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FIFA 여자 월드컵)] ||<-3> '''{{{+3 {{{#fff 1999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 ||<-3> '''{{{#c06 1999 FIFA Women's World Cup USA™}}}'''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99_FIFA_Women%27s_World_Cup_Primary_Logo.gif|width=250]] || || '''{{{#c06 대회기간}}}''' ||<-2> [[6월 19일]] ~ [[7월 10일]] || || '''{{{#c06 개최국}}}''' ||<-2>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 || '''{{{#c06 참가팀}}}''' ||<-2> 16개팀 || ||<-3> '''{{{#fff 대회 결과}}}''' || || '''{{{#000 우승}}}''' ||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미국]][br]{{{-1 (2번째 우승)}}} || [[파일:USA USSF 2010.png|height=40]] || || '''{{{#000 준우승}}}''' ||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40]] || || '''{{{#000 3위}}}''' ||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 || [[파일: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png|height=40]] || || '''{{{#000 4위}}}''' ||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 [[파일:Norway W NFF 2018.png|height=40]] || ||<-3> '''{{{#fff 연표}}}''' || || '''{{{#c06 이전 대회}}}''' ||<-2> [[1995 FIFA 여자 월드컵 스웨덴|1995 FIFA 여자 월드컵 (스웨덴)]] || || '''{{{#c06 다음 대회}}}''' ||<-2> [[2003 FIFA 여자 월드컵 미국|2003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9년 6월 19일부터 7월 10일까지 미국 8개 도시에서 펼쳐진 제3회 여자 월드컵이다. == 개최지 선정 == 대륙별 순환 개최 원칙에 따라 유럽에 이어 북중미 [[미국]]에서 개최되었다. 동시에 이번 대회서부터 참가국이 12개국에서 16개국으로 늘어났다. == 지역예선 == 대륙별로 주어진 티켓 및 지역예선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연맹 || 티켓수 || 비고 || || 유럽(UFFA) || 6장 || 독자적인 월드컵 지역예선 존재. || || 아시아(AFC) || 3장 || AFC 여자 아시안컵이 지역예선 겸임. || || 북중미카리브(CONCACAF) || 2.5장(개최국 포함) || 북중미 여자 북중미카리브 챔피언십이 지역예선 겸임. || || 남미(CONMEBOL) || 1.5장 || 남미 여자축구 챔피언십이 지역예선 겸임. || || 아프리카(CAF) || 2장 || 아프리카 여자축구 챔피언십이 지역예선 겸임. || || 오세아니아(OFC) || 1장 || OFC 여자 챔피언십이 지역예선 겸임. || 유럽을 제외한 나머지 대륙은 대륙대회가 예선을 겸임한다. 북중미카리브 챔피언십 3위와 남미 챔피언십 2위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마지막 본선 티켓을 두고 다툰다. === 유럽 === 유럽예선은 총 16개국이 참가하였다. 16개국은 4개국씩 1개 조로 편성되어 총 4개 조로 나뉘어 지역예선을 치룬다. 