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4 소치 동계올림픽)] [include(틀: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2013-14 시즌)] ---- ||<-2> {{{+1 {{{#0b6dab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2> [[파일:소치 쇼트트랙.jpg|width=100%]] || || {{{#0b6dab '''개최지'''}}}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러시아]] [[소치]] || || {{{#0b6dab '''일정'''}}} || [[2014년]] [[2월 10일]] ~ [[2월 21일]] || || {{{#0b6dab '''경기장'''}}} || Iceberg Skating Palace || || {{{#0b6dab '''주관 단체'''}}} ||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width=30]][[국제빙상경기연맹]] || || {{{#0b6dab '''경기 종목'''}}} || 8개 종목 || || {{{#0b6dab '''참가국'''}}} || 25개국 || || {{{#0b6dab '''참가 선수'''}}} || 116명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2 2010}}}]]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2 2018}}} →]]|| [목차] == 개요 == [[러시아]] [[소치]]에서 개최된 [[2014 소치 동계올림픽|소치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쇼트트랙]]에 관한 문서. 모든 경기는 2월 10일부터 2월 21일까지 Iceberg Skating Palace에서 열렸다. == 출전권 == 출전권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올림픽]] 직전에 열린 [[2013-14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2013-14 쇼트트랙 월드컵]] 결과에 따라 배분된다. 한 국가는 남녀 각각 1~3명의 선수가 출전할 수 있고 계주에 참가하는 국가는 4~5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 개인전 3명 + 계주 멤버 2명] 개최국인 [[러시아]]는 10장의 출전권을 자동으로 부여받는다. || {{{#0b6dab '''출전권 배분 현황'''}}}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국가''' ||<-4> '''여자''' ||<-4> '''남자''' ||<|2> '''선수단''' || || '''500m''' || '''1000m''' || '''1500m''' || '''계주''' || '''500m''' || '''1000m''' || '''1500m''' || '''계주'''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 3 || 3 || 3 || 1 || 2 || 2 || 3 || 1 || 10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 3 || 2 || 2 || 1 || 3 || 3 || 2 || 1 || 10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독일]] || || || 1 || || 1 || 1 || 1 || || 2 ||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30]] [[라트비아]] || || || || || || || 1 || || 1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러시아]] || 3 || 3 || 3 || 1 || 3 || 3 || 2 || 1 || 10 ||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30]] [[리투아니아]] || 1 || 1 || 1 || || || || || || 1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 3 || 2 || 3 || || 3 || 3 || 3 || 1 || 8 ||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30]] [[벨라루스]] || || || 1 || || || || 1 || || 2 ||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width=30]] [[슬로바키아]] || || || 1 || || || || || || 1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30]] [[영국]] || 2 || 1 || 2 || || 2 || 3 || 1 || || 5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오스트리아]] || 1 || 1 || 1 || || || || 1 || || 1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 || 1 || || || || || || || 1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30]] [[이스라엘]] || || || || || 1 || 1 || 1 || || 1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 3 || 3 || 3 || 1 || 2 || 1 || 2 || || 1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3 || 3 || 3 || 1 || 1 || 2 || 3 || || 8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국]] || 3 || 3 || 3 || 1 || 3 || 3 || 3 || 1 || 10 ||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중화 타이베이]] || || || || || 1 || 1 || || || 1 || || [[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체코]] || || 1 || 1 || || || || 1 || || 2 ||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30]] [[카자흐스탄]] || 1 || 1 || 1 || || 2 || || 2 || 1 || 6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캐나다]] || 3 || 3 || 3 || 1 || 3 || 3 || 3 || 1 || 10 ||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폴란드]] || 1 || 1 || || || || || || || 1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1 || 1 || 1 || || 2 || 3 || 3 || || 4 ||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헝가리]] || 1 || 1 || 2 || 1 || 2 || 3 || 3 || || 8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 || 1 || 1 || || 1 || || || || 2 ||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홍콩]] || || || || || || || 1 || || 1 || || '''총합 25개국''' || '''32''' || '''32''' || '''36''' || '''8''' || '''32''' || '''32''' || '''36''' || '''8''' || '''116''' || ---- }}} || == 경기 일정 == * 결승 경기는 '''볼드체''' 표기 || '''{{{#0b6dab 날짜}}}''' || '''{{{#0b6dab 시간}}}'''[* UTC+4] || '''{{{#0b6dab 종목}}}''' || ||<|3> [[2월 10일]] ||<|3> 13:45 || 여자 3000m 계주 || || 여자 500m || || '''남자 1500m''' || ||<|3> [[2월 13일]] ||<|3> 14:00 || 남자 5000m 계주 || || 남자 1000m || || '''여자 500m''' || ||<|2> [[2월 15일]] ||<|2> 14:00 || '''여자 1500m''' || || '''남자 1000m''' || ||<|3> [[2월 18일]] ||<|3> 13:30 || 여자 1000m || || 남자 500m || || '''여자 3000m 계주''' || ||<|3> [[2월 21일]] ||<|3> 20:30 || '''남자 500m''' || || '''여자 1000m''' || || '''남자 5000m 계주''' || == 결과 == || {{{#0b6dab '''여자'''}}} ||<-2> {{{#ffffff '''금메달'''}}} ||<-2> {{{#ffffff '''은메달'''}}} ||<-2> {{{#ffffff '''동메달'''}}} || || '''500m'''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2 [[리젠러우]]}}} || {{{-2 45.263}}}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2 [[아리안나 폰타나]]}}} || {{{-2 51.25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2 [[박승희]]}}} || {{{-2 54.207}}} || || '''1000m'''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2 [[박승희]]}}} || {{{-2 1:30.761}}}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2 [[판커신]]}}} || {{{-2 1:30.81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2 [[심석희]]}}} || {{{-2 1:31.027}}} || || '''1500m'''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2 [[저우양]]}}} || {{{-2 2:19.14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2 [[심석희]]}}} || {{{-2 2:19.239}}}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2 [[아리안나 폰타나]]}}} || {{{-2 2:19.416}}} || ||<|2> '''3000m 계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2 [[대한민국]]}}} ||<|2> {{{-2 4:09.498}}}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2 [[캐나다]]}}} ||<|2> {{{-2 4:10.641}}}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2 [[이탈리아]]}}} ||<|2> {{{-2 4:14.014}}} || || {{{-2 [[박승희]][br][[심석희]][br][[조해리]][br][[김아랑]][br][[공상정]]}}} || {{{-2 [[마리안 생젤레]][br][[발레리 말테]][br]마리 이브 드롤레[br]제시카 휴이트}}} || {{{-2 [[아리안나 폰타나]][br]루치아 페레티[br][[마르티나 발체피나]][br]엘레나 비비아니}}} || || {{{#0b6dab '''남자'''}}} ||<-2> {{{#ffffff '''금메달'''}}} ||<-2> {{{#ffffff '''은메달'''}}} ||<-2> {{{#ffffff '''동메달'''}}} || || '''500m'''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2 [[빅토르 안]]}}} || {{{-2 41.312}}}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2 [[우다징]]}}} || {{{-2 41.516}}}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2 [[샤를 쿠르누아예]]}}} || {{{-2 41.617}}} || || '''1000m'''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2 [[빅토르 안]]}}} || {{{-2 1:25.325}}}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2 [[블라디미르 그리고리에프]]}}} || {{{-2 1:25.399}}}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2 [[싱키 크네흐트]]}}} || {{{-2 1:25.611}}} || || '''1500m'''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2 [[샤를 아믈랭]]}}} || {{{-2 2:14.985}}}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2 [[한톈위]]}}} || {{{-2 2:15.055}}}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2 [[빅토르 안]]}}} || {{{-2 2:15.062}}} || ||<|2> '''5000m 계주'''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2 [[러시아]]}}} ||<|2> {{{-2 6:42.100 OR}}}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2 [[미국]]}}} ||<|2> {{{-2 6:42.371}}}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2 [[중국]]}}} ||<|2> {{{-2 6:48.341}}} || || {{{-2 [[빅토르 안]][br][[블라디미르 그리고리에프]][br][[세묜 옐리스트라토프]][br]루슬란 자카로프}}} || {{{-2 [[에디 알바레즈(야구)|에디 알바레즈]][br][[J.R. 