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include(틀: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목차] == 개요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3 || 2 || 0 || 1 || 6 || 3 || +3 || '''6''' || || '''2'''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 3 || 1 || 2 || 0 || 5 || 4 || +1 || '''5''' || || 3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모로코]] || 3 || 1 || 1 || 1 || 5 || 5 || 0 || '''4''' || || 4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3 || 0 || 1 || 2 || 2 || 6 || -4 || '''1''' ||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의 진행상황 중 조별리그 A조를 설명하는 문서. == 1경기 : 브라질 2-1 스코틀랜드(생드니, [[스타드 드 프랑스]])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A조 제1경기 (개막전) }}} [br]{{{#000 1998. 06. 10. (수) 17:30 (UTC+1)}}}''' || ||<-3> '''{{{#ffffff [[스타드 드 프랑스|{{{#ffffff 스타드 드 프랑스}}}]] ([[프랑스|{{{#ffffff 프랑스}}}]], [[생드니#s-1|{{{#ffffff 생드니}}}]])}}}''' || ||<-3> '''{{{#ffffff 주심:}}}''' [[파일:UEFA ESP.png|height=20]] [[호세 마리아 가르시아-아란다|{{{#ffffff '''호세 마리아 가르시아-아란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transparent 5%, transparent 95%, #008000 95%), linear-gradient(to bottom, #fce901 5%, #008000 5%, #008000 6%, #fce901 6%)" [[파일:Brazil CBF 1998.png|height=100px]]}}} ||<|2> '''{{{+5 2 : 1}}}''' || [[파일:Scottish Football Association Old Logo.pn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4%, #008000 4%, #008000 5%, #0047A0 5%, #0047A0 95%, #008000 95%, #008000 96%, #fff 96%)"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BRA.png|width=20]] {{{#!html 브라질}}}]]'''}}} ||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SCO.png|height=20]] {{{#1D2C5A '''스코틀랜드'''}}}]] || || '''{{{#373a3c,#dddddd 5′}}} [[세자르 삼파이우|{{{#373a3c,#dddddd 세자르 삼파이우}}}]][br]{{{#373a3c,#dddddd 74′}}} [[자책골|{{{#373a3c,#dddddd (OG)}}}]] [[톰 보이드|{{{#373a3c,#dddddd 톰 보이드}}}]]'''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38′}}} [[페널티킥|{{{#373a3c,#dddddd (P)}}}]] [[존 콜린스|{{{#373a3c,#dddddd 존 콜린스}}}]]''' || [youtube(o2WtK0LEDlg)] ||<-3>
'''{{{#white 중계 방송}}}'''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height=16]]]] || 박영웅 || [[이용수(축구)|이용수]] || || [[문화방송|[[파일:MBC 로고(1986-2005).svg|height=16]]]] || [[송재익]] || [[신문선]] || || [[SBS|[[파일:SBS 로고(1994-2000).svg|height=16]]]] || [[손석기]] || [[허정무]] || 브라질은 경기 초반 [[베베토]]의 코너킥 크로스를 [[세자르 삼파이우]]의 헤더 선제골로 쉽게 시작하나 했지만, 선제골을 넣은 삼파이우가 [[케빈 갤러허]]를 잡아채는 반칙을 하여 페널티 킥을 허용, [[존 콜린스]]가 성공시키며 동점을 이루며 전반이 종료되었다. 후반전 [[카푸]]의 적극적인 오버래핑에 이은 감각적인 슛이 [[짐 레이튼]] 골키퍼의 몸을 맞고 튕겨나가 다시 수비수 [[톰 보이드]]의 몸을 맞고(...) 자책골로 연결되면서 신승. 개막전 징크스를 어느정도는 경험했다. 