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04년]] 12월에 있었던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의 아시아 원정으로 열린 친선경기 3개를 정리한 페이지. 2004년에 [[위르겐 클린스만|클린스만]]호는 아시아 투어의 일환으로 [[일본]], [[대한민국|한국]], [[태국]]을 거치면서 세 차례의 친선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일본, 태국과는 첫 만남이었고, 대한민국과는 3번째[* 첫 번째는 [[1994 FIFA 월드컵 미국/C조#s7|1994 월드컵 조별리그]], 두 번째는 [[히딩크호/독일전|2002 월드컵 4강전]]이었다. 앞의 두 경기에서는 각각 독일이 3:2, 1:0으로 승리했다.] 만남이었다. 당시 독일 축구 연맹은 독일 대표팀이 [[UEFA 유로 2004]]에서 초라한 성적으로 탈락해 [[루디 푈러]] 감독을 경질하고 [[위르겐 클린스만]]을 임명해 세대교체 작업을 하고 있었다. 본문에 있는 "상세 정보" 링크는 [[독일 축구 연맹]] 공식 사이트의 자료로 연결된다. == 대 일본 (2004.12.16, 일본 요코하마 [[닛산 스타디움]]) - 3:0 승리 == ||<:><-2> '''{{{#ffffff 친선 경기 (2004년 12월 16일)}}}'''|| ||<-2><:> '''{{{#009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요코하마, 일본)}}}'''|| ||<-2><:> '''{{{#000 주심:}}}''' [[마크 실드|{{{#000 '''마크 실드'''}}}]] '''{{{#000 (호주)}}}'''|| ||<:> [[파일:Japan JFA 2007.png|height=100px]] ||<:> [[파일:Germany DFB 2006.png|height=100px]]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fff 일본}}}]]'''||<:>'''[[독일 축구 국가대표팀|{{{#fff 독일}}}]]'''|| ||<:>'''{{{+5 0}}}'''||<:>'''{{{+5 3}}}'''|| ||<:>-||<:>'''{{{#000 54′, 90+2′}}} [[미로슬라프 클로제|{{{#000 미로슬라프 클로제}}}]]'''[br]'''{{{#000 69′}}} [[미하엘 발락|{{{#000 미하엘 발락}}}]]'''|| ||<-2><:>'''{{{#090 관중: 61,805명}}}'''|| ||<-2><:>'''[[https://www.dfb.de/die-mannschaft/spiele-termine/?spieledb_path=%2Fmatches%2F434987|상세 정보(독일어)]]'''|| [youtube(ZNpCGtmGbTY)]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과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의 사상 첫 A매치다. 당시 독일은 골키퍼 [[올리버 칸]]과 [[미로슬라프 클로제]], [[미하엘 발락]], [[베른트 슈나이더]] 등 몇 명을 빼면 대부분 신예 선수들을 대거 출전시켰다. 그러나 일본은 피지컬로 거칠게 밀어버리는 독일에 힘 한 번 제대로 써보지 못하며 시종일관 밀리는 경기를 했다. 전반전은 어찌어찌 0 : 0으로 비겼으나 후반 9분에 클로제에 선제골[* [[미하엘 발락]]의 프리킥을 처음에는 [[나라자키 세이고]]가 튕겨냈으나, 클로제가 잡아서 차 넣었다.]을 내준 것을 시작으로 후반 25분에는 역습에 밀려 발락에게 중거리 추가골을 내주었고 또 종료 직전에 클로제에게 1골을 더 먹어 패배했다. 이후 [[2006 FIFA 월드컵 독일|2006년 독일 월드컵]]이 열리기 직전이던 2006년 5월 30일, 일본은 [[레버쿠젠]]에서 다시 한 번 독일과 친선전을 가졌고 이 때는 오히려 후반 9분과 20분에 [[다카하라 나오히로]]가 멀티골을 터뜨리며 일본이 2 : 0으로 리드했다. 그러나 일본 축구의 고질병인 뒷심 부족으로 인해 후반 31분, [[미로슬라프 클로제]]에 만회골을 내주었고 또 후반 34분에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에게 동점골을 내주며 2 : 2무승부로 독일 홈에서 승점 1점을 기록했다. 