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CAA)] ||<#fff>[[파일:2014NCAAFinalFourLogo.png|width=100%]]|| [목차] == 개요 == == 진행 == === 64강 최종 진출전 === ||시드||학교||스코어|| ||12||NC State||'''74'''|| ||12||Xavier||59|| ||시드||학교||스코어|| ||16||Albany||'''71'''|| ||16||Mount St. Mary's||64|| ||시드||학교||스코어|| ||11||Iowa||65|| ||11||Tennessee||'''78'''|| ||시드||학교||스코어|| ||16||Cal Poly||'''81'''|| ||16||Texas Southern||69|| === 1라운드(64강) === ==== Ea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Virginia||'''70'''|| ||16||Coastal Carolina||59|| ||시드||학교||스코어|| ||8||Memphis||'''71'''|| ||9||George Washington||66|| ||시드||학교||스코어|| ||5||Cincinnati||57|| ||12||Harvard||'''61'''|| 1년전 뉴멕시코 주립대 상대로 업셋을 일궈낸 [[하버드 대학교]]가 또 일을 냈다. 이걸로 하버드 헤드코치 토니 어메이커의 가치가 폭등중. ||시드||학교||스코어|| ||4||Michigan State||'''93'''|| ||13||Delaware||78|| ||시드||학교||스코어|| ||6||North Carolina||'''79'''|| ||11||Providence||77|| ||시드||학교||스코어|| ||3||Iowa State||'''93'''|| ||14||North Carolina Central||75|| ||시드||학교||스코어|| ||7||Connecticut||'''89'''|| ||10||Saint Joseph's||81|| ||시드||학교||스코어|| ||2||Villanova||'''73'''|| ||15||Milwaukee||53|| ==== Midwe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Wichita State||'''64'''|| ||16||Cal Poly||37|| ||시드||학교||스코어|| ||8||Kentucky||'''56'''|| ||9||Kansas State||49|| ||시드||학교||스코어|| ||5||Saint Louis||'''83'''|| ||12||North Carolina State||80|| ||시드||학교||스코어|| ||4||Louisville||'''71'''|| ||13||Manhattan||64|| ||시드||학교||스코어|| ||6||Massachusetts||67|| ||11||Tennessee||'''86'''|| 자넬 스탁스,조던 맥레이 쌍포의 16/27, 47점 합작으로 오랫만에 토니에 돌아온 명문 매사추세츠를 업셋했다. ||시드||학교||스코어|| ||3||Duke||71|| ||14||Mercer||'''78'''|| 전미 최고의 유망주 자바리 파커와 로드니 후드가 버티는 농구명문 듀크 대학교였지만, 고질적인 약점인 포인트가드의 부재와 머서의 높이, 그리고 경기 막판 집중력이 흔들리던 듀크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이 두가지(장신 빅맨, 백코트 압박수비)에 뛰어난 머서에게 덜미를 잡히고 말았다. ||시드||학교||스코어|| ||7||Texas||'''87'''|| ||10||Arizona State||85|| ||시드||학교||스코어|| ||2||Michigan||'''57'''|| ||15||Wofford||40|| ==== South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Florida||'''67'''|| ||16||Albany (NY)||55|| ||시드||학교||스코어|| ||8||Colorado||48|| ||9||Pittsburgh||'''77'''|| ||시드||학교||스코어|| ||5||Virginia Commonwealth||75|| ||12||Stephen F. Austin||'''77'''|| 샤카 스마트가 이끄는 미드메이저의 복병 VCU를 상대로 후반 종료 5.3초 남긴 데스먼드 헤이먼의 극적인 3점슛+앤드원으로 동점을 만든뒤 연장 혈투끝에 스티븐 오스틴이 업셋을 이루어 냈다. ||시드||학교||스코어|| ||4||UCLA||'''76'''|| ||13||Tulsa||59|| ||시드||학교||스코어|| ||6||Ohio State||59|| ||11||Dayton||'''60'''|| 