전 우승팀인 브라질의 명성에 걸맞지 않게 스코틀랜드한테 상당히 고전한 경기였다. == 2경기 : 모로코 2-2 노르웨이([[몽펠리에]], [[스타드 드 라 모송]])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A조 제2경기}}} [br]{{{#000 1998. 06. 10. (수) 21:00 (UTC+1)}}}''' || ||<-3> '''{{{#ffffff [[스타드 드 라 모송|{{{#ffffff 스타드 드 라 모송}}}]] ([[프랑스|{{{#ffffff 프랑스}}}]], [[몽펠리에|{{{#ffffff 몽펠리에}}}]])}}}''' || ||<-3> '''{{{#ffffff 주심:}}}''' [[파일:UEFA THA.png|height=20]] [[피롬 안쁘라세릿|{{{#ffffff '''피롬 안쁘라세릿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33.3%, #006233 33.3%, #006233 66.6%, transparent 66.6%), linear-gradient(to bottom, #006233 20%, #fff 20%, #fff 23%, #c1272d 23%, #c1272d 43%, #fff 43%, #fff 46%, #006233 46%)" [[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px]]}}} ||<|2> '''{{{+5 2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60%, #C71E2E 60%, #C71E2E 65%, #FFF 65%, #FFF 70%, #2E3657 70%, #2E3657 80%, #FFF 80%, #FFF 85%, #C71E2E 85%, #C71E2E 90%, #FFF 90%)" [[파일:Norway NFF 1994.pn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272d 5%, #006233 5%, #006233 95%, #c1272d 95%)"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MAR.png|height=20]] {{{#fff '''모로코'''}}}]]}}}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NOR.png|height=20]] {{{#FFF '''노르웨이'''}}}]] || || '''{{{#373a3c,#dddddd 37′}}} [[무스타파 하지|{{{#373a3c,#dddddd 무스타파 하지}}}]][br]{{{#373a3c,#dddddd 60′}}} [[압델할릴 하다|{{{#373a3c,#dddddd 압델할릴 하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46′}}} [[자책골|{{{#373a3c,#dddddd (OG)}}}]] [[유세프 치포|{{{#373a3c,#dddddd 유세프 치포}}}]][br]{{{#373a3c,#dddddd 61′}}} [[단 에겐|{{{#373a3c,#dddddd 단 에겐}}}]]''' || [youtube(I2WazNrX5XE)] 모로코는 축구영웅 [[무스타파 하지]]의 개인기량을 발휘하여 선제골을 성공시켜 1대0으로 앞서 갔다. 이후 노르웨이의 프리킥 상황에서 [[플로와 벤제크리]] 키퍼가 부딪히며 튀어오른 골을 [[유세프 치포]]가 헤더로 걷어낼려 했으나 오히려 이것이 골대로 빨려들어갔다. 즉, 자책골로 동점을 허용한 상황. 그 후에 다시 스트라이커 [[압델할릴 하다]]가 앞서가는 멋진 추가골로 앞서 갔지만 이후 노르웨이의 프리킥 상황에서 주장 나이벳과 벤제크리 골키퍼가 또 부딪히며 흘러나온 골을 노르웨이의 중앙수비수 [[단 에겐]]이 헤더로 골을 성공시켰다. 그래서 경기 결과는 2대2 무승부로 끝났다. == 3경기 : 스코틀랜드 1-1 노르웨이(보르도. 스타드 레스퀴르)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A조 제3경기}}} [br]{{{#000 1998. 06. 16. (화) 17:30 (UTC+1)}}}''' || ||<-3> '''{{{#ffffff [[파르크 레스퀴르|{{{#ffffff 파르크 레스퀴르}}}]] ([[프랑스|{{{#ffffff 프랑스}}}]], [[보르도|{{{#ffffff 보르도}}}]])}}}''' || ||<-3> '''{{{#ffffff 주심:}}}''' [[파일:UEFA HUN.png|height=20]] [[바그네르 라실로|{{{#ffffff '''바그네르 라실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2C5A 5%, #FFE302 5%, #FFE302 95%, #1D2C5A 95%)" [[파일:Scottish Football Association Old Logo.png|height=100px]]}}} ||<|2> '''{{{+5 1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 #C71E2E 