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5 개정 교육과정]][[분류:과학 교과]]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 [목차] == 개요 == [[중학교]] 과목으로서의 [[과학]] 교과에 대한 문서. == 목록 ==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준. [[https://www.edunet.net/nedu/ncicsvc/listSub2015Form.do?menu_id=623|출처(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9)]] === 1학년 === ==== 지권의 변화(지구과학) ==== * 학습 요소 : 지구계의 구성 요소, 지권의 층상 구조, 광물, 암석, 암석의 순환, 풍화 작용, 판, 베게너의 대륙이동설, 지진대, 화산대, 진도와 규모 * 성취기준 * 지구계의 구성 요소를 알고, 지권의 층상 구조와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지각을 이루는 암석을 생성 과정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암석의 순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조암 광물의 주요 특성을 관찰하고, 암석이 다양한 광물로 구성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 풍화 과정을 이해하고, 토양 생성 과정을 풍화 작용의 예로 설명할 수 있다. * 대륙이동설을 이해하고 지진과 화산이 발생하는 지역의 분포를 판의 경계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 여러 가지 힘(물리학) ==== * 학습 요소 : 중력, 질량, 마찰력, 탄성력, 부력 * 성취기준 * 무게가 중력의 크기임을 알고, 질량과 무게를 구별할 수 있다. * 일상생활에서 물체의 탄성을 이용하는 예를 조사하고, 그 예를 통하여 탄성력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물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원인으로써 마찰력을 알고, 빗면 실험을 통해 마찰력의 크기를 정성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 기체나 액체 속에 있는 물체에 부력이 작용함을 알고 용수철저울을 사용하여 부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 생물의 다양성(생명과학) ==== * 학습 요소 :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변이, 생물 분류 목적과 방법, 종의 개념과 분류 체계 * 성취기준 * 생물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변이의 관점에서 환경과 생물다양성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생물 종의 개념과 분류 체계를 이해하고 생물을 계 수준에서 분류할 수 있다. * 생물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활동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 기체의 성질(화학) ==== * 학습 요소 : 입자의 운동, 기체의 압력,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 기체의 온도와 부피의 관계 * 성취기준 * 기체의 확산과 증발 현상을 관찰하여 입자가 운동하고 있음을 알고, 이를 입자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 기체의 압력을 입자의 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입자 모형으로 해석하고, 이와 관련된 실생활의 예를 찾을 수 있다. * 기체의 온도와 부피의 관계를 입자 모형으로 해석하고, 이와 관련된 실생활의 예를 찾을 수 있다. ==== 물질의 상태 변화(화학) ==== * 학습 요소 : 세 가지 상태와 입자 배열, 기화, 액화, 융해, 응고, 승화, 상태 변화, 녹는점, 어는점, 끓는점,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 출입 * 성취기준 * 물질의 세 가지 상태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를 입자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여러 가지 물질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고, 상태 변화 시 나타나는 현상을 입자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상태 변화가 일어날 때의 온도 변화에 대한 자료를 해석하여 녹는점, 어는점, 끓는점을 찾을 수 있다. *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의 관계를 이해하고, 상태 변화 과정에서 출입하는 열에너지가 생활에 이용되는 사례를 찾고 설명할 수 있다. ==== 빛과 파동(물리학) ==== * 학습 요소 : 물체를 보는 과정, 빛의 합성, 빛의 삼원색, 평면거울의 상, 횡파와 종파, 진폭, 진동수, 파형 * 성취기준 * 물체를 보는 과정을 빛의 경로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 물체의 색이 빛의 삼원색으로 합성됨을 관찰하고, 영상 장치에서 색이 표현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여러 가지 거울과 렌즈를 통해 나타나는 상을 관찰하여 상의 특징을 비교하고, 평면거울에서 상이 생기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파동의 종류를 횡파와 종파로 구분하고, 소리의 특징을 진폭, 진동수, 파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 과학과 나의 미래 ==== * 학습 요소 : 과학과 진로, 현재와 미래의 직업 * 성취기준 * 과학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와 하는 일을 조사하고, 그 직업에 필요한 역량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 현대 사회의 다양한 직업이 과학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예를 들어 설명하고, 미래 사회에서의 직업의 변화를 토의할 수 있다. === 2학년 === 과학의 난이도가 본격적으로 크게 상승한다. 