토니의 신데렐라 아치 밀러가 이끄는 데이튼이 오하이오주의 맹주인 버카이를 종료 3.8초 남기고 비 스탠포드의 레이업으로 끝냈다. ||시드||학교||스코어|| ||3||Syracuse||'''77'''|| ||14||Western Michigan||53|| ||시드||학교||스코어|| ||7||New Mexico||53|| ||10||Stanford||'''58'''|| ||시드||학교||스코어|| ||2||Kansas||'''80'''|| ||15||Eastern Kentucky||69|| ==== We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Arizona||'''68'''|| ||16||Weber State||59|| ||시드||학교||스코어|| ||8||Gonzaga||'''85'''|| ||9||Oklahoma State||77|| ||시드||학교||스코어|| ||5||Oklahoma||75|| ||12||North Dakota State||'''80'''|| 노스다코타 주립의 에이스 로렌스 알렉산더가 후반 종료 11초 동점 3점슛 포함 28득점 8리바운드 4어시의 활약으로 5번시드 오클라호마를 업셋했다. ||시드||학교||스코어|| ||4||San Diego State||'''73'''|| ||13||New Mexico State||69|| ||시드||학교||스코어|| ||6||Baylor||'''74'''|| ||11||Nebraska||60|| ||시드||학교||스코어|| ||3||Creighton||'''76'''|| ||14||Louisiana-Lafayette||66|| ||시드||학교||스코어|| ||7||Oregon||'''87'''|| ||10||Brigham Young||68|| ||시드||학교||스코어|| ||2||Wisconsin||'''75'''|| ||15||American||35|| === 2라운드(32강) === ==== Ea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Virginia||'''78'''|| ||8||Memphis||60|| ||시드||학교||스코어|| ||12||Harvard||73|| ||4||Michigan State||'''80'''|| ||시드||학교||스코어|| ||6||North Carolina||83|| ||3||Iowa State||'''85'''|| ||시드||학교||스코어|| ||7||Connecticut||'''77'''|| ||2||Villanova||65|| 유콘의 에이스 샤바즈 네이피어가 진가를 드러내기 시작한 게임. 25득점 5리바 3어시스트로 2번 시드 빌라노바를 업셋했다. ==== Midwe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Wichita State||76|| ||8||Kentucky||'''78'''|| [[전승우승]]을 꿈꾸던 위치타 주립대학의 꿈을 포텐셜 덩어리지만 정규시즌 내내 불협화음을 내던 켄터키 유망주들의 맹활약으로 업셋했다. 정규시즌 내내 부진한 앤드류,애런 해리슨 쌍둥이 형제가 39점을 합작했다. ||시드||학교||스코어|| ||5||Saint Louis||51|| ||4||Louisville||'''66'''|| ||시드||학교||스코어|| ||11||Tennessee||'''83'''|| ||4||Mercer||63|| ||시드||학교||스코어|| ||7||Texas||65|| ||2||Michigan||'''79'''|| ==== South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Florida||'''61'''|| ||9||Pittsburgh||45|| ||시드||학교||스코어|| ||12||Stephen F. Austin||60|| ||4||UCLA||'''77'''|| ||시드||학교||스코어|| ||11||Dayton||'''55'''|| ||3||Syracuse||53|| 아치 밀러의 데이튼이 또다시 업셋을 일궈냈다. 시라큐스의 에이스 타일러 에니스는 19득점을 올렸지만 경기 종료 2초 남기고 던진 동점 슛의 실패로 팀의 탈락을 막지 못했다. ||시드||학교||스코어|| ||10||Stanford||'''60'''|| ||2||Kansas||57|| 전국 최고의 유망주 앤드류 위긴스와 조엘 엠비드가 이끌던 캔자스 역시 업셋의 희생양이 되었다. 등 부상으로 조엘 엠비드가 결장한 가운데 스탠포드의 수비에 말려 에이스 앤드류 위긴스가 단 4점에 그친 공격부진을 극복하지 못했다. ==== We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Arizona||'''84'''|| ||8||Gonzaga||61|| ||시드||학교||스코어|| ||12||North Dakota State||44|| ||4||San Diego State||'''63'''|| ||시드||학교||스코어|| ||6||Baylor||'''85'''|| ||3||Creighton||55|| 전미 최고의 득점 머신인 덕 맥더멋을 단 15점으로 틀어막은 베일러의 수비가 돋보인 경기였다. 