이후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카타르 월드컵]]에서 같은 조로 만나서 일본은 결국 설욕에 성공한다. == 대 대한민국 (2004.12.19, 대한민국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부산 아시아드주경기장]]) - 1:3 패배 == ||<:><-2> '''{{{#ffffff 친선 경기 (2004년 12월 19일)}}}'''|| ||<-2><:> '''{{{#009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부산, 대한민국)}}}'''|| ||<-2><:> '''{{{#000 주심:}}}''' [[숩키딘 모드 살레|{{{#000 '''숩키딘 모드 살레'''}}}]] '''{{{#000 (말레이시아)}}}'''|| ||<:>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height=100px]] ||<:> [[파일:Germany DFB 2006.png|height=100px]]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fff 대한민국}}}]]'''||<:>'''[[독일 축구 국가대표팀|{{{#000 독일}}}]]'''|| ||<:>'''{{{+5 3}}}'''||<:>'''{{{+5 1}}}'''|| ||<:>'''{{{#000 16′}}} [[김동진(1982)|{{{#000 김동진}}}]]'''[br]'''{{{#000 71′}}} [[이동국|{{{#000 이동국}}}]]'''[br]'''{{{#000 87′}}} [[조재진|{{{#000 조재진}}}]]'''||<:>'''{{{#000 24'}}} [[미하엘 발락|{{{#000 미하엘 발락}}}]][[프리킥|{{{#090 (FK)}}}]]'''|| ||<-2><:>'''{{{#090 관중: 45,775명}}}'''|| ||<-2><:>'''[[https://www.dfb.de/die-mannschaft/spiele-termine/?spieledb_path=%2Fmatches%2F434986|상세 정보(독일어)]]'''|| [youtube(Nw_jeMmLsi0)] ||<-4>
'''{{{#white 중계 방송}}}''' || || [[SBS|[[파일:SBS 로고.svg|height=20]]]] || [[신문선]] || [[송재익]] || [[홍명보]] || 이 부분의 자세한 사항은 [[본프레레호/2004년#s-2.4|본프레레호의 2004년 활동]] 문서에 나와 있다. 경기 전 한국은 [[1994 FIFA 월드컵 미국/C조#s-7|1994년]]과 [[히딩크호/독일전|2002년]] 패배하면서 역대 전적에서 뒤쳐져 있었다. 그래서 월드컵 독일전의 경기를 만회하고자 하는 바램은 강했지만, 당시 독일은 [[분데스리가]] '''최정예가 모인 명실 상부한 1군'''.[* 일본전과 태국전에 신예들을 투입시킨 것과 비교해 보면 독일도 한국을 만만하게 보지는 않은 모양이다. 그도 그럴 것이 [[한일 월드컵]] 당시 토너먼트에서 비교적 쉽게 4강까지 올라온 독일에 반해 이탈리아와 스페인까지 연장전 접전 끝에 누르고 올라온 탓에 기본 전력과 체력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고전 끝에 독일이 1:0 진땀승을 거둘 정도로 막강한 포스를 경험했기에 독일도 최정예를 투입시킬 필요가 있다 판단했을걸로 보인다.] 한일월드컵 MVP를 수상한 골키퍼 올리버 칸은 물론 전성기였던 발락과 클로제, 신성이었던 필립 람과 슈바인슈타이거 등이 포진해 있었다. 그에 반해 한국은 골키퍼 이운재와 공격수 차두리를 제외하고 월드컵 출전 경험도 없는 데다, 유럽파 박지성도 없었다. 거기다 수비진에는 당대 자동문이라 비아냥을 듣던 박동혁-박재홍 콤비가 있었고, 이들과 함께 3백을 맡은 선수는 당시 21살의 애송이 수비수 [[김진규(1985)|김진규]], 거기다 미드필더진에는 국대에서 카드 캡쳐라고 놀림 받던 [[김상식(축구)|김상식]]이었다[* 하지만 김상식이 국대에서 부진했던 것은 최후방 수비수를 맡았기 때문. 김상식은 당시에 체격도 좋고, 몇 안되는 빌드업 능력을 갖고 있는 선수라 [[허정무]] 1기 때부터 수비수로 키우려 했지만, 이것은 히딩크조차 실패한 일이었다. 