 || ||<-6> '''휴식팀 : 일본''' || * 대한민국 vs 우즈베키스탄: 서울에서 열린 홈 경기에서 최용수가 선취골을 넣으며 리드해나갔다가 후반 29분 우즈벡에게 동점골을 내주고 말았다. 그러나 후반 42분에 터진 이상윤의 결승골로 2연승을 거두게 된다. * 아랍에미리트 vs 카자흐스탄: 아랍에미리트가 홈에서 카자흐스탄에게 무려 4골을 폭격하며 대승을 거두었다. === 3차전 === || 경기 일자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 지역 || || 1997. 9. 19. (금) || 아랍에미리트 || '''0 : 0''' || 일본 || 무승부 || 아부다비 || || 1997. 9. 20, (토) || 카자흐스탄 || '''1 : 1''' || 우즈베키스탄 || 무승부 || 알마티 || ||<-6> '''휴식팀 : 대한민국''' || * 아랍에미리트 vs 일본: 일본이 아랍에미리트 원정에서 득점을 기록하지 못하며 0:0 무승부를 거두게 된다. * 카자흐스탄 vs 우즈베키스탄: 소련에서 분리된 중앙아시아 국가들끼리의 대결에서 승부를 가리지 못하며 1:1 무승부를 거두게 되었다. === 4차전 === || 경기 일자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 지역 || || 1997. 9. 27. (토) || 우즈베키스탄 || '''2 : 3''' || 아랍에미리트 || 원정 || 타슈켄트 || || 1997. 9. 28, (일) || 일본 || '''1 : 2''' || 대한민국 || 원정 || 도쿄 || ||<-6> '''휴식팀 : 카자흐스탄''' || * 우즈베키스탄 vs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가 타슈켄트 원정에서 역전승을 거두며 귀중한 승리를 챙기게 되었다. * 일본 vs 대한민국 : 이 경기는 도쿄 대첩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쿄 대첩(축구)|도쿄 대첩]]을 참고하십시오. === 5차전 === || 경기 일자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 지역 || || 1997. 10. 4. (토) || 대한민국 || '''3 : 0''' || 아랍에미리트 || 홈 || 서울 || || 1997. 10. 4, (토) || 카자흐스탄 || '''1 : 1''' || 일본 || 무승부 || 알마티 || ||<-6> '''휴식팀 : 우즈베키스탄''' || * 대한민국 vs 아랍에미리트: 하석주, 유상철, 이상윤의 골을 통해 3:0으로 아랍에미리트에게 홈에서 완승을 거두었다. * 카자흐스탄 vs 일본 : 일본이 선취골을 넣고 경기를 리드했으나, 종료 직전 카자흐스탄에게 동점골을 내주며 무승부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결국 이 경기의 여파로 가모 슈 감독은 전격 경질되었다.] === 6차전 === || 경기 일자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 지역 || || 1997. 10. 11. (토) || 카자흐스탄 || '''1 : 1''' || 대한민국 || 무승부 || 알마티 || || 1997. 10. 11. (토) || 우즈베키스탄 || '''1 : 1''' || 일본 || 무승부 || 타슈켄트 || ||<-6> '''휴식팀 : 아랍에미리트''' || * 카자흐스탄 vs 대한민국: 카자흐스탄 원정 경기에서 전반 4분 만에 최용수가 골대맞고 나온 프리킥을 리바운드로 꽂아넣으며 선제골을 터뜨렸으나, 후반 5분에 예프테예프의 중거리 슈팅이 김병지의 손을 맞고 높이 튀어올랐다가 골문으로 들어가는 바람에 동점이 되고 말았다.[* 물론 반사적으로 골문으로 향하던 공을 다시 잡긴 했지만 그 전에 이미 공은 골라인 안쪽으로 넘어간 후였다.] 