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 |'''{{{#FF4D05 한국프로농구 신인드래프트}}}''']] || ||<:> [[2015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15년]] ||<:> ← ||<:> '''2016년''' ||<:> → ||<:> [[2017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17년]] || ||<-5> {{{#00043C {{{-3 {{{#!folding [역대 신인 드래프트 펼치기]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include(틀:KBL 역대 신인 드래프트)] }}}}}} }}}}}} || [목차] == 개요 == [[2016년]] 10월 시행되는 [[KBL]] 신인선수 드래프트다. 전년도까지 지명 순번 추첨과 드래프트를 동시에 치렀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10월 3일]]에 지명 순번 추첨을 한 뒤 2주 후인 [[10월 18일]]에 지명 순번 추첨으로 정해진 순번에 따라(2라운드는 역순) 드래프트를 실시하게 된다 == 지명 방식 == 1라운드부터 4라운드까지 진행되며, 각 팀은 최대 4명의 선수를 지명할 수 있다. 단, 지명을 원치 않는 팀의 경우 해당 라운드에서 패스할 수 있다. 지명방식은 각 라운드마다 이전 라운드 순위의 역순대로 지명하는 방식이다. 2라운드는 1라운드의 역순으로, 3라운드는 1라운드와 동일한 순서로 진행된다. * 지명순서 결정방식 1라운드 1~4순위는 아래의 확률로 결정되며, 5~8순위는 2015-16 시즌 순위 역순(챔피언결정전 우승팀과 준우승팀을 제외한 남은 4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각 40%, 30%, 20%, 10%의 확률로 결정한다. 만약 1~8순위에서 구단이 중복으로 나올 경우, 안 나온 구단이 나올 때까지 계속 뽑는다.[* 즉 1, 2순위가 같은 팀이 나올 경우, 2순위는 다른 팀이 나올 때까지 계속 뽑는다. 이건 3, 4, 5, 6, 7순위도 마찬가지.] 마지막으로 9순위는 [[2015-16 KBL 챔피언결정전|직전 시즌 챔피언결정전]] 준우승팀 전주 KCC, 10순위는 직전 시즌 챔피언결정전 우승팀 고양 오리온이 가져간다. 1순위 지명순서는 가수 [[박수영(1992)|리지]]가 뽑았다. 각각의 확률은 다음과 같다. ||<:>
'''팀''' ||<:> 확률 ||<:> 공 번호 ||<:> 결과(뽑은 공번호) ||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fff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8>12.5%(25개/200) ||<:> 176~200 ||<:> '''3(194번)''' || ||<:> [[서울 SK 나이츠|{{{#fff '''서울 SK 나이츠'''}}}]] ||<:> 26~50||<:>'''2(38번)'''|| || [[창원 LG 세이커스|{{{#ffff00 '''창원 LG 세이커스'''}}}]] ||<:> 126~150||<:>5|| || [[수원 kt 소닉붐|{{{#fff '''부산 kt 소닉붐'''}}}]] ||<:> 51~75||<:>6|| ||<:> [[원주 DB 프로미|{{{#fff '''원주 동부 프로미'''}}}]] ||<:> 151~175||<:>7|| ||<:> [[서울 삼성 썬더스|{{{#fff '''서울 삼성 썬더스'''}}}]] ||<:> 101~125||<:>'''4(113번)'''|| ||<:> [[안양 KGC인삼공사|{{{#fff '''안양 KGC인삼공사'''}}}]] ||<:> 1~25||<:>8||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fff '''울산 모비스 피버스'''}}}]] ||<:> 75~100||<:>'''1(98번)'''|| ||<:> [[전주 KCC 이지스|{{{#fff '''전주 KCC 이지스'''}}}]] ||<:><|2><-2> - ||<:>9||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E60012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10 || * 특이사항 이전 드래프트와 달리, 드래프트 구단 순위 추첨과 선수지명 행사 날짜를 달리하여 이원화로 시행된다. == 지명 결과 == ||<:>