결국 수비수로는 비판만 받았지만,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능력은 [[김남일]] 못지 않았다. 이 경기에서도 독일 떡대들에게서 왜소하지만 패스마스터 김두현을 보호하며 공격에 전념하게 만든 공헌자가 바로 김상식이다.]. 이렇다 보니 당시 축구팬들의 반응은 '''도이치포비아''' 그 자체였다. 과연 홈에서 얼마나 발릴까 자조하고 있었으나... 실제 경기가 시작되자 한국 대표팀은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전반 16분, [[김동진(1982)|김동진]]의 선제골[* 이동국이 김상식의 패스를 받아 넣은 크로스를 [[아르네 프리드리히]]가 헤더로 걷어냈으나, 공이 김동진 앞에 굴러갔고 김동진이 지체없이 슛을 날려 선제골로 연결했다.]을 시작으로 후반 26분에 [[이동국]], 후반 42분에 [[조재진]]이 릴레이 골[* 그 와중에 [[필립 람]]이 골대에 그대로 이마를 들이받으며 쓰러졌다.]을 터뜨리며 전반 24분에 [[미하엘 발락]]의 프리킥으로 1골을 만회하는데 그친 독일을 3 : 1로 격파해 아시아 팀으로선 최초로 독일을 이긴 팀이 되었다. 한국의 이 3골은 다시 봐도 놀라운 상황이었으며, 특히 이동국이 터트린 두번째 골은 [[올리버 칸]]도 전혀 손을 쓰지 못한 체 바라보기만 해야 했다. 또한 이 경기에서 [[미하엘 발락|발락]]은 [[박재홍(축구)|박재홍]]의 핸드볼 반칙으로 [[페널티 킥]]까지 얻었는데, [[이운재]]에게 막혀 버렸다.[* 페인트 모션으로 왼쪽으로 나는 척하며 자신의 오른쪽으로 차도록 유도했다. 발라크가 그대로 속아 넘어가며 이운재의 오른쪽으로 찼으나 막혔다.] --2002년 분패의 복수-- 독일이 이 경기에서 패배한 이유 중의 하나로 당시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들의 평균 체격이 거의 북유럽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독일은 유럽식 파워 축구를 구사했는데, 이런 스타일에 유럽 이외 국가들은 몹시 고전을 했다. 그런데 한국만은 이런 피지컬을 앞세운 파워 축구가 통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한국은 이미 [[1980년대]]부터 스피드와 몸싸움을 중시한 유럽식 파워 축구를 수입해서 뼈대로 삼았고, [[히딩크호]]를 거치며 압박과 피지컬을 중시하는 플레이를 구축했기 때문. 그렇다 보니 1994년 월드컵 조별라운드 3차전이나, 2002 월드컵 4강전에서도 독일에게 밀리지 않고 1점 차의 석패에 그친 것. 그러다 마침내 친선경기에서나마 1승을 올리는 쾌거를 거둔 것이다. 독일로서는 2004년 한국전 패배가 '녹슨 전차 1기'의 절정을 찍었다고 할 수 있는 경기였다. 이 경기로 인해 독일은 역사상 첫 아시아팀에게 A매치 패배를 당했다. 그리고 독일은 전통적인 파워 축구의 한계를 체감하게 되었고[* 실제로 체감한 건 1998년 월드컵 8강전에서 크로아티아에게 0:3 패배, 2002년 월드컵 예선에서 잉글랜드에게 1:5 대패를 당하면서 부터다.] 이후 각급 유소년 대표팀에서는 남미나 스페인 스타일의 패스 축구를 도입시켜 접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민자 출신 선수들에 대한 문호도 대거 넓어지게 되었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우승의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독일 축구의 이런 화려한 성과는 2004년 친선전으로부터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13년 6개월 후]] 한국에게 또다시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무득점에 2점 차로 충격패를 당하면서]]''' 무너져 버렸다. 그리하여 한국과 독일의 역대 전적은 총 4전 2승 2패로 백중세가 되었다. 골 득실까지 따지면 한국이 7득점, 독일이 5득점으로 '''오히려 한국이 우세인 상황이 되었다.''' 독일로서는 2018년 한국전 패배가 '녹슨 전차 2기'의 서막을 올렸다고 할 수 있는 사건이다. 