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svg|width=50]][br]'''{{{#102b49 역대}}} [[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102b49 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 || [[2011-12 KBL 챔피언결정전|2011-12시즌]][br][[안양 KGC인삼공사]] || {{{+1 ←}}} || '''2012-13시즌[br][[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 {{{+1 →}}} || [[2013-14 KBL 챔피언결정전|2013-14시즌]][br][[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 ||<-5> {{{#102b49 {{{-3 {{{#!folding [역대 챔피언 결정전 펼치기]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include(틀: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 }}}}}} || ||||
[[파일:2013 KBL FINAL.jpg]] || ||||<:> '''{{{#ffffff 2012-13 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우승 구단}}}'''||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000000 울산 모비스 피버스}}}''']] || ||<:> '''{{{#e20e0e MVP}}}''' || [[양동근(농구)|'''{{{#000000 양동근}}}''']] || >'''남은 시간 10여 초! 이제 울산 모비스의 우승 카운트 다운 시작됩니다! [[로드 벤슨|벤슨]]이 리바운드를 따내면서 3초... 2초... 1초... 경기 종료! 최종 스코어 77-55! 울산 모비스가 [[2005-06 KBL 챔피언결정전|7년 전]] 삼성에게 당한 아픈 기억을 오늘 서울 SK를 상대로 풀었습니다. 2012-13 우승 트로피의 주인공은 울산 모비스입니다!''' >---- >―[[SBS Sports|SBS ESPN]][* 이 날은 [[SBS CNBC]]에서 중계를 했다.] [[이동근(아나운서)|이동근]] 캐스터의 2012-2013 시즌 우승콜 [목차] >'''내가 선수면 서울 SK의 드롭존은 10초면 깰 수 있다.'''[* 이 시즌 서울 SK 나이츠가 3-2 드롭존 수비로 크게 재미를 봤었는데, 유재학 감독은 시리즈 스윕승이란 결과로 이 말을 지켰다.] > - [[유재학]] 울산 모비스 감독 == 개요 == ||<-2><:> [[파일:한국프로농구 심볼 오렌지.svg|width=50]][br]'''{{{#f1511b 2012-13 KB국민카드 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width=150]]||<:> [[파일:울산 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width=150]]|| ||<:> [[서울 SK 나이츠|{{{#ffffff {{{+1 '''서울 SK 나이츠'''}}}}}}]]||<:>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ffffff {{{+1 '''울산 모비스 피버스'''}}}}}}]]|| 한국프로농구의 2012-13 시즌 챔피언 결정전을 다루는 항목으로, 진출팀은 15년만에 암흑기를 끊고 정규리그 1위를 차지한 [[서울 SK 나이츠]]와 3년만에 다시 우승에 도전하는 정규리그 2위팀인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이다. 정규리그 순위가 더 높은 서울 SK가 홈 어드밴티지를 가져가게 된다. == 대진표 == ||<-7><:> '''{{{#ffffff 2012-13 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서울 SK 나이츠 : 울산 모비스 피버스, 7판 4선승제}}}''' || || '''{{{#f1511b 경기}}}''' || '''{{{#f1511b 날짜, 시각}}}''' || '''{{{#f1511b 경기장}}}''' ||<-3> '''{{{#f1511b 스코어}}}''' || '''{{{#f1511b 중계채널}}}''' || || '''1차전''' || 4.13 (토) ||<|2>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 || X || {{{#ffffff SK 71 : '''76 모비스'''}}} || {{{#ffffff '''O'''}}} || '''[[KBS1]]''' || || '''2차전''' || 4.14 (일) || X || {{{#ffffff SK 58 : '''60 모비스'''}}} || {{{#ffffff '''O'''}}} || '''[[MBC]]''' || || '''3차전''' || 4.16 (화) ||<|2> [[울산동천체육관]] || {{{#ffffff '''O'''}}} || {{{#ffffff '''모비스 76''' : 71 SK}}} || X || '''[[SBS CNBC]]''' || || '''4차전''' || 4.17 (수) || {{{#ffffff '''O'''}}} || {{{#ffffff '''모비스 77''' : 55 SK}}} || X || '''[[SBS CNBC]]''' || === [[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매치 : [[서울 SK 나이츠]] VS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 ==== 매치업 예상 ==== 상대전적은 4승 2패 SK의 우세. 