각 조 1위팀과 2위 중 가장 높은 승점을 획득한 2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 A조 : '''스웨덴''', 우크라이나, 아이슬란드, 스페인 * B조 : '''이탈리아''', 핀란드, 프랑스, 스위스 * C조 : '''노르웨이''', 독일, 네덜란드, 잉글랜드 * D조 : '''덴마크''', 러시아, 포르투갈, 벨기에 굵은 색이 각 조 1위를 차지한 국가이다. * 본선 진출국 : 스웨덴, 이탈리아, 노르웨이, 덴마크, 러시아, 독일 === 아시아 === * 총 11개국이 3개조로 나누어 조별리그를 치러 각조 1위팀과 2위 중 가장 승점이 높은 팀 1개팀이 토너먼트를 치러 3위까지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 A조 : '''일본''', 인도, 홍콩, 괌 * B조 : '''중국''', '''북한''', 우즈베키스탄, 필리핀 * C조 : '''대만''', 대한민국, 카자흐스탄 A조 1위를 차지한 일본, B조 1위를 차지한 중국, C조 1위를 차지한 대만, 2위팀 중 가장 높은 기록을 낸 북한이 4강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4강 1경기에서 북한이 일본을 1:0으로 이겼고, 2경기에서는 중국이 대만에게 10:0으로 대승하며 본선 진출권을 따냈다. 일본과 대만이 3/4위전을 가졌는데 일본이 대만에게 2:0으로 승리하며 본선 티켓을 따냈다. 결승전에서 중국은 북한에게 2:0으로 이기며 6번째 아시안컵 정상에 올랐다.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분전했으나 1승 1무를 기록, C조 2위를 차지하였는데, 2위팀간 순위대결에서 북한에게 밀려 본선 티켓을 따는데 실패하였다. * 본선 진출국 : 중국, 북한, 일본 === 북중미카리브 === 북중미카리브 여자 챔피언십은 A, B조로 나눠 각조 1, 2위팀이 토너먼트에 돌입하여 상위 2개국이 본선직행 티켓을 획득한다. 미국은 개최국이므로 예선에 불참했다. * A조 : '''캐나다''', '''과테말라''', 마르티니크, 푸에르토리코 * B조 : '''멕시코''', '''코스타리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아이티 4강 1경기에서 멕시코가 과테말라에게 8:0으로 이겼고, 2경기에서는 캐나다가 2:0으로 코스타리카에게 이기며 본선 티켓을 따냈다. 결승전에서는 캐나다가 멕시코에게 1:0으로 이기며 첫 번째로 우승컵을 들었다. * 본선 진출국 : 캐나다 === 남아메리카 === 남미 여자축구 챔피언십은 두번에 걸친 조별리그를 거쳐 우승팀 및 본선진출국을 결정한다. A조 : '''브라질''', '''페루''', 콜롬비아, 칠레, 베네수엘라 B조 :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파라과이, 우루과이, 볼리비아 각 조 1, 2위팀은 최종라운드에 진출한다. 이 네 팀간 토너먼트에서 우승팀만 본선에 진출한다. 2위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4강 1경기에서 브라질이 에콰도르에게 11:1로 대승하였고, 2경기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페루에게 4:3으로 이겨 결승에 진출하였다. 결승전에서 브라질이 아르헨티나에게 7:1로 이겨 본선티켓을 거머쥐었고, 3번째 우승컵을 들었다. 아르헨티나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 본선 진출국 : 아르헨티나, 브라질 === 아프리카 === 아프리카 여자 챔피언십 본선은 총 8개국만이 참가하며 예선 플레이오프를 결쳐 최종라운드에 진출한 8개 팀이 아프리카 챔피언십에서 본선 티켓 2장을 갖고 경쟁한다. * 예선 라운드 결과 : 모잠비크, 남아공, 이집트, 가나, 콩고민주공화국, 카메룬, 모로코 진출 * 아프리카 챔피언십 최종 본선 A조 : '''나이지리아''', '''콩고민주공화국''', 모로코, 이집트 B조 : '''가나''', '''카메룬''', 남아공, 모잠비크 최종 본선 조별리그에서 A조는 나이지리아가 1위, 콩고민주공화국이 2위를 차지하였고, B조는 가나가 1위, 카메룬이 2위를 차지하였다. 4강 1경기에서 나이지리아가 카메룬에게 6:0로 이겼고, 2경기에서는 가나가 콩고민주공화국에게 4:1로 이기며 본선티켓을 따냈다. 3/4위전에서는 콩고민주공화국이 카메룬에게 승부차기 결과 3:1로 이겼고, 결승전에서는 나이지리아가 가나에게 2:0로 이기며 3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 본선 진출국 : 나이지리아, 가나 === 오세아니아 === OFC 여자 챔피언십 우승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총 6개국이 2개조로 나뉘며, 우승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A조 : '''뉴질랜드''', '''피지''', 사모아 B조 : '''호주''', '''파푸아 뉴기니''', 미국령 사모아 4강 1경기에서 뉴질랜드가 파푸아뉴기니에게 5:0으로 승리하였고, 2경기에서는 호주가 피지에게 17:0으로 승리하였다. 