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클라이맥스 시리즈 목록)] [include(틀:2021년 일본프로야구 포스트시즌)] [목차] == 개요 == ||<#ffffff><:>[[파일:ph_2021sc01.jpg|width=400]] || ||<#3FB1E5><:> {{{#ffffff 2021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로고}}} || 2021년 퍼시픽리그의 포스트시즌 시리즈인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관한 항목. 메인스폰서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퍼솔이 4년연속 맡게 되었다. 이번 해의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무려 8년만에 처음으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없는 시리즈이다.[* 참고로 호크스는 무려 13년 만에 5할 미만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 퍼스트 스테이지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VS [[치바 롯데 마린즈]] == * 팀명의 '''굵은 글씨'''는 승리팀을 가리킨다. * 모든 스코어는 홈팀이 뒤에 위치하도록 적는다. * 승리팀 : O / 패배팀 : ● / 무승부 : △ ||<-6> '''{{{#ffffff 퍼시픽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br][[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900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ffffff : }}} [[치바 롯데 마린스|{{{#000 치바 롯데 마린즈}}}]]{{{#ffffff , 3전 2선승제}}}''' || || 경기 || 날짜, 시각 || 경기장 ||<-3><:> 스코어 || || 1차전 || 11.06(토) 14:00 ||<|2> [[ZOZO 마린 스타디움]] || X ||<#000> {{{#fff 라쿠텐 4 : 5 '''롯데'''}}} ||<#000> {{{#fff O}}} || || 2차전 || 11.07(일) 14:00 ||<#808080> {{{#fff △}}} ||<#808080> {{{#fff 라쿠텐 4 : 4 롯데}}} ||<#808080> {{{#fff △}}} || === 엔트리 === 클라이맥스 시리즈의 엔트리는 정규시즌의 연장으로 간주되어 정규시즌의 엔트리가 그대로 유지된다. 정규시즌 혹은 클라이맥스 시리즈 도중에 엔트리에서 말소된 선수는 10일을 채우지 못하면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등록될 수 없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등록과 말소가 자유롭다. 경기별로 엔트리 등록, 말소 상황은 따로 기술한다. ==== [[치바 롯데 마린즈]] ==== ||<-3><#000000>'''{{{#ffffff 치바 롯데 마린즈 엔트리}}}'''|| ||<#2d2e2f><:>'''{{{#ffffff 감독}}}'''|| 1명 ||6. [[이구치 타다히토]] || ||<#2d2e2f><:>'''{{{#ffffff 코치}}}'''|| 11명 ||71. [[요시이 마사토]], 72. [[마토바 나오키]], 80. 오오츠카 아키라, 81. [[이시미네 쇼타]], 84. 시미즈 마사우미, 86. 모리와키 히로시, 88. 토리고에 유스케, 89. 카와고에 히데타카, 95. 쿠스노키 타카히코, 96. 카와노 료, 97. 키쿠치 다이스케. || ||<#2d2e2f><:>'''{{{#ffffff 투수}}}'''|| 12명 ||11. [[사사키 치하야]], 17. [[사사키 로키]], 19. [[카라카와 유키]], 24. [[아즈마 유스케]], 35. [[스즈키 쇼타]], 37. [[오노 후미야]], 43. [[오지마 카즈야]], 46. [[이와시타 다이키]], 52. [[마스다 나오야]], 60. [[요코야마 리쿠토]], 69. [[도이 히데토]], 92. [[쿠니요시 유키]] || ||<#2d2e2f><:>'''{{{#ffffff 포수}}}'''|| 3명 ||32. [[사토 토시야(1998)|사토 토시야]], 66. [[카토 타쿠마]], 99. [[카키누마 토모야]] || ||<#2d2e2f><:>'''{{{#ffffff 내야수}}}'''|| 7명 ||4. [[후지오카 유다이]], 5. [[야스다 히사노리]], 8. [[나카무라 쇼고]], 23. [[미키 료]], 54. [[브랜든 레어드]], 55. [[아데이니 에체바리아]], 57. [[오가와 류세이]] || ||<#2d2e2f><:>'''{{{#ffffff 외야수}}}'''|| 7명 ||0. [[오기노 타카시]], 2. [[후지와라 쿄타]], 3. [[카쿠나카 카츠야]] 25. [[오카 히로미(1991)|오카 히로미]], 51. [[야마구치 코키]], 63. [[와다 코시로]], 79. [[레오니스 마틴]] || 1차전 선발 [[사사키 로키]], 2차전 선발 [[오지마 카즈야]], 3차전 선발 [[이시카와 아유무]]로 결정되었다. 