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include(틀: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목차] == 개요 ==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3 || 2 || 1 || 0 || 6 || 2 || +4 || '''7''' || || '''2'''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width=30]] ||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 || 3 || 2 || 1 || 0 || 4 || 2 || +2 || '''7''' || || 3 || [[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 3 || 1 || 0 || 2 || 2 || 4 || -2 || '''3''' || || 4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미국]] || 3 || 0 || 0 || 3 || 1 || 5 || -4 || '''0''' ||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의 진행상황 중 조별리그 F조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 제1경기: 유고슬라비아 1-0 이란 (스타드 조르푸아 기사르, 생테티엔)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F조 제1경기}}} [br]{{{#000 1998. 06. 14. (일) 17:30 (UTC+1)}}}''' || ||<-3> '''{{{#ffffff [[스타드 조프루아-기샤르|{{{#ffffff 스타드 조프루아-기샤르}}}]] ([[프랑스|{{{#ffffff 프랑스}}}]], [[생테티엔|{{{#ffffff 생테티엔}}}]])}}}''' || ||<-3> '''{{{#ffffff 주심: [[파일:CA2021 Peru.png|height=20]] 알베르토 테하다 노리에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5%, #000080 5%, #000080 95%, #fff 9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10px-Yugoslav_Football_Federation_1990.png|width=21%]]}}} ||<|2> '''{{{+5 1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39f40 5%, #fff 5%, #fff 95%, #239f40 95%)" [[파일:Iran FFIRI 1998.pn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5%, #fff 5%, #fff 95%, #000080 95%)"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s-2.1|[[파일:UEFA YUG.png|width=20]] {{{#000080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39f40 5%, #fff 5%, #fff 95%, #239f40 95%)"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IRN.png|width=20]] {{{#da0000 이란}}}]]'''}}} || || '''{{{#373a3c,#dddddd 72′}}} [[시나샤 미하일로비치|{{{#373a3c,#dddddd 미하일로비치}}}]]'''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 || 이란 답게, 유고슬라비아 역시 거친 경기를 보여줬다. 코너킥 상황에서 조로비치의 헤딩이 이란의 골대 상단을 맞고 튀어나온 걸 유고슬라비아 선수가 공을 차려다 이란 선수의 머리를 찼음에도 아무 문제없이 넘어갔다. [[소림축구|거친 축구]]가 이어지던 후반 27분, [[시니샤 미하일로비치]]의 환상적인 프리킥이 득점으로 이어지고 유고의 승리로 끝났다. == 제2경기: 독일 2-0 미국 (파르크 데 프랑스, 파리)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F조 제2경기}}} [br]{{{#000 1998. 06. 