결승전에서 호주가 뉴질랜드에게 3:1로 이기며 본선 티켓을 획득하였다. * 본선 진출국 : 호주 === 대륙간 플레이오프 === COMNEBOL 준우승팀 아르헨티나와 CONCACF 골드컵 준우승 멕시코가 홈앤어웨이 방식으로 진출팀을 가렸다. 1차전에는 멕시코가 3:1으로 아르헨티나를 이겼다. 2차전에는 역시 멕시코가 아르헨티나에게 3:2로 이겼다. 2승을 거둔 멕시코가 본선에 합류하였다. * 본선 진출국 : 멕시코 == 경기장 == ||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 [[시카고]] || [[솔저 필드]][* [[NFL]]의 [[시카고 베어스]]의 홈구장] || 63,500 || || [[이스트 러더포드]] || 자이언츠 스타디움[* 한때 [[NFL]]의 [[뉴욕 자이언츠]]의 홈구장이었으나 2010년 철거됨.] || 80,242 || || [[폭스버러]] || 폭스버러 스타디움[* [[NFL]]의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의 홈구장이었으나 2002년 철거됨.] || 60,292 || || [[팔로 알토]] || [[스탠퍼드 스타디움]] || 85,500 || || [[패서디나]] || [[로즈 볼]] || 94,392 || || [[포틀랜드]] || [[프로비던스 파크|시빅 스타디움]][* [[MLS]]의 [[포틀랜드 팀버스]]의 홈구장] || 20,438 || || [[새너제이]] || 스파르탄 스타디움[* 과거 [[MLS]]의 [[산호세 어스퀘이크스]]의 홈구장이었다.] || 31,218 || || [[랜도버]] || [[페덱스 필드|잭 켄트 쿡 스타디움]][* [[NFL]]의 [[워싱턴 레드스킨스]]의 홈구장이다.] || 80,116 || == 본선 진출국 == || 연맹 || 티켓수 || 진출국 || || 유럽(UFFA) || 6장 || 덴마크, 독일, 러시아, 노르웨이, 스웨덴, 이탈리아 || || 아시아(AFC) || 3장 || 중국, 북한, 일본 || || 북중미카리브(CONCACAF) || 2.5장(개최국 포함) || 미국(개최국), 캐나다, 멕시코 || || 남미(CONMEBOL) || 1.5장 || 브라질 || || 아프리카(CAF) || 2장 || 나이지리아, 가나 || || 오세아니아(OFC) || 1장 || 호주 || == 본선 진행 == === 조별 리그 === * A조 : '''미국''', '''나이지리아''', 북한, 덴마크 개최국 미국은 전승으로 통과하였고, 나이지리아가 2승 1패로 2위를 차지하며 조별리그를 통과하였다. 북한은 1승 2패, 덴마크는 3패로 대회를 마감했다. 북한은 처음 본선에 올랐으나 2라운드에 진출하지는 못했다. * B조 : '''브라질''', '''독일''', 이탈리아, 멕시코 브라질이 2승 1무로 조 1위, 독일이 1승 2무로 조 2위를 차지하며 조별리그를 통과하였다. 이탈리아는 1승 1무 1패, 멕시코는 3패로 대회를 마감했다. * C조 : '''노르웨이''', '''러시아''', 캐나다, 일본 노르웨이가 3승으로 1위, 러시아가 2승 1패로 2위를 차지하며 조별리그를 통과하였다. 캐나다와 일본은 나란히 1무 2패로 마감하였다. * D조 : '''중국''', '''스웨덴''', 호주, 가나 중국이 전승으로 1위, 스웨덴이 2승 1패로 2위를 차지하며 조별리그를 통과하였다. 호주는 1무 2패, 가나는 1무 2패로 대회를 마감했다. === 토너먼트 === 8강 1경기 미국이 독일에게 3:2으로 이겼다. 8강 2경기 브라질이 나이지리아에게 4:3으로 승리하였다. 8강 3경기 노르웨이는 스웨덴에게 3:1으로 이겼다. 8강 4경기 중국은 러시아에게 2:0로 승리하였다. 4강 1경기 미국이 브라질에게 2:0으로 승리하였다. 4강 2경기 중국이 노르웨이에게 5:0으로 완승하였다. 