'''라운드'''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fff '''모비스'''}}}]] ||<:> [[서울 SK 나이츠|{{{#fff '''SK'''}}}]]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fff '''전자랜드'''}}}]] ||<:> [[서울 삼성 썬더스|{{{#fff '''삼성'''}}}]] ||<:> [[창원 LG 세이커스|{{{#ffff00 '''LG'''}}}]] ||<:> [[수원 kt 소닉붐|{{{#fff '''KT'''}}}]] ||<:> [[원주 DB 프로미|{{{#fff '''동부'''}}}]] ||<:> [[안양 KGC인삼공사|{{{#fff '''KGC'''}}}]] ||<:> [[전주 KCC 이지스|{{{#fff '''KCC'''}}}]]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fff '''오리온'''}}}]] || ||<:> 1[br]→ ||<:> '''[[이종현(농구선수)|이종현]]'''[br]{{{-2 고려대[br]센터}}} ||<:> '''[[최준용(농구선수)|최준용]]'''[br]{{{-2 연세대[br]포워드}}} ||<:> '''[[강상재]]'''[br]{{{-2 고려대[br]포워드}}} ||<:> [[천기범]][br]{{{-2 연세대[br]가드}}} ||<:> [[박인태]][br]{{{-2 연세대[br]센터}}} ||<:> '''[[박지훈(1995)|박지훈]]'''[br]{{{-2 중앙대[br]가드}}} ||<:> '''[[최성모]]'''[br]{{{-2 고려대[br]가드}}} ||<:> '''[[김철욱]]'''[br]{{{-2 경희대[br]센터}}} ||<:> [[박세진(농구선수)|한준영]][* 데뷔 후 박세진으로 개명.][br]{{{-2 한양대[br]센터}}} ||<:> '''[[김진유]]'''[br]{{{-2 건국대[br]가드}}} || ||<:> 2[br]← ||<:> 오종균[br]{{{-2 후지대[br]가드}}} ||<:> [[김준성(농구)|김준성]][br]{{{-2 명지대[br]가드}}} ||<:> [[이헌(농구선수)|이헌]][br]{{{-2 성균관대[br]포워드}}} ||<:> [[성기빈]][br]{{{-2 연세대[br]가드}}} ||<:> [[정인덕]][br]{{{-2 중앙대[br]포워드}}} ||<:> [[정희원(농구선수)|정희원]][br]{{{-2 고려대[br]포워드}}} ||<:> [[맹상훈(농구)|맹상훈]][br]{{{-2 경희대[br]가드}}} ||<:> [[박재한]][br]{{{-2 중앙대[br]가드}}} ||<:> [[최승욱(1994)|최승욱]][br]{{{-2 경희대[br]포워드}}} ||<:> [[장문호]][br]{{{-2 건국대[br]포워드}}} || ||<:> 3[br]→ ||<:> [[김광철(농구선수)|김광철]][br]{{{-2 동국대[br]가드}}} ||<|2><:> {{{#ff0000 지명포기}}} ||<:> 김승준[br]{{{-2 동국대[br]포워드}}} ||<|2><:> {{{#ff0000 지명포기}}} ||<|2><:> {{{#ff0000 지명포기}}} ||<:> 안정훈[br]{{{-2 상명대[br]센터}}} ||<|2><:> {{{#ff0000 지명포기}}} ||<|2><:> {{{#ff0000 지명포기}}} ||<|2><:> {{{#ff0000 지명포기}}} ||<:> 이승규[br]{{{-2 조선대[br]가드}}} || ||<:> 4[br]← ||<:> [[주긴완]][br]{{{-2 명지대[br]포워드}}} ||<:> {{{#ff0000 지명포기}}} ||<:> {{{#ff0000 지명포기}}} ||<:> 조의태[br]{{{-2 중앙대[br]포워드}}} || == 드래프트 평가 == * 황금 드래프트임을 