15. (월) 21:00 (UTC+1)}}}''' || ||<-3> '''{{{#ffffff [[파르크 데 프랭스|{{{#ffffff 파르크 데 프랭스}}}]] ([[프랑스|{{{#ffffff 프랑스}}}]], [[파리(프랑스)|{{{#ffffff 파리}}}]])}}}''' || ||<-3> '''{{{#ffffff 주심:}}}''' [[파일:UEFA MAR.png|height=20]] [[사이드 벨콜라|{{{#ffffff '''사이드 벨콜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5%, #000 25%, #000 30%, #fff 30%, #fff 35%, #dd0000 35%, #dd0000 40%, #fff 40%, #fff 45%, #ffce00 45%, #ffce00 50%, #fff 50%)" [[파일:Germany DFB 1998.png|height=100px]]}}} ||<|2> '''{{{+5 2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31c31 25%, #fff 25%, #fff 30%, #39386e 30%, #39386e 35%, #fff 35%, #fff 40%, #b31c31 40%)" [[파일:USA USSF 1998.pn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95%, #dd0000 95%)"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GER.png|height=20]] {{{#fff '''독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2%, #39386e 2%, #39386e 98%, #fff 98%)"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USA.png|width=20]] {{{#!html 미국}}}]]'''}}} || || '''{{{#373a3c,#dddddd 10′}}} [[안드레아스 묄러|{{{#373a3c,#dddddd 묄러}}}]][br]{{{#373a3c,#dddddd 67′}}} [[위르겐 클린스만|{{{#373a3c,#dddddd 클린스만}}}]]'''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 || [youtube(5R3VuBv62DE)] 올라프 톤의 코너킥에 클린스만이 헤딩페스를 넣고 [[안드레아스 묄러]]가 이를 바로 헤더로 득점하며 독일이 쉽게 앞서나갔다. 미국도 반격에 나섰으나 독일의 조직력을 넘어설 실력 자체가 안 됐고, 결국 콜러의 크로스를 [[위르겐 클린스만]]이 침착하게 가슴 트래핑 후 정확한 오른발 인사이드 슈팅으로 득점에 성공. 클린스만은 1득점 1도움으로 독일의 첫승을 견인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독일답게 월드컵에서 순항하리라 보였다. 여담으로 클린스만은 미국인 여성과 결혼하여 은퇴 이후 독일에 정착해서 살고 있다. 아들인 [[조너선 클린스만]]은 독일계 미국인으로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선택하였고, 자신은 미국 대표팀 감독으로 재직했던 경험이 있다. 이러한 점을 생각하면 클린스만은 미국과 기묘한 인연이 있다. == 제3경기: 독일 2-2 유고슬라비아 (스타드 팰릭스 볼라르, 랑스)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F조 제3경기}}} [br]{{{#000 1998. 06. 21. (일) 14:30 (UTC+1)}}}''' || ||<-3> '''{{{#ffffff [[스타드 펠릭스 볼라르|{{{#ffffff 스타드 펠릭스 볼라르}}}]] ([[프랑스|{{{#ffffff 프랑스}}}]], [[랑스|{{{#ffffff 랑스}}}]])}}}''' || ||<-3> '''{{{#ffffff 주심:}}}''' [[파일:UEFA DEN.png|height=20]] [[킴 밀톤 닐센|{{{#ffffff '''킴 밀톤 닐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5%, #000 25%, #000 30%, #fff 30%, #fff 35%, #dd0000 35%, #dd0000 40%, #fff 40%, #fff 45%, #ffce00 45%, #ffce00 50%, #fff 50%)" [[파일:Germany DFB 1998.png|height=100px]]}}} ||<|2> '''{{{+5 2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5%, #000080 5%, #000080 95%, #fff 9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10px-Yugoslav_Football_Federation_1990.png|width=2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95%, #dd0000 95%)"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GER.png|height=20]] {{{#fff '''독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5%, #fff 5%, #fff 95%, #000080 95%)"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s-2.1|[[파일:UEFA YUG.png|width=20]] {{{#000080 유고슬라비아}}}]]'''}}} || || '''{{{#373a3c,#dddddd 72′}}} [[자책골|{{{#373a3c,#dddddd (OG)}}}]] [[시나샤 미하일로비치|{{{#373a3c,#dddddd 미하일로비치}}}]][br]{{{#373a3c,#dddddd 78′}}} [[올리버 비어호프|{{{#373a3c,#dddddd 비어호프}}}]]'''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13′}}}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373a3c,#dddddd 미야토비치}}}]][br]{{{#373a3c,#dddddd 52′}}} [[드라간 스토이코비치|{{{#373a3c,#dddddd 스토이코비치}}}]]''' || [youtube(BKZlvzrrf-k)] ||<-3>
