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include(틀: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목차] == 개요 ==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의 지역예선을 설명하는 문서. 유럽을 제외한 모든 대륙은 지역컵이 예선을 겸한다. == 유럽(UEFA) == * [[프랑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 진출 * [[잉글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1조 1위 * [[스코틀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2조 1위 *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3조 1위 * [[스웨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4조 1위 *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5조 1위 *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6조 1위 * [[스페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7조 1위 * [[네덜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플레이오프 승리 === 2차 예선 === 조 1위 전원이 본선에 직행했으며, 조 2위는 7팀의 성적을 비교하여 하위 3팀이 탈락하고 나머지 4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fff '''\'''}}} || {{{#fff '''1위 (본선 직행)'''}}} || {{{#ff0 '''2위 (PO 순위 경합)'''}}} || {{{#f00 '''3위 (탈락)'''}}} || {{{#f00 '''4위 (탈락)'''}}} || {{{#f00 '''5위* (탈락)'''}}} || || '''{{{#c06 1조}}}'''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웨일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러시아}}}]] ||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3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30]] [[카자흐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카자흐스탄}}}]] || || '''{{{#c06 2조}}}'''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폴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폴란드}}}]]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30]] [[알바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알바니아}}}]]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30]] [[벨라루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벨라루스}}}]] || || '''{{{#c06 3조}}}'''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노르웨이]]'''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아일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아일랜드}}}]] ||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width=30]] [[북아일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북아일랜드}}}]]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width=30]] [[슬로바키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슬로바키아}}}]] || || '''{{{#c06 4조}}}'''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스웨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덴마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우크라이나}}}]]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헝가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헝가리}}}]]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크로아티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크로아티아}}}]] || || '''{{{#c06 5조}}}'''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30]] [[아이슬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아이슬란드}}}]] || [[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체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체코}}}]]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30]] [[슬로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슬로베니아}}}]] || [[파일:페로 제도 기.svg|width=30]] [[페로 제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페로 제도}}}]] || || '''{{{#c06 6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벨기에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포르투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포르투갈}}}]]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루마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루마니아}}}]] || [[파일:몰도바 국기.svg|width=30]] [[몰도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몰도바}}}]] || || '''{{{#c06 7조}}}'''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스페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오스트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오스트리아}}}]]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30]] [[핀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핀란드}}}]]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세르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세르비아}}}]]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30]] [[이스라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666 이스라엘}}}]] || ||<-6> {{{#fff '''※조 2위간 순위 판정 시 각 조 5위 팀과의 전적은 제외한다.'''}}} || === 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는 2라운드에 걸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fff 1라운드}}}''' || '''{{{#fff 2라운드}}}'''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4''' - 1 [[덴마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네덜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4''' - 1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벨기에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 3 - '''3([[원정 다득점 원칙|a]])'''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 || == [[2018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칠레|남미(CONMEBOL)]] == [[2018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칠레]]가 지역 예선을 겸한다. 