셀스키]][br]크리스 크레벨링[br]조던 멀론}}} || {{{-2 [[우다징]][br][[한톈위]][br][[천더취안]][br]시징난}}} || == 메달 집계 == ||<-6>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width=20]] {{{#0b6dab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메달 순위'''}}} || || '''순위''' || '''국가''' || {{{#ffffff,#191919 '''금'''}}} || {{{#ffffff '''은'''}}} || {{{#ffffff '''동'''}}} || '''총합''' || || '''1'''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러시아]] || 3 || 1 || 1 || 5 || || '''2'''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국]] || 2 || 3 || 1 || 6 || || '''3'''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 2 || 1 || 2 || 5 || || '''4'''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캐나다]] || 1 || 1 || 1 || 3 || || '''5'''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 0 || 1 || 2 || 3 || || '''6'''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 0 || 1 || 0 || 1 || || '''7'''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 0 || 0 || 1 || 1 || ||<-2> '''총합''' || '''8''' || '''8''' || '''8''' || '''24''' || == 신기록 == 올림픽 신기록(OR)과 세계 신기록(WR)은 별도로 집계된다. || '''{{{#0b6dab 종목}}}''' || '''{{{#0b6dab 선수}}}''' || '''{{{#0b6dab 국가}}}''' || '''{{{#0b6dab 기록}}}''' || '''{{{#0b6dab 경신일}}}''' || '''{{{#0b6dab 경기}}}''' || '''{{{#0b6dab 신기록}}}''' || || 여자 1000m || [[발레리 말테]]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캐나다]] || 1:28.771 || [[2월 18일]] || 예선 3조 || OR || || 남자 5000m 계주 || [[빅토르 안]][br][[블라디미르 그리고리에프]][br][[세묜 옐리스트라토프]][br]루슬란 자카로프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러시아]] || 6:42.100 || [[2월 21일]] || 결승전 || OR || == 기타 == * 쇼트트랙 메달이 1개도 없었던 [[러시아]]는 [[빅토르 안|귀화 선수]]의 활약으로 메달 순위 '''1위'''에 올랐다. * [[빅토르 안]]은 금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를 따내며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이후 8년만에 삼관왕에 올랐다. 또한 올림픽 금메달 6개와 동메달 2개로 전체 메달 개수에서 [[아폴로 안톤 오노]]와 타이기록을 이뤘다. * 당시 최강자라 불리며 4관왕 후보로 꼽히던 [[캐나다]]의 [[샤를 아믈랭]]은 이상할 정도의 악운에 시달렸다. 대회 첫 날 1500m에서 시종일관 선두를 유지하며 가볍게 금메달을 목에 걸었지만 1000m와 500m에서는 혼자 미끄러지는 바람에 결승 진출도 못했다. 계주에서도 동생인 [[프랑수아 아믈랭]]이 넘어져 [[캐나다]]는 결승에 진출하지 못 했다. * 여자 500m에서는 [[엘리스 크리스티]]의 무리한 추월로 [[아리안나 폰타나]]와 [[박승희]]가 모두 넘어져 4위로 달리던 [[중국]]의 [[리젠러우]]가 어부지리로 금메달을 획득하는 이변이 일어났다. (일명 제2의 [[스티븐 브래드버리]]) 특히 [[리젠러우]]는 장거리가 주종목인 선수였다. 이 경기에서는 [[박승희]]가 좋은 기록으로 1번 레인을 배정받았고 금메달 후보였던 [[판커신]]은 넘어져 결승에 올라오지 못 했기 때문에 박승희의 금메달이 유력했었다. 결국 박승희는 마지막으로 들어왔지만 크리스티가 실격되면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래도 '''여자 500m에서 최초로 자력으로 따낸 메달'''이라는 데에 의미가 있었다.[*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 [[전이경]]이 동메달을 딴 적이 있지만 이건 결승에서 캐나다 선수가 실격당하고 중국 선수가 레이스를 끝마치지 못 해 파이널 B에서 1위를 했던 전이경이 동메달을 받은 것이다.] * 이런 일이 일어나자 한국의 네티즌들은 [[엘리스 크리스티]]의 SNS에 댓글 테러를 벌였고 결국 크리스티는 SNS 계정을 폐쇄했다. * [[대한민국|한국]] 여자 선수들의 강세가 예상됐지만 기대치보다는 낮은 결과를 얻었다. 여자 1500m에서 [[심석희]]는 강력한 우승 후보였지만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이전 올림픽]] 금메달 리스트인 [[저우양]]에게 마지막에 허를 찔려 금메달을 아쉽게 내줬고 500m 금메달 후보였던 [[박승희]]는 상술했 듯이 다른 선수의 방해를 받아 동메달을 땄다. 그래도 여자 계주에서 [[심석희]]가 마지막 바퀴에서 [[중국]]의 [[리젠러우]]를 추월하면서 8년만에 금메달을 되찾아왔고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이전 올림픽]]에서의 설욕을 했다. 여자 1000m에서는 [[박승희]]가 드디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 여자 1500m에서 [[중국]]의 [[저우양]]이 올림픽 2연패에 성공했다. * 여자 1000m에서 [[박승희]]가 1위로 결승선을 통과할 때 뒤따라오던 [[판커신]]이 박승희의 트리코를 잡아당기려고 하는 모습이 포착돼 나쁜손 논란이 일었다. 물론 이런 짓을 저질렀지만 판커신은 실격되지 않았다. * 반면에 쭉 세계 최강으로 손꼽히던 한국 남자 선수들은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2002년]] 이후 처음으로 '''노메달'''의 수모를 겪었다. 당시 [[곽윤기]]와 [[노진규]]가 부상과 투병으로 이탈해 에이스가 부재한 상황이었고 전력이 많이 약화돼 500m와 1000m의 출전권을 한 장 날려먹기까지 한 상황이었다. 결국 [[샤를 아믈랭]]과 [[빅토르 안]]뿐만 아니라 2010년도 이후 상향평준화된 세계의 벽을 넘지 못하고 메달을 단 1개도 획득하지 못한 채 빈손으로 돌아왔다. * 남자 5000m 계주에서는 첫 코너에서 [[중국]], [[네덜란드]], [[카자흐스탄]]이 모두 넘어지는 이변이 일어났다. 첫 코너를 돌면서 네덜란드가 넘어지며 중국이 같이 넘어졌고 이를 피하던 카자흐스탄은 휘청거렸다. 덕분에 [[러시아]]와 [[미국]]이 경기 내내 한 바퀴 가량 앞서 있었고 [[빅토르 안]]을 내세운 러시아가 미국을 따돌리고 금메달을 가져갔다. 후위 그룹에서는 중국이 네덜란드를 따돌리고 동메달을 따냈다. * 남자 5000m 계주에서 은메달을 딴 미국의 에디 알바레즈는 훗날 2020 도쿄 올림픽 야구에서 은메달을 따게 된다. [각주] [[분류:2014 소치 동계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