'''{{{#white 중계 방송}}}''' || || [[SBS|[[파일:SBS 로고(1994-2000).svg|height=16]]]] || [[한종희]] || 강신우 || 당시 '''동유럽 징크스'''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독일이 고전했던 경기. 전반에 독일의 오른쪽 진영에서 유고슬라비아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의 날카로운 오른발 크로스가 [[안드레아스 쾨프케]]와 [[데얀 스탄코비치]] 가 부딪힐만한 곳으로 가게되면서 두 선수 다 놓쳤고 이것이 바로 골대 안으로 들어가며 유고슬라비아가 앞서나갔다. 두팀 다 팽팽히 맞섰지만 유고슬라비아의 공격이 좀 더 매서웠으며, 후반전엔 [[다르코 코바체비치]]의 크로스를 [[안드레아스 쾨프케]]키퍼가 캐치를 했다가 놓쳐 뒤로 그대로 구르게 되었고, 쇄도하던 [[드라간 스토이코비치]]가 이를 밀어넣으며 승기를 잡아갔다. 그러나 독일은 곧바로 따라가기 시작했다. 후반 27분, 6분전에 교체투입된 [[미카엘 타르나트]]의 강력한 프리킥을 [[시니샤 미하일로비치]]가 발을 갖다대어 걷어낸다는 것이 곧바로 유고슬라비아의 골대로 들어가 자책골을 기록하게 되었고, 계속해서 독일의 파상공세가 시작되었다. [[올리버 비어호프]]의 헤더도 크랄리 키퍼의 선방으로 막혔으나, 이후 다시 이어진 올라프 톤의 코너킥이 다시 [[올리버 비어호프]]의 머리에 적중하며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후 득점없이 경기는 무승부로 종료. 종료전에 양팀에서 한 성질하는 [[옌스 예레미스]]와 [[시니샤 미하일로비치]]가 충돌하기도 했다. 참고로 비어호프의 골을 제외하면 이 경기의 세 골은 전부 실수에 의해 일어났다. == 제4경기: 미국 1-2 이란 (스타드 드 제를랑, 리옹)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F조 제4경기}}} [br]{{{#000 1998. 06. 21. (일) 21:00 (UTC+1)}}}''' || ||<-3> '''{{{#ffffff [[스타드 드 제를랑|{{{#ffffff 스타드 드 제를랑}}}]] ([[프랑스|{{{#ffffff 프랑스}}}]], [[리옹|{{{#ffffff 리옹}}}]])}}}''' || ||<-3> '''{{{#ffffff 주심:}}}''' [[파일:UEFA SUI.png|height=20]] [[위르스 마이어|{{{#ffffff '''위르스 마이어'''}}}]][* 2002년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미국전|조별리그 D조 제2경기]]와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독일전|준결승전 제1경기]]의 주심을 맡았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5%, #b31c31 25%, #b31c31 30%, #39386e 30%, #39386e 35%, #b31c31 35%, #b31c31 40%, #fff 40%)" [[파일:USA USSF 1998.png|height=100px]]}}} ||<|2> '''{{{+5 1 :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5%, #da0000 5%, #da0000 95%, #fff 95%)" [[파일:Iran FFIRI 1998.pn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9386e 2%, #fff 2%, #fff 98%, #39386e 98%)"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USA.png|width=20]] {{{#!html 미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5%, #da0000 5%, #da0000 95%, #fff 95%)"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IRN.png|width=20]] {{{#fff 이란}}}]]'''}}} || || '''{{{#373a3c,#dddddd 87′}}} [[브라이언 맥브라이드|{{{#373a3c,#dddddd 맥브라이드}}}]]'''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40′}}} [[하미드 에스틸리|{{{#373a3c,#dddddd 에스틸리}}}]][br]{{{#373a3c,#dddddd 84′}}} [[메흐디 마다비키아|{{{#373a3c,#dddddd 마다비키아}}}]]''' || [youtube(TLNMmDZdhfU)] 둘 다 F조 약체들이지만, 이 두 나라는 국제 사회에서 알아주는 '''철천지 앙숙'''. 