1군 1년차, 데뷔 2년차의 신인 사사키를 1선발로 내세우고, 큰 경기에서 그다지 강한 모습을 못 보여줬던 [[오지마 카즈야]]를 2선발로, 부상으로 시즌을 날려먹으면서 데뷔 이래 가장 적은 경기에 나왔지만 10월에 0점대 ERA를 보여주며 막판 두 달간 에이스 노릇을 했던 [[이시카와 아유무]]를 3선발로 내세운다. 꽤 오랫동안 에이스를 해 왔던 베테랑 투수들이나, 베테랑은 아녀도 1군에서 선발로 꽤 커리어를 쌓은 [[후타키 코타]]가 밀려난 것은 특이점. * 엔트리 변동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3>'''{{{#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엔트리}}}'''|| || '''{{{#ffcc00 감독}}}''' || 1명 ||99. [[이시이 카즈히사]] || || '''{{{#ffcc00 코치}}}''' || 9명 ||74. 와타나베 나오토, 75. 코야마 신이치로, 76. [[오카다 요시후미]], 80. 이시이 타카시, 81. 카나모리 에이지, 89. 마키시 야스나가, 90. 미츠야마 히데카즈, 95. 나라하라 히로시, 96. [[츠치야 텟페이|텟페이]] || || '''{{{#ffcc00 투수}}}''' || 10명 ||1. [[마츠이 유키]], 11. [[키시 타카유키]], 13. 모리하라 코헤이, 16. [[와쿠이 히데아키]], 20. 안라쿠 토모히로, 28. [[사카이 토모히토]], 31. 후쿠이 유야, 32. 앨런 부세니츠, 43. 쑹자하오, 62. 니시구치 나오토|| || '''{{{#ffcc00 포수}}}''' || 3명 ||2. 오오타 히카루, 26. [[스미타니 긴지로]], 55. 타나카 타카야 || || '''{{{#ffcc00 내야수}}}''' || 9명 ||0. 코부카타 히로토, 3. [[아사무라 히데토]], 5. [[모기 에이고로]], 7. [[스즈키 다이치]], 30. 요코오 토시타케, 33. [[아카미나이 긴지|긴지]], 34. 야마사키 츠요시, 48. 와타나베 요시아키, 66. 무라바야시 이츠키 || || '''{{{#ffcc00 외야수}}}''' || 5명 ||8. [[타츠미 료스케]], 25. [[타나카 카즈키]], 27. 오카지마 타케로, 35. 시마우치 히로아키, 51. 오고 유야 || 1선발로는 [[노리모토 타카히로]]를, 2선발로는 [[키시 타카유키]]를 내며 [[타나카 마사히로]]는 3선발로 밀렸다. * 엔트리 변동 === 경기 내용 === ==== 1차전 ==== ===== 스코어보드 ===== ||<-15><#000000> {{{#ffffff '''1차전 11.06(토) ''' 14:00, '''ZOZO 마린 스타디움''' ''' : 14,904명'''}}} || ||<:> ||<:> '''선발투수'''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600000>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ffcc00 라쿠텐}}}]] ||<:>[[노리모토 타카히로]] || 0 || 1 || 0 || 0 || 0 || 0 || 3 || 0 || 0 || '''4''' || 5 || 0 || ||<:><#000000> [[치바 롯데 마린즈|{{{#ffffff 롯데}}}]] ||<:>[[사사키 로키]] || 0 || 0 || 3 || 0 || 0 || 0 || 0 || 1 || 1X || '''5''' || 9 || 2 || * 승리투수 : [[마스다 나오야]](1승) * 패전투수 : 쑹자하오(1패) * 홈런 : [[아데이니 에차바리아]](8회 1점) * 결승타: [[사토 토시야]](9회 1사 2루에서 우중간 2루타) ===== 상세 ===== 2회 초, 2아웃 2루 상황에 라쿠텐의 와타나베 요시아키가 친 투수 땅볼을 롯데 선발 [[사사키 로키]]가 악송구를 해 버리면서 주자가 홈인하여 라쿠텐이 1:0으로 앞서갔다. 이후 3회 말, 롯데에서 [[오기노 타카시]], [[나카무라 쇼고]]의 안타와 [[레오니스 마틴]]의 볼넷으로 1아웃 만루를 만든 후 4번 타자 [[브랜든 레어드]]가 2타점 적시타를, 이후 [[야스다 히사노리]]가 희생플라이를 기록하면서 3:1로 점수가 벌어졌고, 경기는 6회까지는 그대로 흘러갔다. 