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5 개정 교육과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5 개정 교육과정/영어과/고등학교)] [include(틀: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 [목차] == 개요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과의 일반 선택 과목으로, 보통 학교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 1학기때 배우지만, 고등학교 1~2학년때 배우는 학교도 있다. 석차등급을 내는 과목이라 말이 회화이지 대부분이 독해 진도 이어서 나가는 수업이다. 특히 고등학교 3학년생들은 [[수능]] 때문에 해당 영어 교사들은 멀쩡한 교과서를 놔두고 이름만 영어 회화로 편성을 하고 [[수능특강]] 교재를 사용하여 독해 위주로 수업한다. 이는 영어 독해와 작문도 마찬가지다.(…)[* 그래도 영어, 영어Ⅰ, 영어Ⅱ는 적어도 독해와 문법, 본문을 수업하는 게 대다수이고, 영어 독해와 작문도 교과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어찌되었든 독해 위주 수업이기에 교과명과 실제 수업의 관련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사실 1, 2학년이라고 교과서만 갖고 수업한다는 건 아니다. 1, 2학년생들에겐 조금 쉬운 수능 영어인 전국연합학력평가 기출 문제가 기다리고 있다. 약칭은 영회. == 영어 회화 == === 듣기 === * 대상, 주제, 그림, 사진, 도표 * 줄거리, 주제, 요지 * 일이나 사건의 순서/전후 관계/원인/결과, 상황 및 화자 간의 관계, 화자의 의도/목적/심정/태도 * 일반적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세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 일반적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제 및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 일반적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 일반적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화자의 의도나 말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 일반적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화자의 심정이나 태도를 추론할 수 있다. === 말하기 === * 사람, 사물, 장소, 의견, 감정, 그림, 사진, 도표, 방법, 절차, 자기소개, 주제, 요지, 대상, 경험, 계획, 일이나 사건의 순서/전후 관계/원인/결과 *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하여 듣거나 읽고 세부 정보를 설명할 수 있다. *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하여 자료를 요약하여 발표할 수 있다. *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정보를 묻고 답할 수 있다. *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그림, 도표 등을 활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