홈에서 SK가 전승, 울산에서는 모비스가 2승 1패를 기록했다. ===== [[서울 SK 나이츠]] ===== ||<:><-5>'''{{{#FFFFFF 서울 SK 나이츠 라인업}}}'''|| ||<:> 1. [[김건우(농구선수)|김건우]][br]([[스몰 포워드|{{{#000000 SF}}}]]) ||<:> 5. [[김선형]][br]([[포인트 가드|{{{#000000 PG}}})]] ||<:> 6. [[권용웅]][br]([[가드(농구)|{{{#000000 G)}}}]] ||<:> 7. [[변기훈]][br]([[슈팅 가드|{{{#000000 SG}}})]] ||<:> 8. [[박상오]][br]([[스몰 포워드|{{{#000000 SF}}}]], [[파워 포워드|{{{#000000 PF}}}]]) || ||<:> 9. [[주희정]][br]([[포인트 가드|{{{#000000 PG}}})]] ||<:> 11. [[김동우(농구)|김동우]][br]([[스몰 포워드|{{{#000000 SF}}}]]) ||<:> 14. [[최부경]][br]([[파워 포워드|{{{#000000 PF}}}]], [[센터(농구)|{{{#000000 C}}}]]) ||<:> 15. [[김민수(농구)|김민수]][br]([[스몰 포워드|{{{#000000 SF}}}]], [[파워 포워드|{{{#000000 PF}}}]]) ||<:> 17. [[정준원(농구선수)|정준원]][br]([[포워드(농구)|{{{#000000 F)}}}]] || ||<:> 21. [[김우겸]][br]([[스몰 포워드|{{{#000000 SF}}}]], [[파워 포워드|{{{#000000 PF}}}]]) ||<:> 24. [[정성수]][br]([[포인트 가드|{{{#000000 PG}}}]]) ||<:> 25. [[이현준(농구)|이현준]][br]([[스몰 포워드|{{{#000000 SF}}}]]) ||<:> 32. [[애런 헤인즈|헤인즈]][br]([[포워드(농구)|{{{#000000 F)}}}]] ||<:> 44. [[코트니 심스|심스]][br]([[센터(농구)|{{{#000000 C)}}}]] || ||<-5> 감독 [[문경은]]|코치 [[전희철]]ㆍ[[허남영]] || 대구 동양 오리온스와의 2002년 챔결 이후 10시즌 동안 5위 한 번(2007-08 시즌)을 제외하면 플레이오프조차 가지 못했을 정도로 암흑기에 빠졌던 SK지만, [[문경은]] 감독의 드롭존 전술을 바탕으로 [[김선형]], [[최부경]] 그리고 [[애런 헤인즈]]의 활약으로 구단 최초로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했고, 플레이오프 4강에서도 이미 6강에서 5차전까지 간 인삼공사를 3:1로 제압하고 결승까지 올라왔다.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 ||<:><-5>'''{{{#FFFFFF 울산 모비스 피버스 라인업}}}'''|| ||<:> 2. [[로드 벤슨|벤슨]][br]([[센터(농구)|{{{#000000 C)}}}]] ||<:> 4. 양준영[br]([[포인트 가드|{{{#000000 PG}}}]]) ||<:> 5. [[김시래]][br]([[포인트 가드|{{{#000000 PG}}}]]) ||<:> 6. [[양동근(농구)|양동근]][br]([[포인트 가드|{{{#000000 PG}}}]], [[슈팅 가드|{{{#000000 SG}}}]]) ||<:> 7. [[박종천(1979)|박종천]][br]([[스몰 포워드|{{{#000000 SF}}}]]) || ||<:> 9. [[천대현]][br]([[포워드(농구)|{{{#000000 F)}}}]] ||<:> 11. [[박구영]][br]([[슈팅 가드|{{{#000000 SG}}}]]) ||<:> 12. [[함지훈]][br]([[파워 포워드|{{{#000000 PF}}}]], [[센터(농구)|{{{#000000 C}}}]]) ||<:> 13. [[노경석]][br]([[포인트 가드|{{{#000000 PG}}}]]) ||<:> 15. [[문태영]][br]([[스몰 포워드|{{{#000000 SF}}}]]) || ||<:> 20. [[라건아|라틀리프]][br]([[센터(농구)|{{{#000000 C)}}}]] ||<:> 22. [[임상욱]][br]([[슈팅 가드|{{{#000000 SG)}}}]] ||<:> 23. [[이지원(농구선수)|이지원]][br]([[포인트 가드|{{{#000000 PG}}}]]) ||<:> 31. [[김동량]][br]([[센터(농구)|{{{#000000 C)}}}]] || || ||<-5> 감독 [[유재학]]|코치 [[임근배]]ㆍ[[김재훈(농구)|김재훈]] || [[양동근(농구)|양동근]]과 [[함지훈]]의 팀이었던 모비스에 [[라건아|리카르도 라틀리프]]와 [[문태영]], [[김시래]]가 가세하면서 전력이 상당히 강해졌다. 3년 만에 올라온 챔피언 결정전. 시즌 개막 전에도 우승후보라고 뽑혔지만 중반까지 전자랜드, SK에 계속 발목이 잡히는 바람에 막판 13연승에 41승을 찍고도 SK가 무려 44승이나 기록하는 바람에 정규리그 2위에 그쳤다. 그러나 4강 플레이오프에서 전자랜드를 3:0으로 손쉽게 제압했다. ==== 1차전 ==== ||<:><-7>{{{#ffffff '''1차전 04.13(토)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 7,125명'''}}} || ||<:>'''팀'''||<:>'''1쿼터'''||<:>'''2쿼터'''||<:>'''3쿼터'''||<:>'''4쿼터'''||<:>'''최종스코어'''||<:>'''시리즈 전적'''||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height=55]][br][[서울 SK 나이츠]] ||<:> 20 ||<:> 19 ||<:> 19 ||<:> 13 ||<:> 71 ||<:> 1패 || ||<:> '''[[파일:울산 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width=55]][br][[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 