이후 7회 초, 롯데의 필승조였던 [[쿠니요시 유키]]가 제구난조로 볼넷만 3개를 주면서 2아웃 만루상황을 만들고 강판당했고[* 웃기는 건 그 2아웃도 번트 실패로 인한 병살로 잡은 거였다. 스스로 잡아낸 아웃이라곤 끽해야 살짝 뜬 번트를 슬라이딩해서 잡고 그걸 그대로 2루까지 들고가서 더블플레이를 만든 것.], 이후 [[카라카와 유키]]가 올라와서 초구 한가운데 커터(...)를 던지고 싹슬이 3타점 적시 2루타를 맞으며 라쿠텐이 4대 3으로 역전. 그러나, 롯데는 8회 말 [[아데이니 에체바리아]]가 홈런을 치며 4대4 동점으로 따라갔다. 에체바리아는 용병이지만 OPS 5할대에 UZR도 -였기 때문에 아예 대수비로(...) 출장했는데 [[마츠이 유키]]가 이 에체바리아에게 불의의 홈런을 맞은 것. 스윙후에 에체바리아의 빠던과 세레모니가 일품. 이후, 롯데는 9회 동점상황에서 마무리 [[마스다 나오야]]를 올려 무실점으로 막은 후 사실상 1승을 챙긴거나 마찬가지인 상황에서[* 알다시피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상위팀에게 어드밴티지가 부여된 플레이오프이기 때문에 하위팀에게 무승부는 패나 마찬가지다.] 9회 말에 [[오카 히로미(1991)|오카 히로미]]의 몸에 맞는 볼과 [[후지오카 유다이]]의 희생번트, 마지막 [[사토 토시야(1998)|사토 토시야]]의 끝내기 2루타가 나오면서 5대4로 끝내기 역전승을 거두었다. 롯데 선발 [[사사키 로키]]는 본인의 송구 실책으로 인한 1실점을 제외하면 완벽한 피칭을 선보였다. 이날 최고구속은 159km/h까지 나오며 6이닝 10K 1실점 호투를 펼쳤다. 한국 언론에까지 기사가 나왔을 정도. 같은 날 교진-한신 경기 기사는 없었다(...)[* 정작 사사키 로키 마저도 [[김성근]] [[소프트뱅크 호크스]] 고문이 타구에 공을 맞아서 뇌진탕 의심된다는 기사가 뜨면서 묻혔다.]. 그러나 불펜의 경우 마무리로 나온 [[마스다 나오야]]를 제외하곤 전혀 좋지 못했다. 제구가 하나도 안 되어 볼넷만 3개를 내준 [[쿠니요시 유키]]와 한가운데에 똥볼을 던지다가 블론을 한 [[카라카와 유키]]는 0점짜리 투구였고, 비록 무실점으로 막기는 했지만 [[사사키 치하야]] 역시 ~~138km/h짜리~~공이 제구가 하나도 안 되면서 볼넷을 두개나 내주고 간신히 막아냈었다. 타선에서는 3안타에 도루까지 한 [[나카무라 쇼고]], '''대수비로 나와서''' 동점 홈런을 친 [[아데이니 에체바리아]], 끝내기 안타를 친 [[사토 토시야(1998)|사토 토시야]], 2타점 적시타를 친 [[브랜든 레어드]] 등이 활약했었고, 계속 무안타 행진을 벌였던 선수들도 각자 최소한의 밥값은 했다. [[야스다 히사노리]]는 희생플라이를, [[오카 히로미(1991)|오카 히로미]]는 끝내기 득점의 초석이 된 몸에 맞는 볼 출루를, [[레오니스 마틴]]은 안타는 없었지만 볼넷으로 멀티출루를 했었고 [[후지오카 유다이]]는 2루타 1개에 희생번트 성공을 기록하면서 ~~엄청 답답했지만~~그럭저럭 다들 괜찮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라쿠텐의 경우 선발 [[노리모토 타카히로]]가 4이닝 3실점으로 부진했고, 추격조로 나온 안라쿠와 니시구치, 7회 셋업으로 나온 [[사카이 토모히토]]는 잘 막았으나 정작 가장 중요한 필승조로 올라온 [[마츠이 유키]]와 쑹자하오가 부진한 것이 패인이 되었다. 타선에서는 오카지마 타케로, 시마우치 히로아키 등이 활약해주었으나 이 둘과 야마사키 츠요시를 제외하면 아무도 안타를 치지 못했다. 특히, 볼넷 1개가 있긴 했지만 혼자 기회를 다 끊어먹은 [[아사무라 히데토]]와 볼넷도 없이 순수하게 4타수 무안타를 기록하며 친정사랑을 제대로 보여준 [[스즈키 다이치]]가 가장 치명적이었다. 경기와는 별개로 마린스타디움의 구조상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보통 야구장은 포수가 바라보는 방향이 북쪽이며[* 한일 야구장은 대개 아니다. 일본은 [[요코하마 스타디움]]만 북향이며, 한국은 라팍과 챔필만 북향이다.] 3루 쪽으로 해가 진다. 