그리고 이 녹슨 전차 2기는 2021년 4월 1일에 열린 2022 카타르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전에서 '''북마케도니아에 1:2로 패배'''하며 총체적 난국임을 보이고 있는데, 결국 요하힘 뢰브가 사퇴하고 [[한지 플릭]]이 감독에 취임한 뒤 2022 카타르월드컵 예선을 조기에 통과하며 다시 부활하는 듯 했으나 정작 중요한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본선에서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독일 vs 일본|'''다시한번 동아시아 국가에게 패배''']]해 조별리그에서 광탈하면서 독일 축구 역사상 최악의 시기를 보내는 중이다. == 대 태국 (2004.12.21, 태국 [[방콕]]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 5:1 승리 == ||<:><-2> '''{{{#ffffff 친선 경기 (2004년 12월 21일)}}}'''|| ||<-2><:> '''{{{#009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방콕, 태국)}}}'''|| ||<-2><:> '''{{{#000 주심:}}}''' [[샴술 마이딘|{{{#000 '''샴술 마이딘'''}}}]] '''{{{#000 (싱가포르)}}}'''|| ||<:> [[파일:Thailand FAT 2006.png|height=100px]] ||<:> [[파일:Germany DFB 2006.png|height=100px]] ||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fff 태국}}}]]'''||<:>'''[[독일 축구 국가대표팀|{{{#000 독일}}}]]'''|| ||<:>'''{{{+5 1}}}'''||<:>'''{{{+5 5}}}'''|| ||<:>'''{{{#000 57′}}} [[사라윳 차이캄디|{{{#000 사라윳 차이캄디}}}]]'''||<:>'''{{{#000 34′, 38′}}} [[케빈 쿠라니|{{{#000 케빈 쿠라니}}}]]'''[br]'''{{{#000 73′, 89′}}} [[루카스 포돌스키|{{{#000 루카스 포돌스키}}}]]'''[br]'''{{{#000 84′}}} [[게랄트 아사모아|{{{#000 게랄트 아사모아}}}]]'''|| ||<-2><:>'''{{{#090 관중: 15,000명}}}'''|| ||<-2><:>'''[[https://www.dfb.de/die-mannschaft/spiele-termine/?spieledb_path=%2Fmatches%2F434988|상세 정보(독일어)]]'''|| [youtube(PAG7ercUUaU)] 독일은 주전 선수들을 대거 빼고 신예 선수들을 투입해 경기를 치르게 했다. 워낙 전력 차이가 컸다 보니 전 경기 한국처럼 기적을 일으키기도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었고, 태국은 애초부터 독일의 상대가 전혀 되지 않았다. 전반 34분과 38분에 [[케빈 쿠라니]]가 2골, 후반 28분과 44분에 [[루카스 포돌스키]]가 2골을 터뜨렸고 거기에 후반 39분에 터진 [[게랄트 아사모아]]의 골을 보태 5 : 1로 대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태국도 약체임에도 불구하고 후반 12분에 [[사라윳 차이캄디]]가 1골을 넣으며 나름대로 선전했다. 독일이 태국을 5 : 1로 이겼다는 결과 자체는 당연하다 볼 수 있다고 해도 아시아에서도 전력이 떨어지는 태국이 세계 최정상급 팀인 독일을 상대로 1골을 넣은 것이야말로 대단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각주] [[분류:2004년 축구 경기]][[분류: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분류: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사]][[분류: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분류: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