3/4위전에서는 브라질이 노르웨이에게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기며 3위를 차지하였다. [youtube(xbdddwVP7X4)] [youtube(szkbeZnrV4M)] 결승전에서 미국이 중국에게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승리하며 초대 대회 이후 2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미국은 5승 1무 무패로 우승하였다. || 경기 || 대진표 || 경기 || 대진표 || 경기 || 대진표 || || A || 8강 1경기 [br] '''미국''' 3:2 독일 ||<|2> E ||<|2> 4강 1경기 [br] '''미국''' 2:0 브라질 ||<|4> G ||<|4> 결승 [br] '''미국''' 0:0(5:4) 중국 || || B || 8강 2경기 [br] '''브라질''' 4:3 나이지리아 || ||<-4> {{{#white - }}} || || C || 8강 3경기 [br] '''노르웨이''' 3:1 스웨덴 ||<|2> F ||<|2> 4강 2경기 [br] 노르웨이 0:5 '''중국''' || || D || 8강 4경기 [br] '''중국''' 2:0 러시아 || H || 3/4위전 [br] '''브라질''' 0:0(5:4) 노르웨이 || ||
'''{{{+2 1999 FIFA 여자 월드컵 우승}}}'''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0]] [br] '''미국''' || || 2번째 우승 || == 결과 == ||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비고 || || 1 || 미국 || 6 || 5 || 1 || 0 || 18 || 3 || +15 || '''16''' || '''우승''' || || 2 || 중국 || 6 || 5 || 1 || 0 || 19 || 2 || +17 || '''16''' || 준우승 || || 3 || 브라질 || 6 || 3 || 2 || 1 || 16 || 9 || +7 || '''11''' || 3위 || || 4 || 노르웨이 || 6 || 4 || 1 || 1 || 16 || 8 || +8 || '''13''' || 4위 || || 5 || 러시아 || 4 || 2 || 0 || 2 || 10 || 5 || +5 || '''6''' || 8강 || || 6 || 스웨덴 || 4 || 2 || 0 || 2 || 7 || 6 || +1 || '''6''' || 8강 || || 7 || 나이지리아 || 4 || 2 || 0 || 2 || 8 || 12 || -4 || '''6''' || 8강 || || 8 || 독일 || 4 || 1 || 2 || 1 || 12 || 7 || +5 || '''5''' || 8강 || || 9 || 이탈리아 || 3 || 1 || 1 || 1 || 3 || 3 || 0 || '''4''' || 1라운드 || || 10 || 북한 || 3 || 1 || 0 || 2 || 4 || 6 || -2 || '''3''' || 1라운드 || || 10 || 호주 || 3 || 0 || 1 || 2 || 3 || 7 || -4 || '''1''' || 1라운드 || || 12 || 캐나다 || 3 || 0 || 1 || 2 || 3 || 12 || -9 || '''1''' || 1라운드 || || 13 || 일본 || 3 || 0 || 1 || 2 || 1 || 10 || -9 || '''1''' || 1라운드 || || 13 || 가나 || 3 || 0 || 1 || 2 || 1 || 10 || -9 || '''1''' || 1라운드 || || 15 || 덴마크 || 3 || 0 || 0 || 3 || 1 || 8 || -7 || '''0''' || 1라운드 || || 16 || 멕시코 || 3 || 0 || 0 || 3 || 1 || 15 || -14 || '''0''' || 1라운드 || == 이야깃거리 == 이 대회부터 우승컵의 모양이 현재 쓰이는 형태로 바뀌었다. 당시 우승을 차지한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멤버들은 지금도 자국 여자 축구 역사상 최강의 드림팀으로 평가받는다. [youtube(z-A1-Rz_pks)] 결승전 승부차기에서 마지막 골을 넣은 미국의 브랜디 차스테인은 우승 확정 후, 유니폼 상의를 벗고 스포츠 브라 복장을 드러내며 환호하는 모습으로 화재가 되기도 했다. 그로부터 20년 후인 2019년 7월, 이 장면을 재현한 동상이 세워졌다. [[분류:FIFA 여자 월드컵]][[분류:1999년 여자 축구]][[분류:미국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분류:클린턴 행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