그러나 이 시기의 마린스타디움은 방향이 사실상의 서향이라 홈플레이트쪽에 있는 사람들은 햇빛을 마주보고 경기를 해야한다. 4시경에는 햇빛이 중계석을 향했는데 중계를 담당했던 와다 카즈히로가 선글라스가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 2차전 ==== ===== 스코어보드 ===== ||<-15><#000000> {{{#ffffff '''2차전 11.07(일) ''' 14:00, '''ZOZO 마린 스타디움''' ''' : 명'''}}} || ||<:> ||<:> '''선발투수'''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600000>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ffcc00 라쿠텐}}}]] ||<:>[[키시 타카유키]] || 0 || 2 || 0 || 0 || 0 || 0 || 2 || 0 || 0 || '''4''' || 10 || 0 || ||<:><#000000> [[치바 롯데 마린즈|{{{#ffffff 롯데}}}]] ||<:>[[오지마 카즈야]] || 0 || 1 || 0 || 1 || 0 || 1 || 1 || 0 || X || '''4''' || 9 || 0 || * 승리투수 : 없음 * 패전투수 : 없음 * 홈런 : [[스미타니 긴지로]](7회 1점, 이상 라쿠텐), [[야마구치 코키]] (6회 1점), [[레오니스 마틴]](7회 1점, 이상 롯데) * 결승타: 없음 ===== 상세 ===== 2회 초 라쿠텐이 비디오 판독으로 3아웃 체인지가 된 것을 세이브로 되돌려가면서 2점을 내고 달아났다. 그러나 바로 2회 말 [[오카 히로미(1991)|오카 히로미]]의 병살타 때 3루 주자가 홈인하면서 롯데가 2:1로 추격. 이후 팽팽한 투수전 끝에 [[야마구치 코키]]가 4회 말과 6회 말에 각각 1타점 적시 2루타와 홈런을 치면서 3:2로 롯데가 역전하였다. 그러나 라쿠텐 역시 이대로 물러서지 않았고, 7회 초 [[스미타니 긴지로]]의 홈런과 시마우치 히로아키의 적시타로 다시 4:3으로 역전하면서 롯데 선발 [[오지마 카즈야]]를 6.1이닝 4실점으로 강판시켰다. [[이구치 타다히토|이구치 감독]]과 [[요시이 마사토|요시이 코치]]가 아마 1차전 때 [[쿠니요시 유키]]가 부진했기 때문에 7회까지 쭉 선발 오지마를 끌고 가려 했는데, 이것이 독이 돼 버린 것. 결국 또 어제와 마찬가지로 쿠니요시가 1사 1,2루 상황에 등판하였지만, 이 날은 1차전과 달리 안정적으로 막아냈다. 이후 7회 말 등판한 라쿠텐의 필승조 [[사카이 토모히토]]를 상대로 [[레오니스 마틴]]이 다시 홈런을 치면서 4:4. 이후 롯데는 불펜 필승조를 총동원하여 9회 초까지 지켜냈고, 4:4로 무승부가 되었다. 그러나 롯데가 1차전을 이겼고, 롯데가 정규시즌 순위 상위팀이었기 때문에 1승 1무 상황에서 어드밴티지를 받아 3차전 없이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 진출을 확정지었다. 롯데는 타선에서는 1차전에서 펄펄 날았던 [[나카무라 쇼고]]가 무안타로 부진했고, 1번 타자 [[오기노 타카시]]도 영 좋지 못했다. 하지만 1차전에서는 그냥 그랬던 [[레오니스 마틴]]이 멀티히트에 동점 홈런을, 1차전에서 동점 홈런을 쳤던 [[아데이니 에체바리아]]가 멀티히트를 기록했고, 신예 야마구치 코키가 3타수 3안타에 1홈런으로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었다. 아쉬운 것은 작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 때 팀 타선을 혼자 이끌다시피했던 [[야스다 히사노리]]가 1차전의 부진으로 인해 2차전엔 아예 교체로도 나가지 못했고, 10월에 무너져가는 타선을 지탱해준 [[오카 히로미(1991)|오카 히로미]]가 1-2차전 모두 선발출장하고도 무안타에 병살까지 치면서 최악이었다는 점이다. 투수진의 경우 1차전 때 좋지 못했던 [[쿠니요시 유키]]와 [[사사키 치하야]]가 다시 제 컨디션을 되찾았고, [[마스다 나오야]]는 언제나 가장 믿음직했던 불펜답게 오늘도 호투했다. 대신 [[오지마 카즈야]]는 궁지에 몰리는 상황에서 연타를 맞는 것이 여전하면서 아직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라쿠텐의 경우 시마우치 히로아키, 야마사키 츠요시, [[스미타니 긴지로]] 등이 불빠따를 휘둘렀고, 어제 말아먹은 [[스즈키 다이치]]도 멀티히트를 기록하였으나, 부진의 끝을 보여주던 [[아사무라 히데토]]는 결국 1안타 0타점에 그치면서 시리즈 타율 .125를 기록하고 말았고, 그 외에도 긴지, 모기 에이고로, [[타츠미 료스케]] 등이 줄줄이 무안타 행진을 벌인 것이 패인이 되었다. 특히 모기랑 타츠미는 두 경기 모두 선발로 나와서 타율 0.000을 기록했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아사무라보다도 더한 패배의 원흉. 투수진의 경우 1차전 때는 괜찮았던 안라쿠 토모히로와 [[사카이 토모히토]]가 각각 역전 홈런과 동점 홈런을 맞으면서 무너진 것이 컸다. 