1%, #C71E2E 99%, #fff 99%)" [[파일:Norway NFF 1994.pn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00 5%, #1D2C5A 5%, #1D2C5A 95%, #FFFF00 95%)"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SCO.png|height=20]] {{{#FFFF00 '''스코틀랜드'''}}}]]}}}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NOR.png|height=20]] {{{#2E3657 '''노르웨이'''}}}]] || || '''{{{#373a3c,#dddddd 66′}}} [[크레이그 벌리|{{{#373a3c,#dddddd 크레이그 벌리}}}]]'''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46′}}} [[하바드 플로|{{{#373a3c,#dddddd 하바드 플로}}}]]''' || 디펜딩챔피언과의 첫 경기를 아쉽게 진 스코틀랜드와 천신만고끝에 무승부를 기록한 노르웨이의 한판 승부. 첫 골은 노르웨이가 먼저 기록했다. 좌측면에서 리제트가 올린 크로스를 [[하바드 플로]]가 헤딩골로 가볍게 선취골을 넣었지만 곧바로 미드필더 [[크레이그 벌리]]가 골키퍼의 키를 넘기는 슛으로 동점골을 기록했다. 그 이후에도 두 팀은 공방전을 벌였지만 더 이상의 득점은 없었고 그렇게 무승부를 기록했다. 스코틀랜드와 노르웨이 둘 다 아쉬운 결과였다. 스코틀랜드는 모로코와의 경기가 있었지만 승점 3점이 더 중요했지만 기록하지 못했고 노르웨이는 2무승부를 기록했으나 마지막 경기를 최강팀인 브라질과의 마지막 경기를 앞두고 있어서 불안감이 컸다. == 4경기 : 브라질 3-0 모로코(낭트,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A조 제4경기}}} [br]{{{#000 1998. 06. 16. (화) 21:00 (UTC+1)}}}''' || ||<-3> '''{{{#ffffff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ffffff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 ([[프랑스|{{{#ffffff 프랑스}}}]], [[낭트|{{{#ffffff 낭트}}}]])}}}''' || ||<-3> '''{{{#ffffff 주심:}}}''' [[파일:UEFA RUS.png|height=20]] [[니콜라이 레브니코프|{{{#ffffff '''니콜라이 레브니코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transparent 5%, transparent 95%, #008000 95%), linear-gradient(to bottom, #fce901 5%, #008000 5%, #008000 6%, #fce901 6%)" [[파일:Brazil CBF 1998.png|height=100px]]}}} ||<|2> '''{{{+5 3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33.3%, #fff 33.3%, #fff 66.6%, transparent 66.6%),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0%, #006233 20%, #006233 23%, #c1272d 23%, #c1272d 43%, #006233 43%, #006233 46%, #fff 46%)" [[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4%, #008000 4%, #008000 5%, #0047A0 5%, #0047A0 95%, #008000 95%, #008000 96%, #fff 96%)"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BRA.png|width=20]] {{{#!html 브라질}}}]]'''}}}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272d 5%, #fff 5%, #fff 95%, #c1272d 95%)"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MAR.png|height=20]] {{{#c1272d '''모로코'''}}}]]}}} || || '''{{{#373a3c,#dddddd 9′}}} [[호나우두|{{{#373a3c,#dddddd 호나우두}}}]][br]{{{#373a3c,#dddddd 47′}}} [[히바우두|{{{#373a3c,#dddddd 히바우두}}}]][br]{{{#373a3c,#dddddd 50′}}} [[베베투|{{{#373a3c,#dddddd 베베투}}}]]'''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 || [youtube(FrFI9ozCsjw)] [youtube(ekLuyBUoh5g)] [youtube(oTVnNImAi0g)] ||<-3>
