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21 Mid-Season Invitational)]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 경기 일정)]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영상 정렬, url=HKu5f_TWC84)] [[2021 Mid-Season Invitational]]의 그룹 스테이지에 관해 다루는 문서이다. 5월 6일부터 5월 11일까지 총 6일 동안 [[뢰이가르달스회들 실내 스포츠 경기장]]에서 진행된다. == 풀 배정 == ||<-4><:>[[Mid-Season Invitational|[[파일:300px-LOL_MSI_logo.svg.png|width=25]]]] [[2021 Mid-Season Invitational|{{{#black '''2021 Mid-Season Invitational'''}}}]] {{{#black '''그룹 스테이지 풀 배정'''}}}|| ||<|2><:><#26d740>{{{#black '''풀[br]{{{+3 1}}}'''}}}||<:> [[DWG KIA/리그 오브 레전드|[[파일:DWG KIA 엠블럼.svg|height=100]]]] ||<:>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NG 로고 2017.svg|width=100]]]] ||<:> [[MAD Lion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MAD_Lions_no_text.png|height=100]]]] || ||<#000>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0ec7b5 한국}}}]]^^[br]'''[[DWG KIA/리그 오브 레전드|{{{#0ec7b5 DWG KIA}}}]]''' ||<#b4936a> ^^[[League of Legends Pro League|{{{#fff 중국}}}]]^^[br]'''[[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fff Royal Never Give Up}}}]]''' ||<#fff>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c89a3a 유럽}}}]]^^[br]'''[[MAD Lions/리그 오브 레전드|{{{#c89a3a MAD Lions}}}]]''' || ||<|2><:><#26d740>{{{#black '''풀[br]{{{+3 2}}}'''}}}||<:> [[Cloud9/리그 오브 레전드|[[파일:Cloud9 아이콘.svg|width=100]]]] ||<:> [[GAM Esports|[[파일:GAM.png|height=90]]]] ||<:> [[PSG Talon|[[파일:PSG Talon 로고(2020-2021).svg|width=100]]]] || ||<#0d92d5>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fff 북미}}}]]^^[br]'''[[Cloud9/리그 오브 레전드|{{{#fff Cloud9}}}]]''' ||<#ffdb2a> ^^--[[Vietnam Championship Series|{{{#000 베트남}}}]]--^^[br]--'''[[GAM Esports|{{{#000 GAM Esports}}}]]'''--[* 베트남 당국의 통제로 인한 불참] ||<#e30041> ^^[[Pacific Championship Series|{{{#fff 태평양 연안}}}]]^^[br]'''[[PSG Talon|{{{#fff PSG Talon}}}]]''' || ||<|2><:><#26d740>{{{#black '''풀[br]{{{+3 3}}}'''}}}||<:> [[fastPay Wildcats|[[파일:Istanbul_Wildcatslogo.png|height=90]]]] ||<:> [[Unicorns of Love/리그 오브 레전드|[[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height=100]]]] ||<:> [[Gillette Infinity|[[파일:Gillette Infinity Logo.png|height=90]]]] || ||<#18213c> ^^[[Turkish Championship League|{{{#fff 터키}}}]]^^[br]'''[[fastPay Wildcats|{{{#fff fastPay Wildcats}}}]]''' ||<#ea1e5b> ^^[[League of Legends Continental League|{{{#000 독립국가연합}}}]]^^[br]'''[[Unicorns of Love/리그 오브 레전드|{{{#000 Unicorns of Love}}}]]''' ||<#ff2d00> ^^[[Latin America League|{{{#fff 라틴 아메리카}}}]]^^[br]'''[[Gillette Infinity|{{{#fff Gillette Infinity}}}]]''' || ||<|2><:><#26d740>{{{#black '''풀[br]{{{+3 4}}}'''}}}||<:> [[파일:DFM 로고 (2016-2022).svg|width=100&theme=light]][[파일:DFM 로고 (2016-2022)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파일:Pentanet.GG Logo.png|height=100]] ||<:> [[파일:paiN Gaming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paiN Gaming 로고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00abeb>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fff 일본}}}]]^^[br]'''[[DetonatioN FocusMe|{{{#fff DetonatioN FocusMe}}}]]''' ||<#f99621>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000 오세아니아}}}]]^^[br]'''[[Pentanet.GG|{{{#000 Pentanet.GG}}}]]''' ||<#000> ^^[[Circuit Brazilian League of Legends|{{{#fff 브라질}}}]]^^[br]'''[[pai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fff paiN Gaming}}}]]''' || == 조 편성 == [[파일:03_groups_team_graphics_KOR_jpg.jpg]] === [[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A조|A조]] ===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A조)] RNG 입장에서는 생각보다 피곤할 수 있는 조편성이다. 2티어로 PCS와 함께 마이너 지역 투탑으로 분류되는 VCS의 GAM, 3티어에서도 최상위인 LCL의 UOL이 들어왔으며 마지막 역시 4티어 최강으로 평가받는 LCO(구 OPL)의 PGG가 합류했다. 