12 ||<:> 17 ||<:> 23 ||<:> 24 ||<:> '''76''' ||<:> '''1승''' || [[서울특별시]]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첫 번째 챔피언 결정전이다. SK는 전반전을 10점 차로 리드하며 좋은 분위기를 이어갔으나 모비스에게 역전패하며, 홈에서 열린 첫 챔피언 결정전 경기를 패배로 장식하고 말았다. ==== 2차전 ==== ||<:><-7>{{{#ffffff '''2차전 04.14(일)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 7,042명'''}}} || ||<:>'''팀'''||<:>'''1쿼터'''||<:>'''2쿼터'''||<:>'''3쿼터'''||<:>'''4쿼터'''||<:>'''최종스코어'''||<:>'''시리즈 전적'''||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height=55]][br][[서울 SK 나이츠]] ||<:> 17 ||<:> {{{#blue 9}}} ||<:> 21 ||<:> 11 ||<:> 58 ||<:> 2패 || ||<:> '''[[파일:울산 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width=55]][br][[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 20 ||<:> 16 ||<:> 16 ||<:> {{{#blue 8}}} ||<:> '''60''' ||<:> '''2승''' || 이번엔 반대로 모비스가 전반전에 10점차 리드를 가져갔다. 답없는 2쿼터를 보낸 SK. 그런데 모비스가 똑같이 4쿼터에 답이 없는 득점력을 보여줬다. 그러나 SK 역시 4쿼터에 상대를 8점으로 막고도 11점밖에 못 얻는 바람에 결과는 또 모비스가 승리를 가져갔다. 여담으로 이 날 MBC는 류현진 선발 등판 경기 중계와 정규 방송 관계로 1쿼터가 3분 정도 남은 상황부터 방송이 되었다. ==== 3차전 ==== ||<:><-7>{{{#ffffff '''3차전 04.16(화) 울산동천체육관, 5,227명'''}}} || ||<:>'''팀'''||<:>'''1쿼터'''||<:>'''2쿼터'''||<:>'''3쿼터'''||<:>'''4쿼터'''||<:>'''최종스코어'''||<:>'''시리즈 전적'''|| ||<:> '''[[파일:울산 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width=55]][br][[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 19 ||<:> 20 ||<:> 19 ||<:> 10 ||<:> '''68''' ||<:> '''3승''' ||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height=55]][br][[서울 SK 나이츠]] ||<:> 14 ||<:> 16 ||<:> 15 ||<:> 17 ||<:> 62 ||<:> 3패 || ==== 4차전 ==== ||<:><-7>{{{#ffffff '''4차전 04.17(수) 울산동천체육관, 5,065명'''}}} || ||<:>'''팀'''||<:>'''1쿼터'''||<:>'''2쿼터'''||<:>'''3쿼터'''||<:>'''4쿼터'''||<:>'''최종스코어'''||<:>'''시리즈 전적'''|| ||<:> '''[[파일:울산 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width=55]][br][[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 20 ||<:> 16 ||<:> 14 ||<:> 27 ||<:> '''77''' ||<:> '''4승''' ||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height=55]][br][[서울 SK 나이츠]] ||<:> 15 ||<:> 15 ||<:> 12 ||<:> 13 ||<:> 55 ||<:> 4패 || == 총평 == 애런 헤인즈를 이용한 드롭존으로 44승을 기록했고 정규리그에서 모비스를 상대로 4승 2패로 제대로 재미를 보면서 챔피언 결정전까지 올라온 문경은 감독의 SK였으나, 유재학 감독이 이를 완전히 무너뜨리면서 스윕을 당하고 말았다. 2013년 챔피언 결정전 이후로 두 팀의 운명도 크게 달랐는데, 모비스는 2014, 2015년 모두 우승하며 문태영과 라틀리프가 소속해있던 기간 동안 황금기를 누리고 리빌딩에 들어갔는데도 정규리그 2위를 기록했다. ~~다만 그 해 4강 PO 오리온스를 상대로 3연패 광탈은 옥에 티~~ 그리고 신인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이종현을 뽑았다. 그 다음 시즌에도 초반 양동근과 이종현의 부상으로 고전했지만 결국 정규리그 4위로 6강에서 동부를 3:0으로 가볍게 스윕하고 4강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했다. SK는 2014년에도 상대전적에서 앞서던 모비스에게 당하고, 2015년 역시 상대전적에서 앞서던 전자랜드에게 일격을 당하며 번번히 플옵에서 좌절. 공통점은 정규리그 초반 4연승을 하다 막판 2번의 맞대결을 모두 진 것도 특징. 애런 헤인즈가 떠난 2015-16 시즌부터 2시즌 연속 문경은 감독의 지도력이 폭망하면서 하위권으로 추락했다. [[2017-18 KBL 챔피언결정전|그러나 이때의 경험이 약이 되었는지 5년 후에 기적을 일으킨다.]] [각주] [[분류: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분류:서울 SK 나이츠]][[분류: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분류:한국프로농구/2012-13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