그만큼 다양한 주제들이 있으며 내용도 알차다. ==== 물질의 구성(화학) ==== * 학습 요소 : 원소, 원자, 분자, 원소 기호, 이온, 이온식 ---- * '''[9과08-01]''' 모든 물질은 원소로 이루어져 있음을 이해하고 실험을 통해 원소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 '실험'은 금속 원소별 불꽃 반응 색을 통해 원소의 종류를 구별하는 것이다. 금속 원소별 불꽃 반응 색은 다음과 같다. || 리튬 || 나트륨 || 칼륨 || 칼슘 || 구리 || 스트론튬 || 바륨 || || 빨간색 || 노란색 || 보라색 || 주황색 || 청록색 || 빨간색 || 황록색 || ---- * '''[9과08-02]'''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구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 원자핵의 (+)전하량과 전자의 (-)전하량이 같으므로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 * '''[9과08-03]''' 원자와 분자의 개념을 구별하고, 원소와 분자를 원소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 * 원소 기호는 118가지 원소 중 일부만 등장하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수소 || H || 나트륨 || Na || 철 || Fe || || 헬륨 || He || 마그네슘 || Mg || 구리 || Cu || || 리튬 || Li || 알루미늄 || Al || 은 || Ag || || 탄소 || C || 황 || S || 아이오딘 || I || || 질소 || N || 염소 || Cl || 금 || Au || || 산소 || O || 칼륨 || K || 납 || Pb || || 플루오린 || F || 칼슘 || Ca || || || * 주요 분자식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이산화탄소 || CO,,2,, || 물 || H,,2,,O || || 암모니아 || NH,,3,, || 과산화수소 || H,,2,,O,,2,, || || 메테인 || CH,,4,, || || || ---- * '''[9과08-04]''' 이온의 형성 과정을 모형과 이온식으로 표현하고, 이온이 전하를 띠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 중성인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전하를 띤 '''양이온'''이 되고, 전자를 '''얻으면''' (-)전하를 띤 '''음이온'''이 된다. * 이온은 원소 기호 오른쪽 위에 이동한 전자의 개수와 전하의 종류를 표시해 표현한다. 이동한 전자의 개수가 1개인 경우는 전하의 종류만 표시한다. * 양이온은 원소 이름 뒤에 '~ 이온'을 붙여서, 음이온은 원소 이름 뒤에 '~화 이온'을 붙여서 읽는다. 단, 염소와 산소는 '소'를 빼고 '~화 이온'을 붙여서 읽는다. * 주요 이온식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수소 이온 || H^^+^^ || 마그네슘 이온 || Mg^^2+^^ || 플루오린화 이온 || F^^-^^ || 수산화 이온 || OH^^-^^ || || 리튬 이온 || Li^^+^^ || 칼슘 이온 || Ca^^2+^^ || 황화 이온 || S^^-^^ || 탄산 이온 || CO,,3,,^^2-^^ || || 나트륨 이온 || Na^^+^^ || 철 이온 || Fe^^2+^^ || 염화 이온 || Cl^^-^^ || 황산 이온 || SO,,4,,^^2-^^ || || 칼륨 이온 || K^^+^^ || 구리 이온 || Cu^^2+^^ || 산화 이온 || O^^2-^^ || 암모늄 이온 || NH,,4,,^^+^^ || || 은 이온 || Ag^^+^^ || 납 이온 || Pb^^2+^^ || 황화 이온 || S^^2-^^ || 질산 이온 || NO,,3,,^^-^^ || * 주요 앙금 생성 반응은 다음과 같다. * Ag^^+^^ + Cl^^-^^ → AgCl ↓ (은 이온 + 염화 이온 → '''흰색'''의 '''염화 은 앙금''' 생성) * Pb^^2+^^ + 2I^^-^^ → PbI,,2,, ↓ (납 이온 + 아이오딘화 이온 → '''노란색'''의 '''아이오딘화 납 앙금''' 생성) * Ca^^2+^^ + CO,,3,,^^2-^^ → CaCO,,3,, ↓ (칼슘 이온 + 탄산 이온 → '''흰색'''의 '''탄산 칼슘 앙금''' 생성)[*Ba 칼슘 대신 바륨도 가능하다.] * Ca^^2+^^ + SO,,4,,^^2-^^ → CaSO,,4,, ↓ (칼슘 이온 + 황산 이온 → '''흰색'''의 '''황산 칼슘 앙금''' 생성)[*Ba] * Cu^^2+^^ + S^^2-^^ → CuS ↓ (구리 이온 + 황화 이온 → '''검은색'''의 '''황화 구리 앙금''' 생성) ==== 전기와 자기(물리학) ==== * 학습 요소 : 전기력, 원자 모형, 대전, 정전기 유도, 전기 회로, 전압, 전류, 저항, 자기장, 전동기 * 성취기준 * 물체가 대전되는 현상이나 정전기 유도 현상을 관찰하고 그 과정을 전기력과 원자 모형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전기 회로에서 전지의 전압이 전자를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하여 전류를 형성함을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저항, 전류, 전압 사이의 관계를 실험을 통해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저항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의 쓰임새를 조사하여 비교할 수 있다. * 전류의 자기 작용을 관찰하고 자기장 안에 놓인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동기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태양계(지구과학) ==== * 학습 요소 : 지구와 달의 크기, 지구의 자전과 공전, 달의 위상 변화, 일식과 월식,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 태양 활동 * 성취기준 * 지구와 달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알고 