결국 경기는 무승부로 종료되었고, 카자흐스탄은 한국의 연승 행진을 저지하면서 안방에서 강한 팀 컬러를 그대로 보여줬다. *우즈베키스탄 vs 일본: 우즈베키스탄 원정에 나선 일본이 후반 44분 극적인 동점골로 겨우 무승부로 경기를 마쳤다. === 7차전 === || 경기 일자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 지역 || || 1997. 10. 18. (토) || 우즈베키스탄 || '''1 : 5''' || 대한민국 || 원정 || 타슈켄트 || || 1997. 10. 18, (토) || 카자흐스탄 || '''3 : 0''' || 아랍에미리트 || 홈 || 알마티 || ||<-6> '''휴식팀 : 일본''' || * 우즈베키스탄 vs 대한민국: 홈에서 신승을 거두었던 대한민국이 우즈벡 원정에서 무려 5:1 대승을 거두었다. 최용수가 2골, 유상철, 고정운, 김도훈이 각각 1골씩 기록하였다. * 카자흐스탄 vs 아랍에미리트: 카자흐스탄은 홈에서 아랍에미리트에 3대 0 완승을 거두며 귀중한 첫 승리를 챙겼다. 이로 인해 아랍에미리트는 본선 직행권 경쟁에서 아예 멀어지게 된다. === 8차전 === || 경기 일자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 지역 || || 1997. 10. 25. (토) || 일본 || '''1 : 1''' || 아랍에미리트 || 무승부 || 도쿄 || || 1997. 10. 25, (토) || 우즈베키스탄 || '''4 : 0''' || 카자흐스탄 || 홈 || 타슈켄트 || ||<-6> '''휴식팀 : 대한민국''' || * 일본 vs 아랍에미리트: 일본이 아랍에미리트와의 홈 경기에서도 무승부를 거두게 되었다. 2위였던 아랍에미리트가 승리하지 못하며 B조 1위는 대한민국으로 확정되었고,[* 당시 한국 승점이 16점, UAE가 7점이어서 전승을 달성하면 동점이 가능했으나 일본과 비겨 8점이 되어 남은 2경기를 모두 잡아도 14점으로 한국이 전패하더라도 1위를 할 수 없게 되었다. 나머지 국가야 말할 것도 없고.] B조의 직행권 쟁탈전은 막을 내렸다. * 우즈베키스탄 vs 카자흐스탄: 우즈벡이 카자흐스탄과의 홈 경기에서 4:0 대승을 거두었다. === 9차전 === || 경기 일자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 지역 || || 1997. 11. 1. (토) || 대한민국 || '''0 : 2''' || 일본 || 원정 || 서울 || || 1997. 11. 2, (일) || 아랍에미리트 || '''0 :0''' || 우즈베키스탄 || 무승부 || 아부다비 || ||<-6> '''휴식팀 : 카자흐스탄''' || * 대한민국 vs 일본 : 이미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한민국이 일본과의 홈 경기에서 첫 패배를 당했고, 일본은 이 경기를 기점으로 다시 상승세에 접어들게 된다. * 아랍에미리트 vs 우즈베키스탄: 아랍에미리트가 우즈벡과의 홈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전날 이긴 일본이 승점이 10점이 되었기에 승점 1점만 추가하여 9점이 된 아랍에미리트는 일본에게 2위 자리를 내주었다. === 10차전 === || 경기 일자 || 홈팀 || 경기 결과 || 원정팀 || 승자 || 경기 지역 || || 1997. 11. 8. (토) || 일본 || '''5 : 1''' || 카자흐스탄 || 홈 || 도쿄 || || 1997. 11. 9, (일) || 아랍에미리트 || '''1 : 3''' || 대한민국 || 원정 || 아부다 || ||<-6> '''휴식팀 : 우즈베키스탄''' || * 일본 vs 카자흐스탄 : 일본이 마지막 경기에서 카자흐스탄에게 대승을 거두며 다음 날 경기에 상관 없이 2위 자리를 확정짓게 되었다. * 아랍에미리트 vs 대한민국: 대한민국이 아랍에미리트 원정에서 김도훈의 2골, 이상윤의 1골로 3:1 승리를 거두며 일본전 패배를 만회하는데 성공하였다. == 관련 문서 == * [[차범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