마츠이는 1차전과는 다르게 7구만에 1이닝을 삭제할 정도로 괜찮은 피칭을 보여주었지만 이미 떠난 버스였다. === 총평 === 결국 1승 1무로 상위팀인 치바 롯데 마린즈가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 [[2014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즉 7년 전 한신이 했던 걸]] 치바 롯데가 반복한 것[* 심지어 1차전 1점차 우승인 것도 같다!]이다. 라쿠텐 입장에선 7회말에 1실점하고 더 이상 역전하지 못한 것이 아쉬웠던 것 일본에서는 롯데의 승리의 큰 원인 중 하나로 외국인 선수의 성공을 들고 있다. 사실 롯데도 외국인 투수의 경우 3명 전원이 부진 및 가족사정으로 인한 조기귀국 때문에 엔트리에서 빠졌지만, 이건 라쿠텐도 쑹자하오를 제외하면 외국인 투수가 없다시피 해서 큰 차이가 없었고[* 2020년에 마무리였던 앨런 부세닛츠는 올해 최악의 부진에 빠지면서 추격조로 밀려났고 1, 2차전이 모두 치열하게 펼쳐지면서 아예 등판하지 못했다.], 심지어 그 쑹자하오는 1차전 때 끝내기 패배를 허용하면서 전혀 도움이 되질 못했다. 차이가 나는 점은 바로 타선. 라쿠텐은 두 외국인 타자가 모두 먹튀를 저지르며 CS 엔트리에도 들지 못한 반면에, 롯데는 원래 잘 했던 [[레오니스 마틴]], [[브랜든 레어드]]는 물론이고 정규시즌 내내 팀에 도움이 하나도 되지 않았던 [[아데이니 에체바리아]]마저도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3안타에 홈런까지 치면서 엄청난 활약을 펼쳤다. 라쿠텐도, 롯데도 토종 타자 중 타격감이 괜찮았던 선수는 겨우 2~3명이었기 때문에 외국인 타자들의 컨디션이 타선의 승패를 가른 셈. 투수진의 경우 큰 차이는 없었다. 선발의 경우 양팀 모두 1명은 호투를, 1명은 꾸역투를 이어가다가 중간에 3~4점씩 주고 강판당한 것도 동일했다. 그나마 다른 점은 롯데에는 다른 불펜투수들이 다 털리는 상황에서도 수호신 [[마스다 나오야]]가 든든히 버티고 있었으나, 라쿠텐은 모든 필승조들이 돌아가면서 한 번씩 털렸다는 것이 차이점. 6회를 맡았던 안라쿠 토모히로는 2차전 때 역전 홈런을 맞았고, 7회를 맡았던 [[사카이 토모히토]]는 2차전 때 동점 홈런을 맞았다. 라쿠텐이 2차전에서 비겨도 탈락하는 걸 감안하면 사실상 패전투수나 다름없다. 또한 8회를 맡았던 전반기 마무리 [[마츠이 유키]]는 1차전 때 동점 홈런을 맞으며 블론세이브를 저질렀고, CS에서 마무리로 나온 후반기 마무리 쑹자하오는 1차전 때 0.1이닝 1실점으로 끝내기를 허용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결국 믿을만한 불펜이 하나도 없었던 셈. 반대로 롯데는 [[카라카와 유키]]와 [[쿠니요시 유키]]가 환장투를 보여주기는 했지만 [[마스다 나오야]]가 9회를 굳건히 지켜주었고, 극장투를 펼치긴 했지만 8회를 맡았던 [[사사키 치하야]]도 결과는 무실점이었다.[* 공교롭게도 [[사사키 치하야]]는 지는 순간 2021 시즌 우승 트래직넘버가 소멸되는 경기에서 8회 셋업으로 올라와 실점하여 패전투수가 되었다.] == 파이널 스테이지 : [[치바 롯데 마린즈]] VS [[오릭스 버팔로즈]] == * 팀명의 '''굵은 글씨'''는 승리팀을 가리킨다. * 모든 스코어는 홈팀이 뒤에 위치하도록 적는다. * 승리팀 : O / 패배팀 : X / 무승부 : △ ||<-6><#3FB1E5> '''{{{#ffffff 퍼시픽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 [[치바 롯데 마린스|{{{#ffffff 치바 롯데 마린즈}}}]] {{{#ffffff : }}} [[오릭스 버팔로즈|{{{#ffffff 오릭스 버팔로즈}}}]] {{{#ffffff , 6전 4선승제}}}''' || || || 날짜, 시각 || 경기장 ||<-3><:> 스코어 || ||<-3> 리그 우승 어드밴티지 || X ||<#000000> {{{#9e751f 롯데 : '''오릭스'''}}} ||<:><#000000> {{{#9e751f '''O'''}}} || || 1차전 ||11.10(수) 18:00 ||<|3> [[교세라 돔 오사카]] || X ||<#000000> {{{#9e751f 롯데 0 : 1 '''오릭스'''}}} ||<:><#000000> {{{#9e751f '''O'''}}} || || 2차전 ||11.11(목) 18:00 || X ||<#000000> {{{#9e751f 롯데 0 : 2 '''오릭스'''}}} ||<:><#000000> {{{#9e751f '''O'''}}} || || 3차전 ||11.12(금) 18:00 ||<#808080> {{{#fff △}}} ||<#808080> {{{#fff 롯데 3 : 3 오릭스}}} ||<#808080> {{{#fff △}}} || === 정규시즌 우승 경우의 수 === 2021년 10월 26일 기준 오릭스는 143전 70승 18무 55패이고 롯데는 140전 67승 19무 54패로 1게임차다. 