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빌보드 연말 차트)] [include(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목차] == 개요 == 빌보드가 발표한 2021년의 [[빌보드 연말 차트|연말 차트]]이다. 빌보드와 영어 위키피디아의 자료를 참조하였다. 아래는 순위와 아티스트, 그리고 곡명 순이다. 아티스트와 곡명은, 빌보드 핫 100 1위 곡 문서처럼, 문서의 통일성 및 가독성을 위해 모두 영어로 기재한다. 중복되는 아티스트일지라도 모두 링크 처리한다. 영어 위키피디아의 표를 참조한 것으로, 이는 통일성 및 가독성 문제 때문이다. 같은 아티스트라도 여러 곡이 연말 차트에 진입했다면, 그 아티스트의 이름은 문서가 있는 아티스트의 경우 모두 링크해야 한다. == 2021년 빌보드 연말 차트 == * 1. [[두아 리파|Dua Lipa]][* [[DaBaby]]의 크레딧은 집계되지 않고 Dua Lipa의 크레딧만 집계됐다.] - [[Levitating]][* 20여 년 만에 연내 빌보드 Hot 100 1위를 달성하지 못한 곡이 연말 차트 1위를 달성한 곡으로, 여러모로 우여곡절이 많았던 곡이다. 첫 화력은 미미했지만 [[DaBaby]]와의 리믹스 발매, [[그래미 어워드]]에서의 퍼포먼스를 계기로 한 반등, 빌보드 차트의 룰 변경으로 인한 재진입, 다베이비의 호모포비아 발언으로 인한 크레딧 제외 등. Hot 100 1위가 예측되었던 마지막 기회는 불법 다운로드한 정황이 포착되어 [[Leave The Door Open]]한테 밀려 결국 최고순위 2위에 머물게 된 눈물겨운 에피소드도 있다. 그러는 동안에 엄청난 누적수치가 쌓여 결국 연말 1위를 차지하는데 성공했지만, 여러 개의 리믹스를 이용한 [[리믹스 편법]]과 그 버전들의 덤핑, 페이올라 의혹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는 곡이기도 하다. 다만 관련 퍼포먼스 자체는 큰 호평을 받았고, 작년 Don't start now라는 연말 4위의 고순위 싱글보다 더욱 성공한 곡을 Future nostalgia에서 뽑아냈다는 점에서 커리어의 정점을 찍었다.] * 2. [[The Weeknd]] & [[아리아나 그란데|Ariana Grande]] - [[Save Your Tears]][* [[2020년 빌보드 연말 차트|지난해 빌보드 연말 차트]] 1위를 차지한 아티스트가 이듬해 연말 차트 2위를 차지한 두 번째 기록을 세웠다. 적절한 타이밍에 리믹스를 내어 큰 이득을 본 경우이다.] * 3. [[The Weeknd]] - [[Blinding Lights]][* [[2020년 빌보드 연말 차트|지난해 빌보드 연말 차트]] 1위를 한 곡이 이듬해 빌보드 연말 차트에서 Top 3를 차지한, '''빌보드 역사상 전무후무 유일무이'''한 사례이다.] * 4. [[24kGoldn]] (feat. [[iann dior]]) - [[Mood]][* 연말이 가까운 시점에 1위를 차지하여 [[2020년 빌보드 연말 차트]]에서는 손해를 보았으나 예상대로 2021년 연말 차트에서 '''4위'''라는 매우 높은 순위를 받으며 여러모로 메가히트곡임을 증명하였다. 자세한 건 [[Mood]]문서로.] * 5. [[올리비아 로드리고|Olivia Rodrigo]] - [[good 4 u]][* 5월에 발매해 기간상 다소 손해를 보았으나 연말차트 5위라는 고순위를 차지했다. 1988년 최대의 히트곡으로 불리는 Sweet Child O'Mine과 비슷한 경우로, [[drivers license]]에 비해 안정적인 낙폭을 기록하였으며 [[STAY(The Kid LAROI)|STAY]]와 함께 2021년 최고의 히트곡으로 꼽힌다.] * 6. [[Doja Cat]] (feat. [[SZA]]) - [[Kiss Me More]][* 작년 [[Say So]]로 히트친 도자캣과 2021년 초에 Good Days로 큰 반응을 얻은 시저의 콜라보곡이다. 피크 순위는 3위이지만 발매 후 좋은 반응을 얻으며 탑텐에 7위로 진입한 뒤 안정적인 스트리밍 추이와 라디오 수치를 보여주며 무려 '''27'''주 동안 탑텐에 진입한 엄청난 롱런곡으로, 이로 인해 피크 1위를 찍기도 한 쟁쟁한 곡들을 이기고 연말차트에서 '''6위'''라는 높은 순위를 얻었다. 또한 [[Say So]]와 다르게 공약이나 리믹스가 없었고 덤핑이나 페이올라 의혹 등의 상술 없이 [[Say So]]보다 더 좋은 롱런 추이를 보여줬다. 