베일러는 5명의 선수가 10점 이상 득점하는 유기적인 득점분포가 돋보인 반면 맥더멋에 의존하던 크레이튼은 맥더멋의 공격부진을 끝내 극복하지 못했다. ||시드||학교||스코어|| ||7||Oregon||77|| ||2||Wisconsin||'''85'''|| === Sweet Sixteen(16강) === ==== Ea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Virginia||59|| ||4||Michigan State||'''61'''|| 다소 불안했던 1번시드 버지니아 캐벌리어스를 토니 전통의 강호 톰 이조와 브랜든 도슨의 24득점 10리바운드 활약으로 꺾었다. ||시드||학교||스코어|| ||3||Iowa State||76|| ||7||Connecticut||'''81'''|| 샤바즈 네이피어의 상승세가 멈추지 않았다. 3점슛 4개 포함 19득점을 올리며 팀을 지휘했고 파워포워드 디안드레 다니엘스가 아이오와 주립의 골밑을 장악하며 27득점 10리바운드로 맹활약해 업셋을 일궈냈다. ==== Midwe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8||Kentucky||'''74'''|| ||4||Louisville||69|| [[켄터키]]주 라이벌전으로 이루어진 16강전에서 애런 해리슨이 종료 39초 남기고 성공시킨 결정적 3점슛과 톱 유망주 줄리어스 랜들의 15득점 12리바운드 활약으로 라이벌 루이빌을 꺾었다. ||시드||학교||스코어|| ||11||Tennessee||71|| ||2||Michigan||'''73'''|| ==== South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Florida||'''79'''|| ||4||UCLA||68|| ||시드||학교||스코어|| ||11||Dayton||'''82'''|| ||10||Stanford||72|| 데이튼의 상승세가 거침없었다. 아치 밀러가 이끄는 데이튼이 조던 시버트의 18득점 활약과 조직력에 힘입어 스탠포드까지 꺾고 학교 역사상 최초로 8강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 We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Arizona||'''70'''|| ||4||San Diego State||64|| ||시드||학교||스코어|| ||6||Baylor||52|| ||2||Wisconsin||'''69'''|| 올시즌 급성장한 7피트 장신센터 프랭크 카민스키가 19득점을 올리며 맹활약했다. === Elite Eight(8강) === ==== Ea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4||Michigan State||54|| ||7||Connecticut||'''60'''|| 샤바즈 네이피어와 개리 해리스와의 쇼다운에서 승리한 자는 네이피어였다. 25득점 6리바 4어시로 팀을 이끈 네이피어의 유콘이 7번시드라는 어려움을 겪고 파이널 포에 진출했다. ==== Midwe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8||Kentucky||'''75'''|| ||2||Michigan||72|| 토니 내내 클러치에서 결정력이 폭발한 켄터키가 이번에도 [[http://www.youtube.com/watch?v=kvZkop9C0NI|종료 3초 남기고 터진 애런 해리슨의 끝내기 3점슛]]으로 미시간을 꺾고 파이널 포에 진출했다. ==== South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Florida||'''62'''|| ||11||Dayton||52|| ==== West Regional ==== ||시드||학교||스코어|| ||1||Arizona||63|| ||2||Wisconsin||'''64'''|| === Final Four(4강) === ||시드||학교||스코어|| ||7||Connecticut||'''63'''|| ||1||Florida||53|| ||시드||학교||스코어|| ||2||Wisconsin||73|| ||8||Kentucky||'''74'''|| === Final === ||시드||학교||스코어|| ||7||Connecticut||'''60'''|| ||8||Kentucky||54|| [[분류:NCAA Division I 남자농구 챔피언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