증명하듯 대학생 32명, 일반인 5명 총 37명중 26명이 선발되면서 어느때보다도 높은 취업률을 기록했다. === 드래프트 이후 ===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강상재|BIG.3 중 남은 선수]] 뽑으면 되지''' * [[서울 SK 나이츠]] - ''' [[최준용(농구선수)|슼준용]] 확보, 소리질러!''' * [[창원 LG 세이커스]] - '''로터리에 밀렸지만 그래도 [[박인태|알짜배기 선수]]를 뽑았다''' * [[부산 kt 소닉붐]] - '''아이고 맙소사...''' * [[원주 DB 프로미|원주 동부 프로미]] - '''올해도 리빌딩 쉽지 않겠네''' * [[서울 삼성 썬더스]] - '''나쁘지는 않군''' * [[안양 KGC인삼공사]] - '''작년 운을 올해 발휘했어야 했는데...'''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 '''1순위라니!! 고마워요, [[박수영(1992)|리지!!!]] [[이종현(농구선수)|몹종현]], [[너로 정했다!]]''' * [[전주 KCC 이지스]] - '''저번에 우승했어야 했는데...'''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디펜딩 챔피언의 숙명. 근데 같이 1등 해놓고 1순위 따가는 [[유재학|친구놈]]이 얄밉다''' === 데뷔 이후 === * 모비스: 지난시즌 2위를 기록했던 모비스는 KCC와 오리온을 제외한 나머지 팀들과 동일한 추첨확률을 받고서 1순위에 걸리는 행운을 얻게 되었다. 예상대로 이종현을 지명하면서 일찌감치 군문제가 해결된 토종 빅맨 자원을 영입하게 되었다. 이후 데뷔하고 나서 기대치보다는 낮아도 좋은 신체사이즈를 바탕으로 팀내 장신 외국인 선수가 없는 상황에서 거의 홀로 타팀의 장신 외국인 선수를 수비하는 등 괜찮은 모습을 보였지만, 아킬레스 건 부상을 당한데 이어 겨우 부상에서 복귀한 뒤 다시 올라가나 했지만 슬개골 파열로 인해 또다시 시즌아웃을 당하면서 성장세에 먹구름이 끼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다시 복귀한 뒤에 플레이가 망가진 경기력과 경기외적으로 발언으로 인해 모비스 팬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았고 결국 오리온으로 트레이드 되었다. * SK: 최준용을 지명한 SK는 포워드진에 한층 활기가 띄게 되었다. 부족한 슈팅 능력에도 불구하고 좋은 운동능력과 수비력으로 프로에서 꾸준히 뛰면서 SK의 핵심자원으로 자리잡았지만 2020-21시즌에 경기 외적으로 큰 사고를 일으킨데다 설상가상으로 십자인대 파열과 내측인대 파열을 당하면서 최악의 위기를 맞는가 했지만, 빠른 회복으로 2021-22시즌 복귀해 MVP 컨덴더급 성적을 보이며 좋은 팀 성적과 함께 대체불가급 선수로 순항하고 있다. 사실상 드래프트의 최종승자. * 전자랜드: 강상재를 지명하면서 장신 포워드라인을 보강한 전자랜드는 강상재가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성적에 보탬이 되었고 그렇게 호성적을 계속해서 내면서 2018-19시즌에는 마침내 팀 창단 첫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하는 성과를 이뤄내게 된다. 이러면서 이 드래프트의 사실상 승자라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러다 강상재가 상무에 입대해서 군복무중일때 DB와 트레이드를 통해 이별하게 된다. * 삼성: 천기범을 지명하면서 차세대 포인트 가드 육성에 파란불이 켜지는 듯 했으나 느린 가드라는 한계를 못 이겨내고 성장이 정체되면서 실패한 픽이라는 평가를 받다가 2019-20 시즌 후반기부터 달라진 모습을 통해 희망을 안겨주고 상무에 입대하였다. 그러나 제대 이후 음주운전 사건을 일으키면서 결국 선수 생활 은퇴를 하게 된다. 