여성 가수들의 콜라보곡으로는 최초로 탑텐에 20주 이상 진입했으며 SZA의 벌스 또한 큰 호평을 받으며 도자캣과 시저의 입지를 넓히는데 큰 도움을 준 곡이기도 하다.] * 7. [[Silk Sonic]] ([[Bruno Mars]] & [[Anderson .Paak]]) - [[Leave The Door Open]][* 라디오 롱런으로 고순위를 달성한 곡이며 연말 차트 10위 안 노래 중에서는 스트리밍 수치가 가장 낮다. 1위를 차지할 때 덤핑과 피지컬 싱글 상술을 사용하였다는 비판을 받았다.] * 8. [[올리비아 로드리고|Olivia Rodrigo]] - [[drivers license]][* 사재기 의심까지 생기게 할 정도로 신드롬을 일으킨 올리비아 로드리고의 데뷔곡으로 이후 추이는 좋지 않아 연초 발매와 엄청난 고점에도 불구하고 8위라는 아쉬운 순위가 나왔다.] * 9. [[Lil Nas X]] - [[MONTERO (Call Me By Your Name)]] * 10. [[저스틴 비버|Justin Bieber]] (feat. [[다니엘 시저|Daniel Caesar]] & [[GIVĒON]]) - [[Peaches]][* 초중반 추이는 좋았으나 후반 추이가 아쉬워 여름까지 쭉 우세를 점하던 [[MONTERO (Call Me By Your Name)]]에 밀려 연말차트 10위를 차지했다.] * 11. [[방탄소년단|BTS]] - [[Butter]][* k-pop 역사 상 빌보드 최대 히트곡 중 하나이며 무려 10주간 1위를 했다. 다만 압도적인 다운로드에 비해 스트리밍 수치가 아쉬워 아쉽게 10위 권에 들지 못했다. 그래도 11위라는 고순위를 기록했으며 2021년 최대 히트곡 중 하나로 뽑힌다.] * 12. [[The Kid LAROI]] & [[저스틴 비버|Justin Bieber]] - [[STAY(The Kid LAROI)|STAY]][* [[good 4 u]]와 더불어 2021년 최고 히트곡으로 꼽히는 곡으로, 7월에 발매해 4개월간의 성적만 집계되어 기간상 엄청난 손해를 봤음에도 불구하고 12위라는 미친 순위를 기록하였다. 2020년대를 통틀어서도 가장 큰 히트를 친 곡 중 하나이다. 여담으로, [[Shape of You]]를 넘어 역대 스포티파이 추이가 가장 좋은 곡이다.] * 13. [[Olivia Rodrigo]] - [[deja vu(올리비아 로드리고)|deja vu]] * 14. [[Ariana Grande]] - [[Positions]] * 15. [[Ed Sheeran]] - [[Bad Habits]] * 16. [[Glass Animals]] - [[Heat Waves]][* 틱톡 히트곡으로, 전세계적으로 연초부터 지금까지 어마어마한 롱런을 하고 있으며 빌보드에서도 연말에 순위가 빠르게 상승하는 중이다. 발매 1년이 지난 시점 빌보드 3위를 하는 등 엄청난 역주행을 하였다. 59주차에 빌보드 1위를 달성했다.] * 17. [[The Kid LAROI]] - [[WITHOUT YOU]] * 18. [[Luke Combs]] - Forever After All * 19. [[크리스 브라운|Chris Brown]] & [[Young Thug]] - Go Crazy[* 페이올라 억지 히트곡. 스트리밍 수치가 매우 낮은 데 비해 라디오에서는 2021년 가장 성공한 곡 중 하나이다.] * 20. [[Masked Wolf]] - Astronaut in the Ocean[* 틱톡 히트곡으로 [[Masked Wolf]]의 대표곡이다.] * 21. [[아리아나 그란데|Ariana Grande]] (feat. [[Doja Cat]] & [[Megan Thee Stallion]]) - [[34+35]] * 22. [[Pop Smoke]] - What You Know Bout Love * 23. [[Machine Gun Kelly]] (feat. [[블랙베어|blackbear]]) - My Ex's Best Friend[* 머신 건 켈리 곡 중 Bad Things와 더불어 가장 히트한 곡으로, 피크 순위는 20위로 낮지만, 안정적인 라디오와 스트리밍 롱런으로 무려 52주 차트인을 한 곡이다. 연말 차트의 진가를 알 수 있는 사례.] * 24. "[[INDUSTRY BABY]]"- [[Lil Nas X]], [[Jack Harlow]] * 25. "[[Therefore I Am]]" [[Billie Eilish]][* 페이올라 의심이 매우 강하게 드는 곡.] * 26. "[[Up(싱글)|UP]]" [[Cardi B]][* 적절한 시기에 1위 먹튀를 했으나 추이는 그렇게 좋지 않았다.] * 27. "Fancy Like" [[Walker Hayes]][* 2021년 중순~말에 떠오른 틱톡발 히트곡. 