그 크기를 구할 수 있다. * 지구 자전에 의한 천체의 겉보기 운동과 지구 공전에 의한 별자리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 달의 위상 변화와 일식과 월식을 설명할 수 있다. *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의 특징을 알고, 목성형 행성과 지구형 행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태양 표면과 대기의 특징을 알고, 태양의 활동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식물과 에너지(생명과학) ==== * 학습 요소 : 광합성에 필요한 물질, 광합성 산물,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물의 이동과 증산 작용, 식물의 호흡과 광합성의 관계, 광합성 산물의 생성, 저장, 사용 과정 * 성취기준 * 식물이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양분을 만드는 광합성 과정을 이해하고,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 광합성에 필요한 물의 이동과 증산 작용의 관계를 이해하고, 잎의 증산 작용을 광합성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 식물의 호흡을 이해하고, 광합성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광합성 산물의 생성, 저장, 사용 과정을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동물과 에너지(생명과학) ==== * 학습 요소 : 생물의 구성 단계, 영양소, 소화 효소, 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배설계의 구조와 기능, 소화・순환・호흡・배설의 관계 * 성취기준 * 생물의 유기적 구성 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 * 음식물이 소화되어 영양소가 흡수되는 과정을 소화 효소의 작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혈액의 순환 경로를 나타낼 수 있다. * 호흡 기관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호흡 운동의 원리를 모형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배설 기관의 구조와 기능을 알고, 노폐물이 배설되는 과정을 표현할 수 있다. * 동물이 세포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과정을 소화, 순환, 호흡, 배설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 물질의 특성(화학) ==== * 학습 요소 : 순물질, 혼합물, 밀도, 용해도, 물질의 특성, 증류, 밀도 차를 이용한 분리, 재결정, 크로마토그래피 * 성취기준 *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여러 물질들을 순물질과 혼합물로 구별할 수 있다. * 밀도, 용해도, 녹는점, 어는점, 끓는점이 물질의 특성이 될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 끓는점 차를 이용한 증류의 방법을 이해하고, 우리 주변에서 사용되는 예를 찾아 설명할 수 있다. * 밀도 차를 이용하여 고체 혼합물 또는 섞이지 않는 액체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우리 주변에서 사용되는 예를 찾아 설명할 수 있다. * 재결정,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혼합물 분리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예를 찾아 설명할 수 있다. ==== 수권과 해수의 순환(지구과학) ==== * 학습 요소 : 수권, 해수의 층상 구조, 염분비 일정 법칙 , 해류, 우리나라 주변 해류, 조석 현상 * 성취기준 * 수권에서 해수, 담수, 빙하의 분포와 활용 사례를 조사하고, 자원으로서 물의 가치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 해수의 연직 수온 분포와 염분비 일정 법칙을 통해 해수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우리나라 주변 해류의 종류와 특성을 알고 조석 현상에 대한 자료를 해석할 수 있다. ==== 열과 우리 생활(물리학) ==== * 학습 요소 : 온도, 열의 이동 방식, 열평형, 비열, 열팽창 * 성취기준 * 물체의 온도 차이를 구성 입자의 운동 모형으로 이해하고, 열의 이동 방법과 냉난방 기구의 효율적 사용에 대하여 조사하고 토의할 수 있다. * 온도가 다른 두 물체가 열평형에 도달하는 과정을 시간-온도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물질에 따라 비열과 열팽창 정도가 다름을 탐구를 통해 알고, 이를 활용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 재해·재난과 안전 ==== * 학습 요소 : 재해・재난의 원인, 재해・재난의 대처 방안 * 성취 기준 * 재해・재난 사례와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고, 그 원인과 피해에 대해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 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재해・재난에 대한 대처 방안을 세울 수 있다. === 3학년 === 3학년에서 배우는 과학 내용은 고1 [[통합과학]]보다는 고2 때 배우는 과학탐구 과목들과 연계된 내용들이 많다. 