현재 일본 B2리그 소속의 후쿠시마 파이어본즈에서 뛰고 있다. == 이모저모 == * 최악의 드래프트라 불리는 전년도 드래프트와 달리 역대 최고의 드래프트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자그마치 [[이종현(농구선수)|세]] [[최준용(농구선수)|명]][[강상재|이]] 대학시절부터 프로 선배들과 함께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에서 뛰었으며, 1순위가 유력한 [[이종현(농구선수)|이종현]]은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따며 병역 면제까지 되어있는 준비된 완전체다. 그 외에도 고교시절 빅3와 함께 황금세대의 일원으로 꼽혔던 [[천기범]]과 [[최성모]], 중국 출신으로 귀화한 빅맨 [[김철욱]], 중앙대 에이스 [[박지훈(1995)|박지훈]], 연세대 센터 [[박인태]] 등 1라운드감이 즐비하고, 2라운드에서도 뽑아봄직한 선수들이 많다. * 전체 1번은 번호구간 75~100번으로 배정되어 본 추첨에서 '''98'''번이 나온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가 당첨되었는데, [[유재학]] 감독이 그동안 모습과는 다르게 크게 환호하는 모습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일반인 참가자로 [[김준성(농구)|김준성]](SK), 오종균(모비스), 조의태(오리온)가 지명되었다. * 4라운드에서 구단들이 지명을 줄줄이 포기할때, 마지막 10순위로 [[명지대학교]]의 [[주긴완]][* 홍콩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를 두었고 5년전 한국에서 농구하기 위해 한국 국적을 획득, 귀화했다. 귀화 이전에는 홍콩 국가대표 경력도 있다.]이 유재학 감독의 지명을 받아 모비스의 유니폼을 입는 순간, 감격한 주긴완이 울먹거리면서 소감을 발표해 드래프트 현장에 있는 사람들과 중계를 보고 있는 시청자들의 눈물을 자아냈다.[* 주긴완은 작년에도 드래프트를 신청했지만 물 먹은 전력이 있다. 이번에도 4라운드까지 지명이 안 되어 또 물먹을꺼라고 생각할 찰나에 지명되었으니, 눈물을 흘릴 수 밖에.] 또한 이 드래프트는 주긴완 때문에 홍콩에서도 라이브로 중계 되고 있었고, 유재학 감독의 지명이 홍콩의 여러 스포츠 언론에 기사로 실릴 정도로 큰 화제가 되었다. * 정규리그 2위팀이자[* 승률은 정규리그 1위팀 KCC와 동일.] 4강 진출팀인 모비스가 1픽을 얻은 덕에(?) 이후 신인 드래프트부터는 7~10위 팀은 16%(각각 32개), 6강 진출 팀은 12%(각각 24개), 4강 진출 팀은 5%(각각 10개), 준우승 팀은 1.5%(3개), 우승팀은 0.5%(1개)의 확률을 차등 부여하는 방식으로 [[http://sports.news.naver.com/basketball/news/read.nhn?oid=001&aid=0008767679|변경된다.]] 공의 개수는 200개 그대로이며 1~4순위까지에만 해당된다. 5~8순위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1,2,3,4,9,10순위 팀을 제외한 나머지 4팀을 성적대로 40%, 30%, 20%, 10% 차등 부여하는 방식이 그대로 유지된다. 여담으로 2012년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에서 '''[[허재]] 감독이 무려 1.5%(3개/200)를 뚫고 1순위를 차지'''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이 방식으로 바뀌자마자 1.5%의 확률을 가진 삼성은 '''2번이나 뚫었다!'''-- [* 외국인 드래프트에서는 1순위,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3순위를 차지했다. 물론 외국인 드래프트는 2명 모두 재계약으로 의미가 없고, 신인 드래프트는 김태술, 이현민 트레이드로 인해 KCC가 이득을 봤다.] == 관련 문서 == * [[한국프로농구]] [[분류: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분류:한국프로농구/2016-17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