'''{{{#white 중계 방송}}}''' || || [[SBS|[[파일:SBS 로고(1994-2000).svg|height=16]]]] || [[손석기]] || [[허정무]] || [[호나우두]]가 전반초반 강력한 슈팅으로 대회 1호골을 신고했고, [[히바우두]] 역시 [[카푸]]의 크로스를 이어받어 첫골을 신고 했다. 후반전엔 호나우두가 전매특허의 스텝어보에 이은 돌파이후 크로스를 했고 [[베베토]]가 이를 마무리하며 경기를 끝냈다. 마침 스코틀랜드와 노르웨이의 경기가 무승부로 끝났기 때문에 브라질은 가볍게 조 1위로 16강을 확정지었고 반면 모로코는 1차전에서 보여준 자신들의 강점을 전혀 못보여준채로 불안한 마지막 경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 5경기-1 : 스코틀랜드 0-3 모로코(생테티엔,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A조 제5-1경기}}} [br]{{{#000 1998. 06. 23. (화) 21:00 (UTC+1)}}}''' || ||<-3> '''{{{#ffffff [[스타드 조프루아-기샤르|{{{#ffffff 스타드 조프루아-기샤르}}}]] ([[프랑스|{{{#ffffff 프랑스}}}]], [[생테티엔|{{{#ffffff 생테티엔}}}]])}}}''' || ||<-3> '''{{{#ffffff 주심:}}}''' [[파일:UEFA UAE.png|height=20]] [[알리 부지사임|{{{#ffffff '''알리 부지사임'''}}}]] || || [[파일:Scottish Football Association Old Logo.png|height=100px]] ||<|2> '''{{{+5 0 : 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33.3%, #fff 33.3%, #fff 66.6%, transparent 66.6%),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0%, #006233 20%, #006233 23%, #c1272d 23%, #c1272d 43%, #006233 43%, #006233 46%, #fff 46%)" [[파일: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00px]]}}} || ||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SCO.png|height=20]] {{{#1D2C5A '''스코틀랜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272d 5%, #fff 5%, #fff 95%, #c1272d 95%)"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MAR.png|height=20]] {{{#c1272d '''모로코'''}}}]]}}} || || '''{{{#373a3c,#dddddd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22′, 85'}}} [[살라헤딘 바시르|{{{#373a3c,#dddddd 살라헤딘 바시르}}}]][br]{{{#373a3c,#dddddd 46′}}} [[압델할릴 하다|{{{#373a3c,#dddddd 압델할릴 하다}}}]]''' || [youtube(jueN4apm510)] ||<-3>
'''{{{#white 중계 방송}}}''' || || [[SBS|[[파일:SBS 로고(1994-2000).svg|height=16]]]] || [[한종희]] || 강신우 || 모로코는 바시르의 선제골로 전반전을 앞서갔고, 후반전 시작과 동시에 하다의 골이 이어지며 승기를 잡았다. 뒤지고 있던 스코틀랜드는 오히려 공격수 벌리가 바시르에게 살인 백태클[* 이 대회는 백태클에 대해 엄격한 판결을 내린 대회로 유명하며, 이미 E조 1차전에서 대한민국의 [[하석주]]가 백태클로 다이렉트 퇴장을 받은 바 있다.]을 시전하며 다이렉트 퇴장을 당하며 패색이 짙어졌고, 바시르는 톰 보이드를 그림같은 개인기로 제쳐낸 뒤 두 번째 골을 넣으며 스코틀랜드를 완전히 탈락시켰다. 이제 같은 시각 다른 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경기에서 브라질이 노르웨이를 꺾어주면 2위로 토너먼트로 진출할 수 있었으나... == 5경기-2 : 브라질 1-2 노르웨이(마르세유, 스타드 벨로드롬)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A조 제5-2경기}}} [br]{{{#000 1998. 06. 