그래도 분명히 RNG와 나머지 팀의 격차가 어느 정도 큰 편이므로 3팀간 2위 싸움이 매우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VCS가 베트남 당국의 여행 입국 통제로 또다시 불참하게 되면서 남은 세 팀이 경기를 치르게 됨에 따라 LCO와 LCL의 치열한 2위 싸움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6경기를 치르는 다른 조들과 달리 8경기를 치르기 때문에 체력과 전략 관리가 더 중요해질 것이다. === [[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B조|B조]] ===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B조)] LJL과 함께 마이너 지역 최약체로 뽑히는 CBLOL의 페인을 제외한 LEC의 매드, PCS의 PSG, TCL의 IW의 3파전으로 예상된다. PCS와 TCL은 마이너 지역 상위권이며, 매드는 작년 롤드컵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TCL의 [[Papara SuperMassive/리그 오브 레전드|슈퍼매시브]]에게 다전제에서 패배하면서 광탈했던 전적이 있고 반대로 PSG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조 1위를 하며 그룹 스테이지로 직행했기 때문이다. IW는 지금까지 TCL 대표로 출전한 슈퍼매시브와 [[1907 Fenerbahçe Espor|페네르바흐체]]를 꺾고 처음으로 국제 대회에 진출했다. === [[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C조|C조]] ===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C조)] 그나마 업셋 가능성이 보이는 다른 조와는 다르게 티어 순서대로 순위가 고정될 가능성이 높은 조이다. 디펜딩 월드 챔피언 DK를 제외하더라도 LCS의 위상이 아무리 예전같지 않다지만 마이너 지역에게 업셋만큼은 잘 당해주지 않고 있으며 3, 4티어의 팀들이 마이너 지역 약체로 평가받는 LLA와 LJL의 INF, DFM이기 때문에 C9의 2위가 유력해 보인다. == 일정 == === 1라운드 === ||<-3>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 1라운드 1일차)] ||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 1라운드 2일차)] || ||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 1라운드 3일차)] || ||<-5><#26d740> [[Mid-Season Invitational|[[파일:300px-LOL_MSI_logo.svg.png|width=25]]]] '''{{{#000 그룹 스테이지 1라운드 중계진}}}''' || || '''{{{#fff 경기}}}''' || '''{{{#fff 캐스터}}}''' ||<-3> '''{{{#fff 해설자}}}''' || || '''1일차''' || [[전용준]] ||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 || [[강승현(게임 해설가)|강승현]] || [[신정현]]{{{-2 [*객원 객원해설]}}} || || '''2일차''' || [[성승헌]] ||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 [[강범현]] || [[김배인]]{{{-2 [*객원 객원해설]}}} || || '''3일차''' || [[전용준]] ||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 || [[강승현(게임 해설가)|강승현]] || [[엄성현]]{{{-2 [*객원 객원해설]}}} || === 2라운드 === ||
<-3>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 1일차)] ||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 2일차)] || ||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 3일차)] || ||<-5><#26d740> [[Mid-Season Invitational|[[파일:300px-LOL_MSI_logo.svg.png|width=25]]]] '''{{{#000 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 중계진}}}''' || || '''{{{#fff 경기}}}''' || '''{{{#fff 캐스터}}}''' ||<-3> '''{{{#fff 해설자}}}''' || || '''A조''' || [[전용준]] ||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 || [[강범현]] || [[정제승]]{{{-2 [*객원 객원해설]}}} || || '''B조''' || [[성승헌]] ||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 || [[이창석(프로게이머)|이창석]]{{{-2 [*객원 객원해설]}}} || || '''C조''' || [[성승헌]] ||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 || [[김광희]]{{{-2 [*객원 객원해설]}}} || == 결과 == ||
<-3>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A조 순위표)] ||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B조 순위표)] || ||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그룹 스테이지/C조 순위표)] || [include(틀:2021 Mid-Season Invitational/럼블 스테이지 진출팀)] == 총평 == === 1라운드 === C9이 다른 의미로 또다시 세계를 놀라게 만들며 LCS가 아직 부진의 늪에 갇혀있다는 것을 드러냈고, 1티어 팀들이 1라운드를 전승하며 메이저 리그가 3대 지역으로 재편되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MAD가 PNG에게, 담원이 DFM에게 크게 흔들리는 등 마이너 리그가 메이저 리그를 몰아붙이는 모습도 연거푸 나오거나 특히 마이너 지역 중에서도 4티어로 분류된 사전 예상 꼴찌 후보 PGG, PNG, DFM 세 팀이 전부 1승을 획득하며 1라운드의 혼전의 중심이 되고 있다. === 2라운드 및 그룹 스테이지 총정리 === A조의 RNG는 비록 GAM이 빠졌지만 그 명성에 맞게 그룹 스테이지 전승을 기록하였으며 4티어 팀 펜타넷이 UOL을 잡고 럼블 스테이지에 오르는 이변을 만들어냈다. C조의 C9도 2라운드에서 전승을 일궈내며 스스로 조롱을 털어내었다. B조의 매드와 C조의 담원은 1패씩 적립하는 등 예상 외의 모습을 보였으나 1티어팀 답게 1위 자리를 지켜내었다. 또한 각조의 다크호스로 평가 받았던 3티어 팀들이 4티어에 밀려 2R에 전패를 하거나 업셋을 당해 부진하면서 모두 각조의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는 가을에 있을 월드 챔피언십에서의 마이너리그간 시드 배치나 파워 랭킹 등 여러가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분류:2021 Mid-Season Invita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