이 때문에 주심도 전 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중립국인 스위스 사람이 맡았다. 1979년 [[이란 혁명]] 이후로 [[주 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USS 빈센스 함 사건|이란항공 655편 격추 사건]] 등 여러 악연으로 적대감이 쌓이고 쌓인 두 나라가 월드컵 무대에서 격돌하는지라 경기 외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자바드 자린체흐의 크로스가 올라갈 때 미국의 수비수들 누구도 하미드 에스틸리의 움직임을 마크하지 못했고 에스틸리는 프리한 상황에서 헤더로 득점을 올렸다. 이란의 월드컵 첫 선제골. 이후에도 거친 경기를 주고받던 중 후반 39분 [[알리 다에이]]가 세 명의 미국 선수의 포위망에서도 버텨내며 절묘하게 전방으로 스루패스를 날렸고, 이를 받은 [[메흐디 마다비키아]]가 골키퍼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없는 미국 진영을 빠르게 가로지른 후 득점에 성공하며 승리의 쐐기를 박았다.[* 마다비키아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어 보이지만, 다에이의 패스 시점에서 미국의 최종 수비수 데이비드 레지스조차도 하프라인을 넘어 이란 진영에 있었기에 오프사이드가 아니다.] 3분 뒤 미국의 코너킥 상황에서 [[브라이언 맥브라이드]]의 다이빙 헤더가 나에임 사다비 발을 맞고 골대안으로 아슬아슬하게 들어가면서 미국의 만회골이 들어갔지만 거기까지였고, 그대로 경기는 종료되었다. 이란은 첫 경기 패배 뒤에 반전의 발판을 마련함과 더불어서 이번 대회 아시아 국가들 중 처음으로 승리를 기록했고[* 이보다 앞서서 사우디아라비아와 대한민국은 2연패로 이미 광탈이 확정된 상황이었다.][* 참고로 이 경기가 이 대회 아시아 국가의 유일한 승리 경기다.], 반면 미국은 탈락이 확정되었다. 경기 중 페널티 박스 안에서의 미국 골키퍼의 반칙이 있었는데, 노파울로 선언되었다. 주심 위르스 마이어는 이 골키퍼의 신변을 우려하여 일부러 페널티킥을 주지 않은 작심이었음을 인정했다. == 제5경기-1: 독일 2-0 이란 (스타드 드 라 모송, 몽펠리에)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F조 제5-1경기}}} [br]{{{#000 1998. 06. 25. (목) 21:00 (UTC+1)}}}''' || ||<-3> '''{{{#ffffff [[스타드 드 라 모송|{{{#ffffff 스타드 드 라 모송}}}]] ([[프랑스|{{{#ffffff 프랑스}}}]], [[몽펠리에|{{{#ffffff 몽펠리에}}}]])}}}''' || ||<-3> '''{{{#ffffff 주심:}}}''' [[파일:UEFA PAR.png|height=20]] [[에피파니오 곤살레스|{{{#ffffff '''에피파니오 곤살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5%, #000 25%, #000 30%, #fff 30%, #fff 35%, #dd0000 35%, #dd0000 40%, #fff 40%, #fff 45%, #ffce00 45%, #ffce00 50%, #fff 50%)" [[파일:Germany DFB 1998.png|height=100px]]}}} ||<|2> '''{{{+5 2 : 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5%, #da0000 5%, #da0000 95%, #fff 95%)" [[파일:Iran FFIRI 1998.png|height=100p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95%, #dd0000 95%)"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GER.png|height=20]] {{{#fff '''독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5%, #da0000 5%, #da0000 95%, #fff 95%)"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IRN.png|width=20]] {{{#fff 이란}}}]]'''}}} || || '''{{{#373a3c,#dddddd 50′}}} [[올리버 비어호프|{{{#373a3c,#dddddd 비어호프}}}]][br]{{{#373a3c,#dddddd 57′}}} [[위르겐 클린스만|{{{#373a3c,#dddddd 클린스만}}}]]'''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 || 이란은 16강진출을 위해선 독일을 반드시 잡아야 했고, 무승부도 불안한 상황. 