인기와 별개로 곡의 퀄리티에 대한 악평이 쏟아지고 있다.] * 28. "Dakiti" [[Bad Bunny]] and Jhay Cortez[* 배드 버니의 대표곡 중 하나로, 빌보드 추이가 가장 좋은 라틴 곡 중 하나이다.] * 29. "[[Best Friend(노래)|Best Friend]]" [[Saweetie]] featuring [[Doja Cat]] * 30. "[[Rapstar]]" [[Polo G]] * 31. "Heartbreak Anniversary" [[Giveon]] * 32. "For the Night" [[Pop Smoke]] featuring [[Lil Baby]] and [[DaBaby]] * 33. "Calling My Phone" Lil Tjay and 6lack * 34. "Beautiful Mistakes" Maroon 5 featuring Megan Thee Stallion * 35. "Holy" Justin Bieber featuring Chance the Rapper * 36. "On Me" Lil Baby * 37. "You Broke Me First" Tate McRae * 38. "Traitor" Olivia Rodrigo * 39. "Back in Blood" Pooh Shiesty featuring Lil Durk * 40. "I Hope" Gabby Barrett featuring Charlie Puth[* 개편 이후 빌보드 차트인 2위 곡으로, 시기가 애매할 때 떠서 2020년, 2021년 연말차트에서는 별로 빛을 못 봤다. 각 12위와 40위를 기록하였다.] * 41. "[[Dynamite]]" [[방탄소년단|BTS]] * 42. "Wockesha" Moneybagg Yo * 43. "You Right" Doja Cat and the Weeknd * 44. "Beat Box" SpotemGottem featuring Pooh Shiesty or DaBaby * 45. "Laugh Now Cry Later" Drake featuring Lil Durk * 46. "[[Need to Know]]" Doja Cat * 47. "Wants and Needs" Drake featuring Lil Baby[* 데뷔 순위 2위로 피크를 찍고 쭉 떨어지다 2021년 중순부터 역주행하기 시작한 곡이다. 2021년 드레이크 곡 중 가장 성공한 곡이며 애플 뮤직 스트리밍 순위가 매우 높은 곡이다.] * 48. "[[Way 2 Sexy]]" Drake featuring Future and Young Thug[* 2021년 드레이크가 발매하여 압도적 단기 인기를 얻었지만 나쁜 퀄리티로 비판받았다.] * 49. "Telepatía" Kali Uchis * 50. "Whoopty" CJ * 51. "Lemonade" Internet Money and Gunna featuring Don Toliver and Nav * 52. "Good Days" SZA * 53. "Starting Over" Chris Stapleton * 54. "Body" Megan Thee Stallion * 55. "Willow" Taylor Swift * 56. "Bang!" AJR * 57. "Better Together" Luke Combs * 58. "You're Mines Still" Yung Bleu featuring Drake * 59. "Every Chance I Get" DJ Khaled featuring Lil Baby and Lil Durk * 60. "Essence" Wizkid featuring Justin Bieber and Tems[* 나이지리아 가수의 곡(피쳐링 제외)으로서는 최초로 연말차트에 진입한 곡이다. 저스틴 비버 리믹스 버전의 발매에 힘입어 Top 10을 기록하였다.] * 61. "Chasing After You" Ryan Hurd and Maren Morris * 62. "The Good Ones" Gabby Barrett * 63. "Leave Before You Love Me" Marshmello and Jonas Brothers[* 페이올라 의심이 강하게 드는 곡이다.] * 64. "Glad You Exist" Dan + Shay * 65. "Lonely" Justin Bieber and Benny Blanco * 66. "Beggin'" Måneskin[* 유로비전 콘테스트 우승, 틱톡 버프로 연말 차트에 진입한 곡이다.] * 67. "Streets" Doja Cat * 68. "What's Next" Drake * 69. "Famous Friends" Chris Young and Kane Brown * 70. "Lil Bit" Nelly and Florida Georgia Line * 71. "Thot Shit" Megan Thee Stallion * 72. "Late at Night" Roddy Ricch * 73. "Kings & Queens" Ava Max[* 페이올라 의심이 강하게 드는 곡이다.] * 74. "Anyone" Justin Bieber * 75. "Track Star" Mooski * 76. "Time Today" Moneybagg Yo * 77. "Cry Baby" Megan Thee Stallion featuring DaBaby * 78.