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2018 Hawaii earthquake || {{{#fff 발생일시[br]^^(UTC)^^}}} ||||2018년 05월 04일 22시 32분 55초 || || {{{#fff 진앙}}} ||||[[하와이]] 빅아일랜드 동남쪽 해안|| || {{{#fff 진원의 깊이}}} ||||5km|| || {{{#fff 규모}}} ||||'''M 6.9'''|| || {{{#fff 최대진도}}} ||||ShakeMap 추산 '''VIII'''(USGS)|| || {{{#fff 쓰나미 여부}}} ||||하와이 - 40cm|| || {{{#fff 여진 횟수[br](M 4.0 이상)}}} || 여진 횟수 || || ||<|4> {{{#fff 피해상황}}} || 사망자 ||- 명|| || 실종자 ||- 명|| || 부상자 ||- 명|| || 피해총액 ||-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 시간으로 [[2018년]] [[5월 5일]] 7시 32분 [[하와이 주]]에서 일어난 [[지진]]. 사실 지진보다는 지진으로 인해 일어난 화산활동이 주된 내용이다. == 현황 == 이상이 감지된 것은 [[2018년]] [[4월 30일]]이며 화산 동쪽의 분화구 밑부분이 붕괴되었으며 지진이 발생하기 전 주에는 킬라우에아 화산 주위에서 1000번 이상 작은 지진이 일어났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37&aid=0000181330|#]] 킬라우에아 화산이 다시 분화하기 시작해 용암이 주택가까지 흘러내리면서 5월 7일으로 기준 레일라니 에스테이트 지역에서만 주민 1700여명이 대피했고 화산국립공원 방문객 2600여 명에게도 대피령이 내려졌으며 바다로 용암이 흘러내리면서 이산화황 가스가 발생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6&aid=0010573487|#]] 현지 시간 5월 7일 기준으로 집 36채가 불탔다고 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3274053|#]] 현지 시간 기준으로 5월 17일에는 킬라우에아 화산의 정상 부분이 폭발해 화산재 기둥이 해발 9천 미터 이상 치솟았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5&aid=0000641627|#]] 19일째 용암을 분출하고 있었으며 한 명이 중상을 입었다. [[http://v.media.daum.net/v/20180521203415559?f=m|#]] [[http://theqoo.net/735796638|5월 22일 상황]] 5월 25일에는 가연성 가스에 불이 붙어 훨씬 위험해졌고 마지막 탈출로도 막혀 주민들이 헬기 대피 준비를 했다. [[http://v.media.daum.net/v/20180526003521616?f=m|#]] 6월 4일 기준으로 117채가 넘는 집이 파괴되었다. [[http://v.media.daum.net/v/20180605081543271?f=m|#]] == 여파 == 한편 하와이에서의 지진과 화산 폭발로 인해 한국에서 [[백두산]] 폭발 우려가 대두되었고 학계에서도 관심을 가졌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1&aid=0002917133|#]] 2018년 9월 4일까지 화산이 폭발했으며 그 영향으로 미국 [[달러 지수]]가 92.408에서 95.38까지 상승하였다. 화산 폭발과 지진 때문에 복구 작업으로 인해 경제가 회복할 가능성 탓에 다우지수가 24,831.17에서 마지막인 26,154.67까지 올랐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지진/2018년)] [[분류:지진/미국]][[분류:2018년 지진]][[분류:화산 폭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