독일은 비기기만 해도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었다. 이란은 전반전을 잘 버텼으나 후반전 외르그 하인리히의 패스가 [[토마스 헤슬러]]에게 이어졌고 해슬러는 이를 크로스로 올렸고 [[올리버 비어호프]]의 헤더골로 이어졌다. 이후 이란은 급격히 무너지기 시작했고, 외르그 하인리히의 헤더패스가 [[올리버 비어호프]]에게로 떨어지고 비어호프의 환상적인 슈팅이 이어졌으나 골대에 맞게 된다. 그렇게 튀어나오는 공을 쇄도하던 [[위르겐 클린스만]]이 믿을수 없는 반사신경을 보여주며 다이빙 헤더로 쐐기골을 넣었다.--그렇게 비어호프의 월드컵 킥 득점은 4년이나 미뤄졌다.-- 큰 반전 없이 독일의 승리로 경기는 끝났다. 여담으로 이란 관중들이 독일 국가가 울려퍼질때 이란 관중들이 나치 경례(!)를 하는 바람에 독일 관중들이 당황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youtube(fZEI7nua39U)] == 제5경기-2: 미국 0-1 유고슬라비아 (스타드 드 라 보주아루, 낭트) == ||<-3>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파일: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로고.svg|height=60]]]] '''{{{#FF0000 1998}}} {{{#000 FIFA 월드컵}}} {{{#0d2b88 프랑스}}} {{{#000 F조 제5-2경기}}} [br]{{{#000 1998. 06. 25. (목) 21:00 (UTC+1)}}}''' || ||<-3> '''{{{#ffffff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ffffff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 ([[프랑스|{{{#ffffff 프랑스}}}]], [[낭트|{{{#ffffff 낭트}}}]])}}}''' || ||<-3> '''{{{#ffffff 주심:}}}''' [[파일:UEFA EGY.png|height=20]] [[가말 간두르|{{{#ffffff '''가말 간두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5%, #b31c31 25%, #b31c31 30%, #39386e 30%, #39386e 35%, #b31c31 35%, #b31c31 40%, #fff 40%)" [[파일:USA USSF 1998.png|height=100px]]}}} ||<|2> '''{{{+5 0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5%, #000080 5%, #000080 95%, #fff 9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10px-Yugoslav_Football_Federation_1990.png|width=2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9386e 2%, #fff 2%, #fff 98%, #39386e 98%)"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USA.png|width=20]] {{{#!html 미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5%, #fff 5%, #fff 95%, #000080 95%)"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s-2.1|[[파일:UEFA YUG.png|width=20]] {{{#000080 유고슬라비아}}}]]'''}}} || || '''{{{#373a3c,#dddddd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373a3c,#dddddd 4′}}} [[슬로보단 콤레노비치|{{{#373a3c,#dddddd 콤레노비치}}}]]''' || [youtube(2rBXQuUZCQ0)] 미국은 이미 탈락이 확정되었고, 유고슬라비아는 무승부만해도 자력 16강진출이 확정되던 상황이었다. 져도 다른 경기장에서 독일이 이란을 이겨준다면 16강으로 갈수 있는 매우 유리한 위치. 그러나 유고슬라비아는 경우의 수따윈 상관없다는 듯이 전반 초반부터 [[시니샤 미하일로비치]]의 강력한 프리킥이 미국의 골대로 향했고 [[브래드 프리델]] 골키퍼가 이를 펀칭했지만 슬로보단 콤레노비치의 리바운드 골로 이어지며 일찌감치 승기를 잡게 되었다. 미국이 반격에 나섰지만 무기력했고, 결국 유고슬라비아의 승리로 경기는 마무리 되었다. 한편, 미국은 이 경기의 패배로 조 꼴찌는 물론 32개의 본선 진출국 중에서도 꼴찌를 기록하고 말았다.[* 같은 3패를 기록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보다도 골득실에서 1점 밀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1998 FIFA 월드컵 프랑스/E조, version=78)] [[분류:1998 FIFA 월드컵 프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