그리고 오릭스는 잔여경기가 없고 롯데가 잔여경기 3경기[* 10월 27일 vs 라쿠텐(원정), 10월 29일 vs 닛폰햄(홈), 10월 30일 vs 닛폰햄(홈)]가 남았다. * 이때 롯데의 우승 경우의 수는 딱 '''2개'''밖에 없는데. * 잔여 경기 3승시 (승률 '''0.565''') * 잔여 경기 2승 1무시 (승률 '''0.561''') 반면 오릭스는 승률 '''0.560'''으로 143경기를 마쳤기 때문에 위에 두 가지 경우의 수를 제외한 나머지가 오릭스의 우승 경우의 수가 된다. 즉, '''롯데가 남은 세 경기에서 한 경기라도 패하면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의 25년 만의 우승이 확정되고, 롯데가 전승하거나 2승 1무를 하면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의 16년 만의 우승이 확정된다.''' 소뱅이 없는 광경이 꽤나 낯설 뿐. 그리고 라쿠텐이 롯데를 잡아내면서 오릭스 버팔로즈로써의 첫 리그 우승이 확정되었다. 동시에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 진출이 결정되면서 모든 구단이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 오릭스는 12구단중 유일하게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우승하지 못한 팀이다.[* 각 구단이 첫 클라이맥스 시리즈를 우승한 연도는 2007년에 주니치랑 닛폰햄, 2008년에 요미우리랑 세이부, 2010년에 롯데, 2011년에 소프트뱅크, 2013년에 라쿠텐, 2014년에 한신, 2015년에 야쿠르트, 2016년에 히로시마, 2017년에 요코하마.] 물론 오릭스가 일본시리즈 직전에 플레이오프에서 이긴 적이 없는 것은 아니다. 1975년과 1977년에 한큐 브레이브스였을 당시, 퍼시픽리그는 전/후기제를 채택하고 해당 시즌 1위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러 일본시리즈에 진출을 결정했다. 플레이오프에서 73년에는 킨테츠를 이기고, 77년에는 롯데를 이기고 일본시리즈에 진출하고 우승까지 했다.두번 다 한큐는 전기 우승을 했었다. === 엔트리 === ==== [[오릭스 버팔로즈]] ==== ||<-3><#000019>'''{{{#ffffff 오릭스 버팔로즈 엔트리}}}'''|| ||<#9e751f><:>'''{{{#ffffff 감독}}}'''|| 1명 ||78. [[나카지마 사토시]] || ||<#9e751f><:>'''{{{#ffffff 코치}}}'''|| 9명 ||26. [[노미 아츠시]][* 선수 겸임.] 73. 타카야마 이쿠오, 75. 사타케 마나부, 76. 카자오카 나오유키, 77. [[소요기 에이신]], 79. 츠지 류타로, 81. [[타구치 소]], 87. 사이토 토시오, 88. 미즈모토 카츠미 || ||<#9e751f><:>'''{{{#ffffff 투수}}}'''|| 11명 ||16. [[히라노 요시히사]], 18. [[야마모토 요시노부]], 28. 토미야마 류가, 29. 타지마 다이키, 30. K-스즈키[* 본명은 스즈키 코헤이.], 35. 히가 모토키, 47. 카이다 토모유키, 52. 타일러 히긴스, 57. 야마다 노부요시, 59. 세실 바르가스, 66. 요시다 류 || ||<#9e751f><:>'''{{{#ffffff 포수}}}'''|| 4명 ||2. 와카츠키 켄야, 23. 후시미 토라이, 33. 마츠이 마사토, 44. 톤구 유마 || ||<#9e751f><:>'''{{{#ffffff 내야수}}}'''|| 6명 ||3. [[아다치 료이치]], 4. 후쿠다 슈헤이, 24. 쿠레바야시 코타로, 31. 오오타 료, 36. 야마아시 타츠야, 42. 랑헬 라헤로 || ||<#9e751f><:>'''{{{#ffffff 외야수}}}'''|| 8명 ||6. [[무네 유마]], 8. 고토 슌타, 10. [[아담 존스]], 34. [[요시다 마사타카]], 41. 사노 코다이, 50. 오다 유야, 55 [[T-오카다]], 99. [[스기모토 유타로]] || * 엔트리 변동 ==== [[치바 롯데 마린즈]] ==== ||<-3><#000000>'''{{{#ffffff 치바 롯데 마린즈 엔트리}}}'''|| ||<#2d2e2f><:>'''{{{#ffffff 감독}}}'''|| 1명 ||6. [[이구치 타다히토]] || ||<#2d2e2f><:>'''{{{#ffffff 코치}}}'''|| 11명 ||71. [[요시이 마사토]], 72. [[마토바 나오키]], 80. 