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파일:London-Bridge-incident-16.jpg]] * 영어 명칭: London Bridge attack[* Sky news 인용[[https://youtu.be/t8b-i_o1SdM|#]]] ||<:> '''발생 일시''' [br] (현지시간)|| 2019년 11월 29일 오후 1시 58분 || ||<:>'''사건 종료''' [br] (현지시간)|| 2019년 11월 29일 오후 2시 이후 || ||<:>'''발생 장소''' || [[영국]] [[런던]]시 [[런던 브리지]] || ||<:>'''사고 유형''' || [[테러]][* 흉기난동 및 살인] || ||<:>'''발생 주체''' || 불명 || ||<:>'''범인'''|| 우스만 칸(Usman Khan) || ||<:><#000000> {{{#white '''사망'''}}} || '''범인 1명 포함 3명''' || ||<:><#FFBB00> {{{#black '''부상'''}}} || '''3명''' || > '''"런던은 절대 테러리즘에 굴복하지 않을 것입니다. 테러리즘은 절대 승리하지 못합니다."''' > ---- > 테러 이후 런던 시장 [[사디크 칸]]의 트위터[[https://twitter.com/MayorofLondon/status/1200514265251270656|#]] > '''"우리나라는 이런 종류의 공격에 의해 절대로 겁먹지도, 분열되지도, 위협당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우리의 영국적 가치는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 > ---- > 테러 이후 영국 총리 [[보리스 존슨]], [[BBC]] 인터뷰에서[[https://www.bbc.co.uk/news/uk-50604781|#]] [목차] == 개요 == [[영국]] [[런던]]의 [[런던 브리지]]에서 [[2019년]] [[11월 29]]일에 벌어진 흉기난동 사건. [[2017년 런던 브리지 테러]] 이후 2년만에 일어난 [[런던 브리지]]에서의 [[테러]] 사건이다. [[흉기]]난동치고는 피해자 수와 사망자 수가 적은 편이어서 이전 테러에 비해 규모가 작은 편이다. == 진행 == [[파일:21631062-7739057-image-a-10_1575059330622.jpg]] [[데일리 메일]]의 이 사건 요약 지도. 2019년 11월 29일 런던 브리지 북쪽에 있는 피쉬몽거스 홀에서 전과자들과 [[케임브리지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재사회화 프로그램이 끝났다. 프로그램에 참석하고 나오던 범인 우스만 칸은 오후 1시 58분 [[뱅크 모뉴먼트 역]]과 피쉬몽거스 홀에서 총 5명을 [[칼부림 사건|두 자루의 단검으로 찔렀고]] 이를 본 시민들 여럿이 [[소화기]]와 피쉬몽거스 홀에 있던 [[일각고래]]의 엄니로 범인을 제압하고 무기를 빼앗았다. 이후 오후 2시 3분경 제압된 범인을 체포하려 온 무장경찰이 범인이 폭탄 조끼를 터뜨리려고 하는 모습을 목격하자 발포해 범인을 [[사살]]했다. 이후 범인이 입고 있던 조끼는 진짜가 아닌 가짜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경찰은 일대에서 사람들을 대피시키고 [[버러 역]], 뱅크 모뉴먼트 역, [[런던 브리지 역]], 그리고 [[런던 브리지]]를 폐쇄하였다. 이들 중 [[런던 브리지]]역은 당일 오후 5시까지 폐쇄되어 지하철과 철도 모두 무정차 통과하였다. 칼에 찔린 5명 중 4명은 중상을 입었고 중상자들 중 두 명이 사망하였다. 나머지 중상자들은 안정을 되찾았고 경상자 역시 생명에 위험은 없다고 한다. == 범인 == [[파일:UsmanKhan2012.jpg]] 범인 우스만 칸(Usman Khan)은 [[1991년]] [[3월 10일]]에 태어난 [[파키스탄계 영국인]]으로, [[카슈미르]] 지방 출신 [[파키스탄인]] 이민자 부부 슬하에서 태어났다. 영국의 [[살라프파]] 계열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인 알 무하지룬(Al-Muhajiroun) 소속으로서 런던 주식거래소와 켄트의 다수 펍에 대한 폭탄 테러 미수로 2012년 2월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16년형으로 감형되었다. 또 범인은 [[이슬람 극단주의]]자 변호사 안젬 초다리(Anjem Choudary)[* 1967년 1월 18일생. [[변호사]]로, 샤리아 법이 영국 법보다 우위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를 지원한 이슬람 극단주의자이며 2015년 기소 및 투옥되었고 2018년 석방되었다. 석방 이후 2021년까지 공공장소에서 연설을 금지당했다.]의 제자이자 친구인 것으로 밝혀졌다. 8년간의 수감 생활 이후 가석방된 우스만 칸은 상술한 강연을 듣고 나오는 길에 런던 브리지에서 5명에게 상해를 입혔다. 