23. (화) 21:00 (UTC+1)}}}''' || ||<-3> '''{{{#ffffff [[스타드 벨로드롬|{{{#ffffff 스타드 벨로드롬}}}]] ([[프랑스|{{{#ffffff 프랑스}}}]], [[마르세유|{{{#ffffff 마르세유}}}]])}}}''' || ||<-3> '''{{{#ffffff 주심:}}}''' [[파일:UEFA USA.png|height=20]] [[에스판디아르 바하르마스트|{{{#ffffff '''에스판디아르 바하르마스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transparent 5%, transparent 95%, #008000 95%), linear-gradient(to bottom, #fce901 5%, #008000 5%, #008000 6%, #fce901 6%)" [[파일:Brazil CBF 1998.png|height=100px]]}}} ||<|2> '''{{{+5 1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 #C71E2E 1%, #C71E2E 99%, #fff 99%)" [[파일:Norway NFF 1994.pn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4%, #008000 4%, #008000 5%, #0047A0 5%, #0047A0 95%, #008000 95%, #008000 96%, #fff 96%)"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BRA.png|width=20]] {{{#!html 브라질}}}]]'''}}}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NOR.png|height=20]] {{{#2E3657 '''노르웨이'''}}}]] || || '''{{{#373a3c,#dddddd 78′}}} [[베베투|{{{#373a3c,#dddddd 베베투}}}]]'''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83′}}} [[토레 안드레 플로|{{{#373a3c,#dddddd 토레 안드레 플로}}}]][br]{{{#373a3c,#dddddd 89′}}} [[페널티 킥|{{{#373a3c,#dddddd (P)}}}]] [[셰틸 레크달|{{{#373a3c,#dddddd 셰틸 레크달}}}]]''' || [youtube(sIEVFFqGQD4)] [youtube(lr3AGDdN4wk)] [youtube(EGJdewLQEoQ)] 브라질은 조별리그 최종전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A조 1위를 확정하여 토너먼트 진출을 일찍이 확정해 놓은 상황이었다. 그리고 노르웨이는 토너먼트 진출을 노리기 위해서 브라질을 상대로 최종전에서 무조건 승리해야 했다. 전반전은 득점없이 끝났고, 후반전에 데니우손이 넘어지면서도 밸런스를 유지하고 공을 지켜낸 뒤 크로스를 올렸고 이를 베베투가 헤더로 득점을 하면서 브라질의 3전 전승 통과가 확정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이후 토레 안드레 플로가 바이아누를 제친 뒤 득점에 성공하며 승부를 다시 원점으로 만들었지만, 다른 경기장에선 모로코가 3:0으로 이겨가는 상황이라 노르웨이는 여전히 탈락 위기에 몰려있었다. 이후 미클란트가 플로를 향해 크로스를 올렸고, 장신의 플로에게 자꾸 밀리던 바이아누가 무리를 해 점프하려다 그만 파울을 범하여 노르웨이에게 페널티킥이 주어진다. 이를 [[셰틸 레크달]]이 성공시켜 노르웨이는 기적적인 16강 진출에 성공하게 된다. 브라질은 이 경기는 16강 진출이 결정되었음에도 베스트 멤버를 기용했는데, 원래 노르웨이가 국대에서 브라질에 유달리 강했기 때문에 그 징크스를 깨려 했지만 또 다시 1패를 적립하고 말았고, 스코틀랜드를 잡고 16강 희망을 이어가던 모로코는 탈락하고 말았다. 이 경기에서도 오심 논란이 있었는데, [[주니오르 바이아누]]가 파울을 범해 노르웨이에게 페널티킥을 내준 부분에서 당시 카메라를 확인했을때 플로가 혼자 넘어진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이 장면을 보고 당시 브라질 해설자 [[갈바오 부에노]](Galvão Bueno)는 당시 주심을 "쓰레기"라고 소리쳤으며, [[아르날두 세자르 코엘류]](Arnaldo Cezar Coelho)[*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 스페인 월드컵]] 결승전 당시 주심을 맡았었다.]도 그 심판이 잘못되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처음 보여주었던 카메라 각도 때문에 그렇게 보였던 것이였고, 다른 카메라 각도에서 보면 '''확실하게 바이아누가 플로의 유니폼을 늘어날 정도로 끌어당기는 모습이 찍힌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그 심판은 제대로 본 것이였고 처음 보여준 카메라 각도가 어정쩡해서 모두가 착각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 [[https://www.youtube.com/watch?v=7-lNODXuA6k|페널티킥 오심 논란을 잘 해명해주는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