오오츠카 아키라, 81. [[이시미네 쇼타]], 84. 시미즈 마사우미, 86. 모리와키 히로시, 88. 토리고에 유스케, 89. 카와고에 히데타카, 95. 쿠스노키 타카히코, 96. 카와노 료, 97. 키쿠치 다이스케. || ||<#2d2e2f><:>'''{{{#ffffff 투수}}}'''|| 12→14명 ||11. [[사사키 치하야]], 12. [[이시카와 아유무]](▲ 11.10.), 15. [[미마 마나부]](▲ 11.11, ▽ 11.12),17. [[사사키 로키]], 19. [[카라카와 유키]], 24. [[아즈마 유스케]], 35. [[스즈키 쇼타]], 37. [[오노 후미야]], 43. [[오지마 카즈야]], 46. [[이와시타 다이키]], 47. [[타나카 야스히로]](▲ 11.12.), 52. [[마스다 나오야]], 60. [[요코야마 리쿠토]], 69. [[도이 히데토]], 92. [[쿠니요시 유키]] || ||<#2d2e2f><:>'''{{{#ffffff 포수}}}'''|| 3명 ||32. [[사토 토시야(1998)|사토 토시야]], 66. [[카토 타쿠마]], 99. [[카키누마 토모야]] || ||<#2d2e2f><:>'''{{{#ffffff 내야수}}}'''|| 7명 ||4. [[후지오카 유다이]], 5. [[야스다 히사노리]], 8. [[나카무라 쇼고]], 23. [[미키 료]], 54. [[브랜든 레어드]], 55. [[아데이니 에체바리아]], 57. [[오가와 류세이]] || ||<#2d2e2f><:>'''{{{#ffffff 외야수}}}'''|| 7명 ||0. [[오기노 타카시]], 2. [[후지와라 쿄타]], 3. [[카쿠나카 카츠야]] 25. [[오카 히로미(1991)|오카 히로미]], 51. [[야마구치 코키]], 63. [[와다 코시로]], 79. [[레오니스 마틴]] || * 엔트리 변동 * 11월 10일: [[이시카와 아유무]] (등록) * 11월 11일: [[미마 마나부]] (등록) * 11월 12일: [[타나카 야스히로]] (등록), [[미마 마나부]] (말소) === 경기 내용 === ==== 1차전 ==== ===== 스코어보드 ===== ||<-15><#000000> {{{#9e751f '''1차전 11.10(수) ''' 18:00, '''교세라 돔''' ''' : 17,915명'''}}} || ||<:> ||<:> '''선발투수'''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000000> [[치바 롯데 마린스|{{{#ffffff 롯데}}}]] ||<:> [[이시카와 아유무]]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4 || 0 || ||<:><#000000> [[오릭스 버팔로즈|{{{#9e751f 오릭스}}}]] ||<:>[[야마모토 요시노부]] || 1 || 0 || 0 || 0 || 0 || 0 || 0 || 0 || - || '''1''' || 5 || 1 || * 승리투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1승) * 패전투수 : [[이시카와 아유무]](1패) * 홈런 : 없음 * 결승타: [[T-오카다]](1회 2사 1, 2루에서 우익수 앞 안타) ===== 상세 ===== 1회초 롯데는 [[오기노 타카시]]가 안타를 치고 나갔지만 후속타의 불발로 득점과는 연결되지 못했다. 1회말 오릭스는 1사 후 무네 유마의 볼넷이 나왔고 부상에서 돌아온 [[요시다 마사타카]]는 중견수 플라이로 물러났지만 뒤 타자 [[스기모토 유타로]]가 다시 볼넷을 골라나가면서 2사 1, 2루의 기회를 잡는다. 여기서 [[T-오카다]]가 우익수 앞 안타를 치며 2루주자 무네를 불러들이는데 성공. 1-0으로 오릭스가 앞서간다. 롯데는 2회초에도 [[아데이니 에차바리아]]가 안타를 치면서 선두타자 출루에 성공했지만 런 앤드 힛이 수포로 돌아가면서 순식간에 2아웃이 되어 추격 의지가 꺾여버렸고 2회를 단 3타자로 정리당한다. 4회초에 롯데는 선두타자였던 [[나카무라 쇼고]]가 안타를 치며 이번 경기 3번째로 선두타자 출루를 만들어냈다. 후속타자들이 각각 뜬공과 삼진으로 물러나며 2아웃이 되었는데 2아웃에 도루를 시도, 상대 포수 와카츠키의 송구 실책이 겹치면서 3루까지 도달한다. 그러나 타석에 들어섰던 [[야마구치 코키]]가 삼진으로 물러나면서 또다시 득점에 실패. 5회부터 롯데 타선은 [[야마모토 요시노부]]를 상대로 1루 베이스 조차 밟지 못하며 무기력하게 물러났고 결국 야마모토에게 126구 완봉승을 헌납하며 1차전을 내 주었다.[* 9회말 2아웃 123번째 공이 속구였는데 '''156km가 찍혔다'''.] 롯데는 선발 [[이시카와 아유무]]가 7회까지 5피안타 1실점으로 호투했으나 하필 상대가 야마모토인 탓에 패전을 떠안게 되었다. 