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온게임넷 스타리그)] || [[파일:00_하나토통신배_OSL.jpg|width=100%]] || || 리그 엠블럼 || [목차] [clearfix] == 개요 == * 리그기간 : 2000년 2월 16일 ~ 2000년 5월 16일 * 16강 : 2000년 2월 16일 ~ 2000년 3월 22일 * 8강 : 2000년 3월 29일 ~ 2000년 4월 12일 * 4강 : 2000년 4월 26일 ~ 2000년 5월 3일 * 3-4위전 : 2000년 5월 10일 * 결승전 : 2000년 5월 16일 * 조 편성 ||A조||'''[[최진우]]''', [[임정호(프로게이머)|임정호]], 김동구, '''[[변성철]]'''|| ||B조||'''[[국기봉]]''', '''[[기욤 패트리]]''',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유병옥|| ||C조||'''[[이기석]]''', [[도진광]], '''[[김대기(프로게이머)|김대기]]''', [[김슬기(프로게이머)|김슬기]]|| ||D조||김태목, '''[[최인규(1981)|최인규]]''', 크리스토퍼[* 풀 네임은 크리스토퍼 페이지(Christopher Page). [[미국]] 출신의 [[프로토스]] 유저이다.], '''[[강도경]]'''|| * 우승 [[기욤 패트리]], 준우승 [[강도경]], 3위 [[최인규(1981)|최인규]], 4위 [[변성철]] * 특이사항 * 최초로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리그]]' 라는 명칭을 사용한 대회.[* 사실 '스타리그'는 PKO(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이라는 명칭을 당시 대회를 주관하던 회사가 상표 등록을 해버리는 바람에 더 이상 쓸 수 없었기 때문에 고육지책으로 택한 명칭이다. 애초에 PKO 라는 이름 자체가 그 회사의 대회명이자 회사이름이었다.] * 지난 시즌 입상자 4명으로 구성된 시드 배정자 + 12명의 예선 통과자로 구성. * [[SK브로드밴드|IT 기업]] 최초의 스폰. * 4강에서 분리형 다전제 양 방송사 통틀어 최초 사용.[* 2000년 4월 26일 [[기욤 패트리]] vs. [[변성철]] 1~2경기, [[강도경]] vs. [[최인규(1981)|최인규]] 1~2경기, 5월 3일 나머지 경기.] * 4강 입상선수에게 다음 시즌 시드 배정. * 3 ,4위전이 3판 2선승제로 치러짐. * '''저그 최초 [[옐로로더]] 배출 및 랜덤 종족 두번째 리그 우승이자 최후의 [[로얄로더]] 배출'''. * 최초로 자체 제작맵을 대회 공식맵으로 사용.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브루드 워]]로 치러진 개인리그 사상 유일하게 외국인이 우승한 국내 리그이자 랜덤 종족이 마지막으로 결승 진출, 우승한 개인리그.[* 이전까지는 [[스타크래프트 2]]를 모두 포함해도 [[기욤패트리]]가 유일한 국내 리그 외국인 우승자였으나 스타크래프트 2로 치러진 [[2016 KeSPA Cup]]에서 [[알렉스 선더하프트]]가 우승하면서 16년만에 국내리그 외국인 우승자가 나오게 된다.] * 최초로 결승전이 생방송으로 중계. * 양대리그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결승전이 화요일에 열림. * 기욤 패트리 랜덤 종족으로 유일하게 저그 사용하지 않음, 주종족 프로토스 - 부종족 테란. * 우승 확정 후 나오는 BGM이 최초로 쓰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cn68WSmrWQw|Wizards and Warriors 게임의 메인 테마]].] * 우승자 상금 : 2,000만 원[*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상승.] 및 준우승 상금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000_Hanaro_OSL|500만원]], 3위 상금 300만원 * [[https://www.youtube.com/watch?v=XPS0Kt7ymmk&list=PLR3ZiNqGs0OQQoCHFMrTezdEcNbXP_O-G|VOD 목록]] 자세한 대진은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대진표]]를 참고. == 사용 맵 == ||<-5> [[파일:00_하나토통신배_OSL.jpg |width=10%]] '''{{{#DD3431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맵}}}'''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5px; margin-left:-10px; margin-right:-10px;" [[파일:attachment/BlazeOSL.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5px; margin-left:-10px; margin-right:-10px;"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19_Deep%20Purple.