이 대회의 우승팀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과 준우승팀 [[칠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칠레]]가 본선에 직행했고, 3위 팀 [[아르헨티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북중미의 [[파나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나마]]를 합계 5:1로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 [[2018 CONCACAF 여자 챔피언십 미국|북중미카리브(CONCACAF)]] == [[2018 CONCACAF 여자 챔피언십 미국]]이 지역 예선을 겸한다. 이 대회의 우승팀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미국]]과 준우승팀 [[캐나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캐나다]], 그리고 3위 팀 [[자메이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자메이카]]가 본선에 직행했고, 4위 팀 [[파나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나마]]는 남미의 [[아르헨티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합계 1:5로 패해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한편, [[멕시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멕시코]]는 조별리그에서 [[파나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나마]]에 충격패를 당해 A조 3위로 탈락하면서 [[2007 FIFA 여자 월드컵 중국]] 이후 12년만에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지 못하게 되었다. == [[2018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가나|아프리카(CAF)]] == [[2018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가나]]가 지역 예선을 겸한다. 우승팀 [[나이지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나이지리아]]와 준우승팀 [[남아프리카 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남아공]], 그리고 3위 팀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카메룬]]이 본선에 진출했다. ==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요르단|아시아(AFC)]] ==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요르단]]이 지역 예선을 겸한다.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에서 한국은 험난한 여정을 걸었다. 한국은 지난 대회 16강에 힘입어 톱시드를 배정받았는데, 하필이면 '''북한과 같은 B조'''에 편성된 것이다. 북한이 도핑 적발로 인해 2015년 대회 참가 금지라는 중징계를 받으면서 톱시드를 배정받지 못했는데, 하필 한국과 같은 조에 편성되었다. 참고로 한국 여자대표팀은 북한을 이겨본 게 단 한 번 뿐이다. 더군다나 하필이면 예선 B조는 북한에서 유치신청을 했고 그것이 승인된 상태였기에 북한의 홈그라운드였다(...). B조는 한국, 북한, 인도, 우즈베키스탄, 홍콩 5개팀이 편성되어 풀리그를 치루고 조 1위만이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할 수 있었다. 2017년 4월 3일, 북한이 인도에 8:0, 4월 5일에는 홍콩에 5:0으로 대승했다. 그리고 북한 대 홍콩전 이후 한국 대 인도전이 예정되어 있었다. 이 시점에서 한국이 할 수 있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북한에 이기긴 어려우니 최소한 무승부를 기록하고 이후 북한이 이긴 상대들에게 북한보다 더한 점수차로 이겨 골득실상 우위를 가져가는 것이었다. 그리고 한국은 인도전에서 10:0 승리를 거둬 북한과 비교하여 2득점의 우위를 가져간다. 이후 운명의 4월 7일 북한전에서 전반 추가시간에 선제골을 내줬지만 후반전에 동점골을 작렬, '''북한과 비기는 쾌거'''를 달성하고 뒤이어 4월 9일 홍콩전에서 6:0으로 승리, 북한에 3골차의 골득실 우위를 차지한다. 이후 경기에서 남북 모두 우즈베키스탄에 4:0으로 승리하면서 한국은 아시안컵 본선에 합류하는데... 아시안컵 본선 개최국 요르단이 톱시드를 차지하면서 그만 '''[[죽음의 조/축구|강팀들이 모두 B조에 몰렸다.(...)]]''' 아시아 5대 강호 중 예선에서 탈락한 북한을 제외한 4개팀 가운데 중국만이 A조에 편성되고, 일본, 호주, 한국이 모두 B조에 속하게 되었다. 그야말로 [[UEFA 유로 2004]] [[UEFA 유로 2004/C조|C조]]의 재현(...). 한국 입장에선 답이 없는 상황이었고, 결국 1승 2무를 하고도 상대 전적상 다득점에서 일본과 호주에 밀려서 4강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아시아 티켓이 5장인 덕에 필리핀과의 조 3위간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해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는 점. == [[2018 OFC 여자 네이션스컵 누벨칼레도니|오세아니아(OFC)]] == [[2018 OFC 여자 네이션스컵 누벨칼레도니]]가 지역 예선을 겸한다. == 대륙간 플레이오프 (CONMEBOL - CONCACAF) == [[2018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칠레|2018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3위 팀인 [[아르헨티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와 [[2018 CONCACAF 여자 챔피언십 미국|2018 CONCACAF 여자 챔피언십]] 4위 팀인 [[파나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파나마]]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만났으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합계 5:1로 앞선 [[아르헨티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가 본선에 진출했다. === 1차전 === ||<-3> '''{{{#c06 2019 FIFA 여자 월드컵 대륙간 플레이오프(CONMEBOL-CONCACAF) 1차전[br]2018.11.08.(목) 19:00(UTC-3)}}}''' || ||<-3> '''{{{#fff 에스타디오 훌리오 움베르토 그론도나 ([[사란디|{{{#fff 사란디}}}]], 아르헨티나)}}}''' || ||<-3> '''{{{#c06 주심:}}}''' [[야나 아담코바|{{{#c06 '''야나 아담코바'''}}}]] '''{{{#c06 ([[체코 축구 협회|{{{#c06 체코}}}]])}}}''' || || [[파일:Argentina W AFA 2018.png|height=120]] ||<|2> '''{{{+5 {{{#000 4 : 0}}}}}}''' || [[파일:Panamanian Football Federation.png|height=120]]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000 아르헨티나}}}]]''' || [[파일:파나마 국기.svg|width=30]] '''[[파나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fff 파나마}}}]]''' || || '''{{{#000 20′}}} [[마리아나 라로케테|{{{#000 마리아나 라로케테}}}]]'''[br]'''{{{#000 26′, 90+7′[[페널티 킥|{{{#00f (PK)}}}]]}}} [[엘리아나 스타빌레|{{{#000 엘리아나 스타빌레}}}]]'''[br]'''{{{#000 90+4′}}} [[야밀라 로드리게스|{{{#000 야밀라 로드리게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 || === 2차전 === ||<-3> '''{{{#c06 2019 FIFA 여자 월드컵 대륙간 플레이오프(CONMEBOL-CONCACAF) 2차전[br]2018.11.13.(화) 20:00(UTC-5)}}}''' || ||<-3> '''{{{#fff 에스타디오 로멜 페르난데스 ([[파나마시티|{{{#fff 파나마시티}}}]], 파나마)}}}''' || ||<-3> '''{{{#c06 주심:}}}''' [[카테리나 몬줄|{{{#c06 '''카테리나 몬줄'''}}}]] '''{{{#c06 ([[우크라이나 축구 연맹|{{{#c06 우크라이나}}}]])}}}''' || || [[파일:Panamanian Football Federation.png|height=120]] ||<|2> '''{{{+5 {{{#000 1 : 1}}}}}}''' || [[파일:Argentina W AFA 2018.png|height=120]] || || [[파일:파나마 국기.svg|width=30]] '''[[파나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fff 파나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000 아르헨티나}}}]]''' || || '''{{{#000 37′}}} [[나탈리아 밀스|{{{#000 나탈리아 밀스}}}]]'''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 65′}}} [[플로렌시아 본세군도|{{{#000 플로렌시아 본세군도}}}]]''' || [[분류: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