이 사건과 2012년의 테러 미수 사건은 [[알카에다]]에게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범인은 범행 후 시민들에게 제압되었다가 경찰과 대치 중 가짜 자폭 조끼를 터뜨리려는 시늉을 하려다 경찰이 쏜 총에 맞고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사망을 염두에 두고 테러한 것이라는 가설이 대두되었다.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가 이 사건의 배후임을 자처했으나[[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545263&plink=ORI&cooper=NAVER|#]] 확인된 바는 없다.[* 범인이 영감을 받은 [[알카에다]]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와 '''적대 관계'''다.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외교#s-5.3|해당 문서]] 참조.][* 단, 범인의 스승 안젬 초다리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를 지원했던 전력이 있다.] 원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를 비롯한 테러집단들은 굵직한 사건이 터지면 자신들이 했다고 주장한다. == 피해자 == 2019년 11월 30일 영국 시간 오후 7시 8분 기준으로 알려진 피해자는 여성 3명과 남성 2명으로, 이 중 23세 여성 사스키아 존스와 25세 남성 잭 메리트는 병원에 실려가 치료를 받았으나 사망하였다. 생존자 3명 중 1명은 경상을 입었고 중상을 입은 2명도 11월 30일 기준으로 안정을 되찾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 사망 === [[파일:skynews-jack-merritt-composite_4852297.jpg]] 피해자 잭 메리트(Jack Merritt, 향년 25세)의 사진. 피해자 잭 메리트는 [[맨체스터 대학교]] 를 졸업했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대학원]]에서 범죄학을 전공하였으며 범인이 참석한 재사회화 프로그램의 조직자이자 강연자 중 한 명이었다. [[https://www.bbc.co.uk/news/uk-50615926|생전에 고인이 진행한 팟캐스트 일부를 들을 수 있는 기사]] [[파일:skynews-saskia-jones-london-bridge_4853546.jpg]] 피해자 사스키아 존스(Saskia Jones, 향년 23세)의 사진. 피해자 사스키아 존스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범죄학을 전공하였으며 범인이 참석한 재사회화 프로그램의 참석자 중 한 명이었다. === 부상 === [[파일:Lukasz.jpg]] 피해자 루카즈 콕조킥(Lukasz Koczocik, 사건 당시 38세)의 모습 루카즈는 피쉬몽거 홀의 [[폴란드]]인 주방 인부 중 한 명으로, 범인에게 다섯 차례 칼에 찔리고도 범인을 끝까지 제압한 사람이다. 루카즈는 지하에 있다가 비명소리가 들리자 1층[* 영국 기준으로 1층은 대한민국의 2층이다. 이하 모두 영국 층 기준]으로 뛰어올라가 벽에 전시되어 있던 창을 들고 범인을 밀어붙였다. 이 와중에 도망치던 범인에게 칼로 다섯 차례 찔렸음에도 불구하고 범인을 끝까지 쫓아가서 제압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dailymail.co.uk/news/article-7752251/Polish-kitchen-worker-stabbed-battled-London-Bridge-killer-says-acted-instinctively.html|#]] == 반응 ==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사디크 칸]] 런던 시장은 피해자들에 대한 조의와 범인을 제압한 시민들에 대한 감사, 그리고 테러리즘에 대한 저항의 의지를 밝혔다. 범인 우스만 칸의 가족들은 범인의 행동을 용납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피해자들에게 위로의 말을 전했다. == 기타 == 범인을 제압한 여러 명의 사람 중 출소한 살인범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제58회 영국 총선]]을 앞두고 일어난 사건이라 가석방 제도를 놓고 각 당의 [[책임전가]]가 심화되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444868|#]] == 관련 문서 == * [[2017년 런던 브리지 테러]] [[분류:영국의 사건사고]][[분류:2019년 테러]][[분류:런던 테러]] [[분류:칼부림]][[분류:엘리자베스 2세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