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파일:Glacial_Epoch.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파일:스페이스 오디세이(스타크래프트).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top:-5px; margin-bottom:-5px; margin-left:-10px; margin-right:-10px;" [[파일:DARK STONE.jpg |width=100%]] }}}|| ||<#A56128> [[블레이즈|{{{#fff 블레이즈}}}]] ||<#3C4262> [[딥 퍼플(동음이의어)|{{{#fff 딥 퍼플}}}]] ||<#FFFFFF> {{{#000 글레이셜 에팍}}} ||<#383B43> [[스페이스 오디세이(스타크래프트)|{{{#fff 스페이스 오디세이}}}]] ||<#2C2624> {{{#FFF 다크 스톤}}} || == 열악한 환경에서의 흥행 == [[온게임넷]]이 아닌 같은 [[온미디어]][* 지금은 [[CJ E&M]] 소속이다.] 소속의 애니메이션 전문 케이블 방송사 [[투니버스]]에서 대회를 주관했다. 실질적인 온게임넷 스타리그 1회 대회. 8강전이 한창일 때, 4강 진출이 걸린 중요한 일전에서 전 대회의 준우승자인 [[국기봉]]은 불의의 사고로 왼손의 약지 손가락에 부상을 입었다. 이 당시 한창 주가를 날리던 저그 [[강도경]]과의 경기에서 손가락에 깁스까지 한 채로 부상 투혼을 보였지만 안타깝게 패배하고 8강에서 탈락했다. 이후 국기봉은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예선 탈락을 하게 되고 [[PSL#s-1|PC방 리거]] 신세가 되지만 FINAL2000 왕중왕전에서 화려하게 부활하며 마지막 불꽃을 태우지만 마지막 결승 무대에서 기욤 패트리에게 [[리버스 스윕|패배하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기욤 패트리]]가 [[강도경]]을 결승전에서 세트 스코어 3:2로 꺾고 우승한 대회. [[스타크래프트]] 개인 리그 사상 외국인이 우승한 유일한 리그이다. 온게임넷에서는 온게임넷 스타리그 '''최초의 로열로더'''를 기욤 패트리로 인정했다.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이 온게임넷 스타리그 역사에 들어갔다 빠졌다 한 신세라 저 대회는 인정하지 않는 듯한 뉘양스를 취했다.[* 더군다나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와 [[박카스 스타리그 2010]] 때는 넣다가 빠지다가 한 적이 있기에 애매한 위치.] 1회 대회 때 좋은 성적을 보여준 최초의 우승자인 [[최진우]], 준우승자 [[국기봉]], 3위 [[이기석]] 외에도 [[빅터 마틴|빅터]]에 이어 두 번째 외국인 프로게이머 '푸른 눈의 전사' [[기욤 패트리|기욤]], '저그대마왕' [[강도경]], '마우스 오브 조로' [[최인규(1981)|최인규]], 방송경기 최초로 '''[[5드론]]''' 전략을 선보인 [[변성철]], '테란의 황테자'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SK테란]]'''의 창시자 [[김슬기(프로게이머)|김슬기]], '''[[적절]]'''한 "그분" [[김대기(프로게이머)|김대기]], '나중에 임요환과 패러독스 혈전을 보여준' ~~진광대사~~ [[도진광]] 등 1세대 프로게이머들이 대거 참가해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이상의 흥행을 거두었다. 최초의 온게임넷 스타리그이긴 하지만 리그 진행 당시 온게임넷이 개국하기 이전이기 때문에 투니버스 스타리그라는 타이틀을 가진 유일한 리그이다. 하지만 선수들은 당시를 회상하면서 '탁구대 위에 '''[[모니터]] 놓고 게임'''했다'는 말을 했을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서 치루어졌다.[* 비유가 아니라 진짜로 이렇게 했다. 당시만 해도 [[KIGL]], [[PKO]], [[KGL]] 등의 대회가 메이저 대회로 인정받았으며 심지어 [[iTV 랭킹전]]조차 투니버스 및 온게임넷 스타리그보다 위상이 높았다. 당시만 해도 군소대회였으니 열악할 수밖에.] 그리고 이 대회의 예상 외의 흥행에 힘입어 2000년 7월 24일에 [[온게임넷]]이 개국되게 되는 밑거름이 된다. == 결승전 == 기욤은 [[저그]] [[강도경]]을 상대로 5판 3선제 결승전에서 1~3경기는 [[프로토스]]를 선택해서 사용했고, 4경기는 랜덤[[프로토스]], 마지막 2:2인 [[https://www.youtube.com/watch?v=myaTYJf8nIo|5경기]]에서는 랜덤[[테란]]으로 승리하였다. [각주] [[분류:온게임넷 스타리그]][[분류:기욤 패트리]][[분류:강도경]][[분류:최인규(1981)]][[분류:2000년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