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Mariah Carey[* 작년에 이어 올해도 연말 차트에 진입하였다!] * 79. "No More Parties" Coi Leray featuring Lil Durk * 80. "What's Your Country Song" Thomas Rhett * 81. "One Too Many" Keith Urban and Pink * 82. "Arcade" Duncan Laurence * 83. "Yonaguni" Bad Bunny * 84. "Good Time" Niko Moon * 85. "If I Didn't Love You" Jason Aldean and Carrie Underwood * 86. "Knife Talk" Drake featuring 21 Savage and Project Pat * 87. "POV" Ariana Grande * 88. "Just the Way" Parmalee and Blanco Brown * 89. "Take My Breath" The Weeknd * 90. "We're Good" Dua Lipa[* 페이올라 의심이 강하게 드는 곡이다.] * 91. "Hell of a View" Eric Church * 92. "Rockin' Around the Christmas Tree" Brenda Lee[* 연말 차트에 진입한 또다른 캐롤곡이다. 미국 내 인기는 AIWFCIY다음으로 높은 곡이다.] * 93. "Put Your Records On" Ritt Momney * 94. "[[Happier Than Ever(싱글)|Happier Than Ever]]" Billie Eilish * 95. "Single Saturday Night" Cole Swindell * 96. "Things a Man Oughta Know" Lainey Wilson * 97. "Throat Baby (Go Baby)" BRS Kash * 98. "Tombstone" Rod Wave * 99. "Drinkin' Beer. Talkin' God. Amen." Chase Rice featuring Florida Georgia Line * 100. "Todo de Ti" Rauw Alejandro[* 틱톡 버프를 받은 라틴 곡으로, 애매한 시기에 떴고 그마저도 미국은 반응이 늦게 와서 연말 차트 막차를 겨우 탑승한 곡이다.] == 차트 분석 == * [[Dua Lipa]]의 "[[Levitating]]"이 연말 차트 1위를 달성했다. 이로써 2001년 이후 20년 만에 Hot 100 차트 1위를 달성하지 않은 곡 가운데 연말 차트 1위를 달성하게 됐다. * [[The Weeknd]]는 지난해 연말 차트 1위 싱글 "[[Blinding Lights]]"[* 90주 차트인이라는 어마어마한 초장기 기록을 세웠고, 최장기 Top 5, Top 10, Top 20, Top 40 등의 각종 차트 역사를 새로 쓴 곡이다. 이로 인해 2021년 새로 개편된 '''[[빌보드 올타임 차트]]에서까지 1위'''를 달성했다.]를 다시 한 번 Top 3 내에 진입시켰고, 이는 '''빌보드 역사상 전무후무 유일무이한 최초의 일'''이다. 또한 [[Ariana Grande]]와 함께한 "[[Save Your Tears]]"로 연말 차트 2위를 달성함으로써, 지난해 자신의 명의로 1위를 차지한 아티스트가 이듬해 똑같이 자신의 명의로 2위를 차지하는 경우 역시 사상 최초의 일이다.[* 단, 명의와 상관없이 피처링까지 포함하면 저스틴 비버가 2016년 "[[Love Yourself]]"와 "[[Sorry]]"로 1,2위를 석권한 뒤 2017년에는 피쳐링으로 참여한 "[[Despacito]]"가 2위를 차지하여 이 기록을 최초로 세웠다. 반대로 지난해 2위를 차지했다가 이듬해 1위를 차지한 경우도 있다. [[퍼렐 윌리엄스|Pharrell Williams]]가 그 주인공으로, [[Robin Thicke]]의 곡 "Blurred Lines"에 피처링으로 2013년 연말 차트 2위에 올랐다가, 이듬해 자신의 솔로곡 "[[Happy(퍼렐 윌리엄스)|Happy]]"로 2014년 연말 차트 1위를 차지했다.] [[분류:빌보드 연말 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