그리고 여기서 배우는 내용들이 고등학교 과학 킬러주제로 많이 나오는 편이다. ====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화학) ==== * 학습 요소 : 물리 변화, 화학 변화, 화학 반응, 화학 반응식, 질량 보존 법칙, 일정 성분비 법칙, 기체 반응 법칙, 화학 반응에서의 에너지 출입 * 성취기준 *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의 차이를 알고, 일상생활에서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의 예를 찾을 수 있다. * 간단한 화학 반응을 화학 반응식으로 표현하고, 화학 반응식에서 계수의 비를 입자 수의 비로 해석할 수 있다. * 질량 보존 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모형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 화합물을 구성하는 성분 원소의 질량에 관한 자료를 해석하여 일정 성분비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 기체 반응 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화학 반응에서 에너지의 출입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 기권과 날씨(지구과학) ==== * 학습 요소 : 기권의 층상 구조, 복사 평형,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상대 습도, 단열 팽창, 응결, 구름 생성 과정, 강수 과정, 기압, 바람, 기단, 전선, 저기압과 고기압, 일기도 * 성취기준 * 기권의 층상 구조를 이해하고,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를 복사 평형의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상대 습도, 단열 팽창 및 응결 현상의 관계를 이해하고, 구름의 생성과 강수 과정을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 기압의 개념을 알고, 바람이 부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기단과 전선의 개념을 이해하고, 일기도를 활용하여 저기압과 고기압의 날씨를 비교할 수 있다. ==== 운동과 에너지(물리학) ==== * 학습 요소 : 등속 운동, 자유 낙하 운동, 일, 중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운동 에너지 * 성취기준 * 등속 운동하는 물체의 시간-거리, 시간-속력의 관계를 표현하고 설명할 수 있다. * 물체의 자유 낙하 운동을 분석하여 시간에 따른 속력의 변화가 일정함을 설명할 수 있다. * 일의 의미를 알고, 자유 낙하하는 물체의 운동에서 중력이 한 일을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로 표현할 수 있다. ==== 자극과 반응(생명과학) ==== * 학습 요소 : 눈, 귀, 코, 혀의 구조와 기능, 피부 감각과 감각점, 뉴런과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 자극에서 반응하기까지의 경로, 자극에 대한 반응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역할 * 성취기준 * 눈, 귀, 코, 혀, 피부 감각기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자극의 종류에 따라 감각기를 통해 뇌로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뉴런과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자극에 대한 반응 실험을 통해 자극의 종류에 따라 자극에서 반응이 일어나기까지의 과정을 표현할 수 있다. * 우리 몸의 기능 조절에 호르몬이 관여함을 알고,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 생식과 유전(생명과학) ==== * 학습 요소 : 생식, 염색체, 체세포 분열, 생식 세포 형성 과정, 동물의 발생 과정, 멘델 유전 실험의 의의, 멘델 유전 원리, 사람의 유전 형질, 가계도 조사 방법 * 성취기준 * 세포 분열을 개체의 성장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 염색체와 유전자의 관계를 이해하고, 체세포 분열과 생식 세포 형성 과정의 특징을 염색체의 행동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수정란으로부터 개체가 발생되는 과정을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멘델 유전 실험의 의의와 원리를 이해하고, 원리가 적용되는 유전 현상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 사람의 유전 형질과 유전 연구 방법을 알고, 사람의 유전 현상을 가계도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 에너지 전환과 보존(물리학) ==== * 학습 요소 : 역학적 에너지 보존, 에너지 전환, 소비 전력, 발전 * 성취기준 * 위로 던져 올린 물체와 자유 낙하 물체의 운동에서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의 변화를 역학적 에너지 전환과 역학적 에너지 보존으로 예측할 수 있다. * 자석의 운동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하고, 역학적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됨을 설명할 수 있다. * 가정에서 전기 에너지가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되는 예를 들고, 이를 소비 전력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 별과 우주(지구과학) ==== * 학습 요소 : 연주 시차, 별의 등급, 별의 표면 온도, 우리은하의 모양과 구성 천체, 우주 팽창, 우주 탐사 성과와 의의 * 성취기준 * 별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알고, 별의 표면 온도를 색으로 비교할 수 있다. * 우리은하의 모양, 크기, 구성 천체를 설명할 수 있다. * 우주가 팽창하고 있음을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우주 탐사의 의의와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 과학기술과 인류 문명 ==== * 학습 요소 : 과학기술과 인류 문명, 과학 원리와 공학적 설계 * 성취기준 * 과학기술과 인류 문명의 관계를 이해하고 과학의 유용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과학을 활용하여 우리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만드는 방안을 고안하고 그 유용성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