이시카와의 뒤를 이어 올라온 [[스즈키 쇼타]]와 [[아즈마 유스케]]도 짧은 이닝이긴 했지만 출루를 허용하지 않으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타선이 야마모토를 상대로 단 4안타만을 때려내는데 그치며 영봉패를 당했다. 오기노 타카시만이 멀티히트 경기를 펼쳤고 나카무라와 에차바리아가 1안타를 기록했을 뿐 나머지 타자들은 힘도 못 쓰고 야마모토에게 압도당했다. 거기다 2회초 작전 실패까지 겹치는 등 타격에서 전혀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오릭스는 야마모토 요시노부의 압도적인 피칭으로 파이널 스테이지 1차전을 가져왔다. 이날 야마모토는 총 126구를 던지면서 사사구를 전혀 내 주지 않는 훌륭한 피칭으로 롯데 타선을 억제했다. 다만 타선이 단 5안타에 그친것은 아쉬운 부분. 그래도 위안거리인 것은 골절상에서 돌아온 요시다가 안타를 기록했다는 것이 메우 반가울 따름이다. ==== 2차전 ==== ===== 스코어보드 ===== ||<-15><#000000> {{{#9e751f '''2차전 11.11(목) ''' 18:00, '''교세라 돔''' ''' : 17,912명'''}}} || ||<:> ||<:> '''선발투수'''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000000> [[치바 롯데 마린스|{{{#ffffff 롯데}}}]] ||<:>[[미마 마나부]]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4 || 0 || ||<:><#000000> [[오릭스 버팔로즈|{{{#9e751f 오릭스}}}]] ||<:>[[타지마 다이키]] || 0 || 0 || 0 || 0 || 0 || 2 || 0 || 0 || - || '''2''' || 6 || 0 || * 승리투수 : 타지마 다이키 * 패전투수 : [[미마 마나부]] * 세이브투수 : [[히라노 요시히사]] * 홈런 : [[스기모토 유타로]](6회 2점) * 결승타: [[스기모토 유타로]](6회 2사 1루에서 좌측 홈런) ===== 상세 ===== ==== 3차전 ==== ===== 스코어보드 ===== ||<-15><#000000> {{{#9e751f '''3차전 11.12(금) ''' 18:00, '''교세라 돔''' ''' : 18,006명'''}}} || ||<:> ||<:> '''선발투수'''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000000> [[치바 롯데 마린스|{{{#ffffff 롯데}}}]] ||<:>[[ 이와시타 다이키 ]] || 0 || 0 || 1 || 0 || 0 || 0 || 1 || 1 || 0 || '''3''' || 8 || 0 || ||<:><#000000> [[오릭스 버팔로즈|{{{#9e751f 오릭스}}}]] ||<:>[[ 야마자키 소이치로 ]] || 0 || 0 || 0 || 0 || 0 || 2 || 0 || 0 || 1x[* 스코어 상으로는 동점이지만, 오릭스가 정규이닝 무승부만 만들어도 일본시리즈에 진출하기 때문에 '규정에 의한 콜드' 선언] || '''3''' || 8 || 0 || * 승리투수 : 없음 * 패전투수 : 없음 * 홈런 : 무네 유마(6회 2점, 이상 오릭스), 나카무라 쇼고(8회 1점, 이상 롯데) * 결승타: 오다 유야(9회 무사 1,2루에서 우익수 방면 1타점 2루타)[* 2선승을 미리 챙겨뒀던 리그 1위 팀 오릭스는 동점만 되어도 일본시리즈 진출이 가능했기 때문에, 이 동점 적시타가 결승타이자 끝내기 동점 적시타가 되었다.] ===== 상세 ===== === 총평 === 오릭스와 롯데로써는 그야말로 1977년 플레이오프의 재림이었다. 이로써 오릭스가 26년만에 일본시리즈에 진출했고, 오릭스 버팔로즈 출범 이후의 첫 일본시리즈 진출이 확정되면서 현행 NPB 12구단 체제의 모든 구단이 일본시리즈에 진출하게 되었다.[* 라쿠텐 합류 이후로 한정하여 롯데 2005년, 한신 2005년, 닛폰햄 2006년, 주니치 2006년, 세이부 2008년, 자이언츠 2008년, 소프트뱅크 2011년, 라쿠텐 2013년, 야쿠르트 2015년, 히로시마 2016년, 디엔에이 2017년.]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오릭스 버팔로즈)] [include(틀:치바 롯데 마린즈)] [include(틀: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분류:클라이맥스 시리즈]][[분류:오릭스 버팔로즈]][[분류:치바 롯데 마린즈]][[분류: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분류:일본프로야구/2021년]]